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5:25 (금)
[동향과 쟁점] 과학기술의 미래를 바라보는 서구지식인들 2)
[동향과 쟁점] 과학기술의 미래를 바라보는 서구지식인들 2)
  • 교수신문
  • 승인 2002.05.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2-05-02 10:18:31
유전자 둘러싼 계급전쟁 반발 예언

‘우리 포스트-휴먼의 미래: 바이오테크놀로지 혁명의 결과’(이하 ‘포스트-휴먼’)가 올해 4월 출간됐다. ‘크로니클’지는 3월 22일자에 ‘포스트-휴먼’을 축약 게재했다. 저자인 일본계 미국학자 프란시스 후쿠야마 존스 홉킨스대 교수(국제관계학)는 지난 1989년 ‘역사의 종언’을 제목으로 한 논문을 발표해서 논쟁메이커로 부상한 스타지식인이다. 그는 10년이 지난 1999년에 자신의 주장을 번복하는 글을 ‘내셔널 인터레스트’지 여름호에 발표해서 다시 한번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두 번째 생각: 병 속에 든 최후의 인간’이 바로 자신의 이론을 수정한 논문. 10년 전 자신이 과학기술의 발전을 염두에 두었더라면 죽지 않은 역사에 실수로 訃告선언을 하지는 않았으리라는 것이 그 내용이다. 수정논문 이후 3년이 흘렀고, 후쿠야마 교수는 바로 그 과학기술의 위협을 인식하기 시작한 듯 보인다. 이번에 출간된 ‘포스트-휴먼’은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미래의 인간들을 위협한다는 묵시록을 담고 있다. 생명공학의 발전 앞에서, “인간 본성에 따르면 자유 민주주의는 승리할 수밖에 없고 이로써 역사는 종말을 맞게 된다”는 13년 전 그의 주장은 번복되지 않을 수 없었던 것.

후쿠야마 교수는 조지 오웰의 ‘1984년’과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가 각각 정보테크놀로지와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의해 지배되는 세계라고 설명한다. 그는 오웰이 기술적으로는 정확했지만 정치적으로 오판했음을 지적한다. 20세기 후반, 이른바 ‘PC혁명’은 ‘빅브라더’ 대신 정보접근의 민주화와 정치의 탈중심화를 낳았다는 것이다. 후쿠야마 교수는 오웰보다는 헉슬리의 정치적 통찰에 손을 들어준다. ‘1984년’이 그리는 세계는 고전적인 기술독재인 반면, ‘멋진 신세계’는 아무도 다치지 않고 명백한 악이 없기 때문에 더 미묘하고 도전적이라고 후쿠야마 교수는 말한다. “멋진 신세계에서는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지만, 그들은 인간이기를 포기했다.” 헉슬리의 말을 빌어 후쿠야마 교수는, 인간이란 고통받고 외로우며 병에 걸리는 존재라고 역설한다. 바이오테크놀로지가 현대인에게 엄청난 위협을 주고있다는 후쿠야마 교수의 진단은 여기서 비롯된다. 인간본성을 바꾸고 우리들을 ‘포스트-휴먼’의 역사단계로 옮겨놓을 가능성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렇게 표현한다. “나는 바이오테크놀로지에 그다지 낙관하지 않는다. 다른 많은 과학적 진보와 달리,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불분명한 위험을 명백한 혜택이 담긴 솔기가 튿어진 보자기에 함께 담아서 오기 때문이다.”

기술 발전과 정치 쟁점의 상관관계 역설

바이오테크놀로지는 핵무기나 핵에너지처럼 처음부터 위험이 예상됐던 기술과는 다르다. 저자는 이 신기술이 가져다 줄 전형적인 위험을 소설가 울프의 글제목으로 요약하고 있다. “미안합니다만, 당신의 영혼은 죽었습니다.” 영혼이 죽어버린 인간들의 미래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고 후쿠야마 교수는 예언한다.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펼쳐질 세 가지 시나리오.

그 첫 번째는 신경약물학의 발전으로 인성은 점차 가변화돼, 인간들은 요일별로 자신의 성격을 마음 내키는 대로 바꿀 것이다. 두 번째는 줄기세포 연구로 인간의 신체조직을 재생해내어 1백살 넘게 수명을 연장시킬 것이다. 셋째로, 부자들이 태아의 배아를 선별해서 우생의 인간을 낳게 될 것이며, 이윽고 외모나 지능을 통해서 젊은이들의 사회적 배경을 짐작하게 될 것이다. 후쿠야마 교수는 이 세 가지 시나리오가 불과 한 두 세대 뒤에 닥쳐올 현실이라 주장한다.

저자는 ‘포스트-휴먼’에서 기술발전과 정치적 쟁점의 상관관계를 지적하고 있다. 우선 달라진 인간 세상에서 ‘정치적 권리’의 문제야말로 본질적이라는 것이다. 가령 유전적으로 완전히 인간이라 할 수 없는 인간과 ‘일반적인’ 인간을 어떻게 대접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부자 아빠’들이 그들의 아이들과 자손들에게 더 높은 지능의 유전자를 사준다면, “도덕적인 딜레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계급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는 섬뜩한 예언도 서슴지 않는다.

보편적 인간본성 주장에 거센 반론 일어나

과학기술과 정치의 후쿠야마식 결합에 이의를 제기한 사람은 리처드 르원틴 하버드대 교수(유전학)다. 그는 후쿠야마 교수의 ‘포스트-휴먼’ 역시, 인간의 신경체계를 조작해서 인간 본성을 바꿀 수 있다는 공상과학적 상상력에 기대고 있다고 비판한다. 5월 8일 가판대에 오를 ‘뉴욕 리뷰 오브 북스’에서 르원틴 교수는 ‘과학의 정치학’이라는 제목으로 후쿠야마 교수의 신간을 서평했다. 르원틴 교수는 과학의 산물이 정치작용의 본성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는 오웰과 헉슬리같은 소설가들에게 남겨진 역할인데, 거기에 후쿠야마 교수가 합류했다고 꼬집고 있다. 르원틴 교수의 비판은 주로 후쿠야마 교수가 논의전개의 토대로 삼은 ‘인간본성’에 맞춰진다. 후쿠야마 교수가 역사의 종언을 선언했던 배경에는, 인간의 본성 때문에 자유민주적 자본주의의 승리는 당연한 역사의 귀결이라는 논리가 있었다.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의해 인간본성에 변화가 온다면”이라는 가정은 후쿠야마 교수에게 자연스럽게 관심의 이동을 가져온 셈이다. 르원틴 교수는 “인간 제도를 규제하는 기본적 ‘인간본성’이 있고 그것을 결정하는 신경의 통로가 인간의 두뇌 속에 있으며, 그것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이것을 조작해서 신체의 화학적인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는 후쿠야마 식의 주장은 과학적으로 오류가 있다고 비판한다. 우선, 르원틴 교수는 “모든 인간이 비슷하다고 주장할 만큼 후쿠야마 교수가 어리석지는 않다”고 비틀어 말한다. 인간들의 양상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수많은 변이를 지닌다는 것. 둘째로 놀랍도록 수많은 ‘소수자’들의 존재는 역사적 변화를 이끌었고, 이로써 만들어진 역사이론들이 역설적이게도 그 보편적 ‘인간본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후쿠야마 교수의 설명에서 유전자가 결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척도로 유전가능성을 꼽는 것이 오류라고 지적한다. 유전자가 결정적이라면 인간역사도 모두 다시 쓰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달 18일부터 1주일동안 미국의 종합월간지 ‘리즌’에서 후쿠야마 교수와 그레고리 스탁 UCLA대 교수(의학) 사이에 논쟁이 이뤄졌다. 스탁 교수는 후쿠야마 교수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한 위협이, 가짜 두려움을 누그러뜨리기 위해서 오히려 진짜 위험을 초래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생물학적인 혜택에 대해서는 철학자나 윤리학자 뿐 아니라 모든 시민들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들도 판단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후쿠야마 교수가 테크놀로지가 인간에게 초래하는 위협을 과대평가하고 그것을 규제하는 데서 오는 위협을 과소평가 한다고 비판했다. 논쟁 중에 스탁 교수는 규제대상에 대한 세부적인 질문을 회피하는 듯 보이는 후쿠야마 교수에게 이렇게 비판했다. “생명공학 연구에서 정말로 금지해야 할 부분을 이야기하려고 하면, 후쿠야마 교수는 모호하게 넘어가 버린다. 하지만 정말 길을 나섰을 때 마주칠 수 있는 장애물들은 바로 이런 세부적인 것들이기 때문이다.”

이번 저작은 어떤 평가에 직면하게 될까. 르원틴 교수의 평가는 혹평에 가깝다. 후쿠야마 교수의 저작에 대해 ‘사회과학의 사고실험’이라는 평가를 내렸기 때문이다. 르원틴 교수는 서평을 마무리하며 후쿠야마 교수의 저서 ‘포스트-휴먼’의 약점을 에둘러 비판한다. “후쿠야마 교수는 역사를 바꿀만한 힘을 가지기 위해서 신경약물학 실험실을 차지하겠죠. 저 같으면 이슬람 원리주의 학교 마드라사스를 택하겠습니다.”

이옥진 객원기자 zo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