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1:55 (금)
[학이사] 한국사진을 말하다
[학이사] 한국사진을 말하다
  • 이주한 순천대·사진예술학
  • 승인 2008.10.06 1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몇 해 전 우리나라의 사진작가 배병우 서울예술대 교수가 경주의 소나무를 소재로 사진 작품 한 점이 영국의 국제아트페어에서 영국의 유명한 대중가수인 엘튼 존에 의해  1만 5000파운드(약2800만원)에 구매 되는 일이 있었다. 그 작품을 사가며 엘튼 존은 ‘이거야 말로 나를 위한 작품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그 후 그의 작품은 5번째 마지막 에디션이 얼마 전 1억 2000만원에 재거래됐다. 사실 이러한 미술품의 거래는 이전부터 잘 알려지고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회화나 조각품이 아닌 사진이라는 매체의 작품이 미술시장에서 이렇듯 높은 가격에 거래가 된다는 것은 대학에서 사진을 가르치고 있는 나로서는 참으로 기쁘고 감격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진은 공식적으로는 1839년에 영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 후 사진은 그간 회화가 해오던 많은 번거로운 일들을 대신 맡아 참 분주히도 일해 왔다.

또한 지금까지 기사의 삽화로서, 모든 행사들의 기록의 수단으로서, 또는 여러 분야에서 이런저런 보조적 역할을 해왔다.
이렇듯 사진은  얼마 전까지 만해도 어느 누구도 하나의 미술작품으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세계는 문화와 예술의 순진했던 시절을 벗어나 무한 경쟁의 시장으로 내달리고 있다.

더 이상 예술은 취미나 향연의 수단이 아니다. 바로 지난 15일 영국 런던의 소더비경매장에서 영국의 현대미술가이자 현존하는 최고 가치의 작가인 대미언 허스트(Hirst.43)가 하루에 56점의 작품을 팔아 우리 돈 1274억원을 벌어들이는 보통 사람들로서는 믿기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물론 그의 작품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유명 미술관이나 대기업의 빌딩들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천안의 아라리오갤러리에서 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을 팔아 얻은 그의 재산이 약10억달러(1조1000억원)으로 추정 된다고 한다. 이렇듯 문화예술은 지금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서 새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또한 기존의 회화, 조각, 판화 등의 정형화된 장르에서 벗어나 사진, 비디오, 디지털 소재 등 다양한 혼합매체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사진이 우리나라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구한말이였지만 본격적으로 한국인 사진가들이 활동하기 시작한 시기는 해방 후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지금 경기도 과천의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10월 26일까지 건국 60주년을 기념해서 열리는 ‘한국현대사진 60년 전’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를 통해 해방이후의 한국사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가 비로소 만들어졌다. 이 전시회를 통해 볼 수 있듯이 60년간의 한국사진은 참으로 부지런히 달려왔음을 알 수 있다.

해방의 기쁨과 정부수립 과정의 감격, 6·25동란의 참혹함, 폐허를 딛고 일어서는 우리 한국인의 근면성실함과 근대화의 활기찬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고 또한 199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 사진 르네상스를 통한 예술로서의 변화하는 모습을 이 한 전시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진의 발전에는 사진교육의 힘이 컸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사진 교육은 1970년대 중반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에 사진학과가 설립된 것을 시작으로 2008년 현재 전국의 사진관련학과는 30여개의 대학에 이를 정도록 확대 심화돼 왔다.
한해 사진을 전공한 졸업생을 천여명이상씩 배출하고 있다.

비록 다른 인문, 경상계열 등의 학과들과는 비할 수는 없지만 한국사진의 역사 60년을 가늠해볼 때 대견스런 발전이라 할 수 있겠다. 사실 초창기 한국대학에서의 사진 전공의 입지는 독자적으로 정립된 입지가 전무한 상황이여서 예술대학 내 미술전공의 시스템을 따라 교과편성, 연구실적 등의 운용체계가 이루어지다보니 사진매체의 성격과는 차이가 있어 교수들의 연구의 다양성 등에 다소의 제한한 감이 없지 않은 면이 있었다. 더욱이 요즈음과 같이 미술작품의 형태들이 멀티미디어를 통한 혼합 소재화 돼가고 있는 예술계의 시대적 상황에서는 이런 제한적인 기존의 시스템이 창작적이며, 다양성을 중시해야 하는 사진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대대적인 변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진학 관련 학회로는  ‘한국사진학회’와 ‘현대사진영상학회’가 있다. 비록 타 학문분야에 비해서는 그 절대적 수는 적은 편이나 학회를 통해 활발한 연구 활동들을 하고 있고 몇 해 전부터는 사진미학을 중심으로 박사과정이 만들어져 몇몇의 사진학 관련 박사들을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사진학은 뒤늦은 출발과 초창기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단순한 기술로 치부돼 학문으로서의 그 존재적 입지를 인정받지 못 하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 그 확고한 입지를 바탕으로 예술문화발전의 주요 학문으로 거듭 태어나고 있다.

이주한 순천대·사진예술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