UPDATED. 2024-04-26 08:30 (금)
앞으로 10년 풀어야할 핵심 과제는?
앞으로 10년 풀어야할 핵심 과제는?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2.04.25 17:2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20주년 특집_ ‘한국사회 키워드’ 설문조사
전국 대학교수 541명 대상 설문조사…복지·사회통합·양극화 문제 해결해야

대선은 정당과 인물만의 대결이 아니다. 대선은 시대정신과 시대정신이 맞부딪히는 현장이기도 하다. 2002년 대선이 ‘정치개혁’과 ‘세대교체’를 상징했다면 2007년 대선의 시대정신은 단연 ‘경제성장’이었다. 누가 시대정신이 담긴 어젠다를 선점하느냐에 따라 대선의 승패가 갈린다. 2012년의 대선은 어떤 시대정신을 기다리고 있을까.

<교수신문>은 창간 20주년을 맞아 전국의 대학 교수 541명에게 ‘향후 10년간 한국사회를 지배할 키워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를 꼽아달라고 부탁했다. 이번 대선에서 당선되는 대통령의 임기는 2018년 2월까지다. 남은 2010년대의 키워드를 물어봄으로써 2012년의 시대정신이 무엇인지 엿보기 위해서다.

교수들이 ‘향후 10년 한국사회 키워드’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단연 ‘복지’(47.9%, 복수응답)였다.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은 한국사회 키워드로 복지를 꼽았다. 이태수 꽃동네대 교수(경제학)는 “이제 한국 사회는 복지국가로서의 국가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고는 더 이상 지속가능한 사회가 불가능한 시점에 와 있다. 복지국가 없이는 민중들의 삶의 기반이 와해되며 더 이상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도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복지를 뛰어넘어 아예 ‘새로운 자본주의 모색’을 한국사회 키워드로 꼽은 교수도 20.9%(복수응답)였다.

복지에 이어 ‘사회통합’을 향후 10년 한국사회 키워드로 뽑은 교수도 44.9%(복수응답)나 됐다. 특히 1순위에서 선택한 키워드 가운데는 사회통합이 20.1%로 가장 많았다. 1순위 선택에서 복지는 19.6%로 사회통합 다음이었다. 조흥식 서울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사회통합이 새삼 부각되는 것은 그만큼 지금 우리 한국사회는 갈등과 분열이 깊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라며 “심각한 사회갈등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빈부갈등, 지역갈등, 이념갈등, 남북갈등과 함께 요즘 SNS시대를 맞아 세대갈등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설문에 응답 교수의 36.8%(복수응답)는 ‘양극화’를 한국사회 키워드로 꼽았다. 양극화는 1순위(13.5%), 2순위(13.9%) 선택에서도 세 번째로 많은 교수가 한국사회 키워드로 골랐다. 이성백 서울시립대 교수(철학)는 “10년 전만 해도 ‘20대 80’ 정도로 표현되던 양극화가 이제는 ‘1대 99’로 표현될 정도로 대부분의 소득이 1%에 집중되고 있는 반면 99%의 생활수준은 이미 감내할 수 있는 선을 넘어버렸다”라고 말했다.

‘저출산·고령화’를 꼽은 교수도 양극화와 비슷한 36.0%(복수응답)였다. ‘저출산 고령화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복지를 선택한 교수가 있는 반면 ‘저출산 고령화로 복지비용 부담이 증가’하기때문에 저출산·고령화를 꼽은 교수도 있다. 이래저래 복지가 화두인 셈이다.

그런데 교수들이 한국사회 3대 키워드로 꼽은 ‘사회통합-복지-양극화’는 사실 따로 떼서 보기보다 한 묶음으로 바라볼 때 그 의미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설동훈 전북대 교수(사회학)는 “한 마디로 향후 10년간 한국사회를 지배할 키워드는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 불평등을 어떻게 완화시키는 것과 관련돼 있다. 소득 ‘양극화’로 인한 사회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통합’목표를 ‘복지’정책을 통해달성하는 것이다”라며“그것은 미래의 일이 아니라 당면과제다”라고 강조했다. 이성백 교수는 “양극화의 근본 원인인 신자유주의의 폐해들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복지’가 대안적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현재까지 보수나 진보진영에서 제시된 복지 정책은 양극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평가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향후 10년간 한국사회 키워드를 바라보는 시각에 다소 차이가 드러나는 점도 눈길을 끈다.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진보’(49.6%, 복수응답)나 ‘중도’(49.7%, 복수응답)라고 평가한 교수들은 복지를 한국사회의 키워드로 꼽았지만 ‘보수’라고 응답한 교수들은 50.8%(복수응답)가 사회통합을 택했다. 1순위 선택에서도 ‘진보’라고 밝힌 교수들은 23.1%가 복지를 꼽았다. 반면 ‘중도’(26.5%)나 ‘보수’(20.3%) 성향의 교수들은 사회통합을 가장 많이 꼽았다.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전용덕 2012-12-25 19:37:00
인문학적 즉 인간을 중심관점으로둔 학문계열 과 역으로 자연을 중심관점으로둔 계열들과
학제간연결을 하다보니 참어렵습니다 인간만의 세상도 아니고 자연의일부분도 아닌
다른 관점이 필요해지더군요 둘다 옳다입니다 둘다 그르다 라고한다면 그것도 맞다고생각합니다 옳다그르다의 기준은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즉 가변적이라는것입니다 변화없는
고정된 하나의 것을 추종하다보면 자기중심적이 되어 문제가 발생된다고 사료됩니다
위 기사에서 놓친 부분은 통계적 정확성과 정보수집능력입니다 집단이 한개인도 누락되지않게 도움을 주려할때 그사람에 대한 정보습득능력이 있어야합니다 기계적이고 비감성적이라서 이상하게 보일지는 몰라도 객관적이라는 사실을 알수있는 인간의 한계를 넘을수있는 최후의방법입니다 개개인의 세밀한 정보까지 알수없는한 이런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