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1:30 (토)
카이스트·서울대 논문,“누구나 볼 수 있게”
카이스트·서울대 논문,“누구나 볼 수 있게”
  • 김유정 기자
  • 승인 2008.12.31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가 학술정보 공유 확산 움직임

대학가에서 인터넷 정보창고(Archive) 개설움직임이 활발히 일고 있다. 아카이빙 서비스는 미국, 일본 대학에서 많이 시행하고 있지만 한국은 오픈 엑세스(Open Access)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출발이 늦은 편이다.

카이스트는 지난해 4월 ‘코아사스(KOASAS)’ 서비스를 개시했다. 코아사스는 카이스트 교수들이 쓴 학술논문을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다. 서울대는 최근 ‘S-SPACE’를 열고 서울대 교수들의 학술논문과 강의자료 등을 업데이트하고 있다. 이들 대학은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아사스는 카이스트 교수가 자신이 쓴 논문을 직접 올리는 셀프 아카이빙 방식으로 정보창고를 운영하고 있다. 개설 초기엔 영문저널과 컨퍼런스 논문이 게재 대상이었지만 올해 시스템고도화사업의 일환으로 한글분석기를 도입해 한글논문도 제출 가능하다. 교수들이 자신의 논문을 올리면 관리자가 저작권을 확인한 뒤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7천500여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상황이다.

서울대는 최근 학술정보 아카이빙 서비스 ‘S-SPACE’를 가동했다. 카이스트 코아사스가 교수 학술논문이 수집 대상이라면 서울대 에스 스페이스는 교수들이 저널에 투고한 논문을 포함해 강의자료, 석·박사 논문 등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학술자료를 모을 계획이다.

아카이빙 서비스 사이트에 올릴 수 있는 자료 가운데 저작권이 어디에 있는지 불분명한 저작물은 게시 대상에서 제외된다. 카이스트 학술정보개발팀은 최근 저작권 정책을 확인하는 공문을 각 학회에 보냈다. 학술논문 대부분이 학회를 통해 출판되기 때문에 아카이빙 허용여부에 대한 학회의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이재민 학술정보개발팀 직원은 “64개 학회에 메일을 발송해 저작권 정책에 대한 답변을 요청했지만 50% 미만의 학회만 회신했다”고 전했다. 그만큼 학회가 저작권과 관련해 뚜렷한 정책을 갖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교수가 자신의 논문을 공개하고 싶어도 학회에서 저작권 정책에 대한 답변이 없어 승인이 미뤄지는 경우도 있다. 서울대 역시 저작권에 문제가 되지 않는 자료에 한해 서비스한다는 방침이다. 석·박사 논문, 학부 논문은 학과에서 원할 경우에 게재한다.

카이스트, 서울대를 시작으로 아카이빙 서비스는 대학가에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윤현수 카이스트 학술정보처장(전산학과)은 “코아사스는 카이스트 지명도를 높이고 교육기관을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글 등의 검색 서비스에서 논문 키워드를 입력하면 코아사스에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해외에서 카이스트를 알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코아사스가 대학들의 아카이빙 서비스 모델이 될 수 있을까. 윤 처장은 “연구중심대학이면 몰라도 코아사스 모델이 국내 대학에 많이 퍼질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반면 서울대 아카이빙 서비스는 미국, 일본, 중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김미향 서울대 도서관 전산지원실장은 “사이버 상에서 누구든지 학습자료를 올리고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게 운영 목적”이라며 “MIT를 시작으로 일본에서는 이미 20여개 대학이 관련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의 특징과 정책에 따라 정보 공개 범위와 대상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에서는 정보공유의 개념이 이제 시작되는 단계다. 앞으로 이러한 정보공유 움직임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픈 액세스 정책에서 저작권, 특히 표절로 인한 저작권 침해는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오픈 엑세스가 잦은 표절을 부르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권대우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 회장(한양대 법학과)은 “표절시비는 연구자의 교육관이 문제지, 오픈 엑세스 자체가 표절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권 회장은 “저작권자 스스로 오픈 엑세스를 하겠다고 선택하는 것은 몰라도, 국가기관 같은 외부기관에서 오픈 액세스를 강요하는 것은 큰 문제”라고 덧붙였다.

김유정 기자 je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