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3:35 (목)
“장학금 늘리고 시간강사 제도 개선 먼저”
“장학금 늘리고 시간강사 제도 개선 먼저”
  • 김봉억 기자
  • 승인 2010.03.08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문조사] 인문학 대학원 교육 개선 방안은

가장 위태로운 환경에 놓여 있는 인문학 대학원을 살리는 처방전은 무엇일까.
인문학 교수 31명에게 해답을 물었더니 ‘장학금 제도 확충’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가장 효과적인 개선책도 장학금 확충과 함께 시간강사 제도 개선, 인문학 전공자를 위한 직종 개발과 사회진출 보장을 꼽았다. 다음으로 박사 후 과정 개설 및 확대, 교수 충원, 해외 연수프로그램 확대와 재정지원, 박사학위자 중등교원 진출기회 부여 등을 제시했다. 한결같이 인문학 학문후속세대의 안정적인 사회진출 경로를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인식이다. 외부 연구비도 넉넉지 않기 때문에 인문학 대학원생들은 거의 전적으로 개인이 학비를 조달하는 형편이어서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진일상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팀 전문위원은 지난해 10월, ‘인문학 기초연구인력 양성현황과 질적 제고방안’을 위한 설문조사를 벌여 인문학 교수 31명에게 답변을 받았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최근 연구총서를 펴냈다.

진일상 전문위원은 “설문조사 결과, 국내 대학원 과정의 문제는 외부 요인, 예를 들어 다양한 학위제도의 도입이나 해외 교원 유치, 외국 대학과의 교류강화 등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고 밝혔다. 진 위원은 “이는 대학원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와 배출 인력의 사회적 활용도를 높이는 데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설문에 따르면, 국내 인문학 대학원의 교육의 질이 낮은 이유로 교수들은 ‘장학금 제도’를 가장 많이 꼽았고, 도서관 및 강의실 등 교육인프라, 학생의 질, 교수의 질 문제를 다음으로 들었다.

그러나 외국 유학 선호도가 높고 여전히 외국 학문 의존도가 높은 현실도 드러났다. 응답자의 74.2%가 대학원에서 지도하고 있는 학생에게 외국 유학을 권유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71.0%는 이미 외국 대학에 진학한 제자가 있다고 밝혔다. 지도학생에게 유학을 권유하거나 학생이 외국 대학으로 진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학위 취득 후 국내 대학에서의 취업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75.0%(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선진학문을 습득할 필요’와 ‘현지 언어 습득을 위해’, ‘교육인프라가 우수하기 때문에’ 유학을 간다는 응답은 뒤를 이었다. 신임교수를 임용할 때도 외국 박사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58.1%, 선호도가 없다는 응답은 22.6%였고, 판단할 수 없다는 답변은 19.4%를 차지했다. 국내 대학이 양적으로 팽창하고 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계속 늘고 있지만 대학원 교육과정은 내실 있게 운영되지 못해 교수들 스스로도 국내 학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부실한 교육과정에 의해 배출된 인력은 국내 학위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교수 임용도 외국 박사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우수 인력은 외국으로 유출돼 국내 대학원 교육이 공동화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진 위원은 “정신적인 자산이 되는 자생적인 인문학의 토양이 존립할 수 없다는 점에서 중대한 문제”라며 “현 상황에 대한 냉정한 인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인 교육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원 교육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 대학원 장학금 제도의 확충과 외국 대학 학위논문 결과의 국내 환류, 대학원 전담교수제 시행, 인문학에 대한 국가차원의 인식제고를 들었고, 장기적으로는 박사학위자의 중등교원 진출 가능성 확보, 교수인력 확충, 대학 및 학과별 특성화, 시간강사 제도 개선, 교육재정 확충, 군소·희소 학문 정책 마련 등이 제시됐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