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18:30 (수)
SCI논문, 최고 3천만원까지
SCI논문, 최고 3천만원까지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6.11.25 0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6년 교내 연구비 지원 현황

 

연구논문수가 그 대학의 연구경쟁력으로 평가받는 현실에서 교수들의 논문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교내 연구비 ‘당근’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교내 연구비 지원 단위가 커지고 있는 것이 우선 눈에 띤다. SCI 논문 한 편을 쓰면 1천만 원을 지급하는 대학들이 늘고 있는가 하면, 최고 3천만 원까지 지원하겠다는 대학도 나왔다.

서강대도 올해부터 ‘자유경쟁 공모 과제 방식’으로 전환, 이공계 분야는 최고 3천만 원까지, 인문·사회분야는 최고 1천2백만 원까지 교내 연구비를 지원한다는 공고를 낸 바 있다. 올해 실제 지급액은 이공계 분야의 경우 최고 2천5백만 원까지 지급됐다. 물론 연구결과는 SCI급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또, 신임교수 전원을 대상으로 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대학도 늘고 있다. ‘젊은 피’ 활용이 더 생산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한양대는 올해 2학기부터 신임교수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려, 이공계 신임교수에게 2천만원, 인문사회, 예체능 신임교수에게는 1천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인하대도 신규 임용후 2년 동안 이공계에 2천만원, 인문사회분야에 1천2백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1인당 교내 연구비 수혜액이 커지고 지급 기준도 세분화되고 있다.
교수신문이 전국의 15개 주요 사립대의 교내 연구비 지급 현황을 조사한 결과, 1인당 교내 연구비 수혜액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반면, 총액 연구비는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선택과 집중’ 방식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 등급에 따른 교내 연구비 지원 차이도 커지고 있다. SCI급 학술지 논문이냐, 학진 등재지 논문이냐에 따라 지원액수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SCI, SCI-E도 구분해 2백~3백여만원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교내 연구비를 최고 3천만원까지 지원하겠다는 대학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다.
동국대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는 대형국책 지원사업의 사업 우위 선점 및 수주를 위한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연구기반 강화사업’을 펼치고 있다. 학교가 ‘종자돈’을 지원해 대형국책과제 수주를 늘리겠다는 목표다. 자유공모 방식으로 전임교원 3명 이상으로 구성된 연구팀에게 교내 연구비를 지원한다. 대형과 소형으로 나눠 지원하고 있는데, 대형의 경우 이공계분야에는 최고 3천만원까지, 인문사회분야에는 최고 1천만원까지 지원한다. 연구기간 종료 2년 이내에 대형국책과제를 수주하면 연구결과물을 제출한 것으로 인정된다. 수주를 못하면 SCI급 학술지 이상의 학술지에 2편이상을 게재해야 한다.

서강대는 과제별로 6백만원 상한선을 두고 단과대학별 배분 지원 방식에서 올해부터는 ‘자유경쟁 공모과제 방식’으로 바꿨다. 이공계 분야에 최고 3천만원까지, 인문사회분야에는 1천2백만원까지 지원한다. 연구결과는 SCI급 논문만 인정된다. 특별연구비 예산도 전액 삭감돼 우수논문을 발표한 교수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예산으로 전환됐다. 서강대는 이같이 경쟁방식을 강화하면서 지원 대상은 기존 교수들보다는 신임교수에게 우선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또, 인문사회분야 교수를 좀 더 배려한다는 계획이다.

신임교수 지원을 강화하는 움직임도 많다.
한양대는 올해 2학기부터 지원을 늘려 이공계 신임교수에게는 2천만 원을, 인문·사회, 예·체능계열의 교수에게는 1천만 원을 ‘신진교수정착연구비’로 지원했다. 이공계 신임교수들은 연구종료후 2년안에 SCI·SSCI·A&HCI 등의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하며, 인문·사회 교수들은 학진 등재(후보)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인하대도 신임교수에 대한 교내 연구비 지원이 최상급이다. 이공계분야는 신규 임용후 2년 동안 매년 1천만원씩 총 2천만원을 지원받아 SCI논문 2편을 내놓아야 하고, 인문사회계 분야도 2년 동안 매년 6백만원씩 총 1천2백만원을 지원받아 국내공인학술지에 2편의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재직하고 있는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SCI급 논문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1인당 교내 연구비를 1천만원씩 지원하는 대학도 종종 눈에 띤다. SCI, SSCI, A&HCI 등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 게재를 조건으로 1천만원 이상을 지원하는 대학은 계명대, 배재대, 서강대, 인하대, 조선대, 한양대 등이다. 특히 조선대는 1천1백만원까지 지원해 최상위권에 속하는 편이다. 조선대는 SCI-E 논문은 8백8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SCI급 논문 게재 장려를 위해 동아대는 이공계에 8백만원, 인문사회에 6백만원을 지원하고 있고, 광운대·원광대는 7백만원, 숭실대는 5백만원을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논문연구외에 저술연구에도 지원을 강화하는 대학도 있다. 연세대는 2년간 저술연구에 1천만원~1천5백만원을 지원하고 있고, 계명대도 2년간 저술연구 조건으로 1천만원이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눈여겨 볼만한 차별화된 교내 연구비 지급 사례도 있다.
건국대는 교수 개인에게 직접 지원하기 보다는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교내 연구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직접 지원 연구비는 줄이고, 간접 지원을 늘려 연구여건을 강화한다는 계획도 섰다. 그래서 학술진흥연구비는 이전 10억원 수준에서 올해 4억1천만원(서울캠퍼스 기준) 수준까지 떨어졌다.

 건국대의 지난해 교내 연구비 총액은 63억원이었다. 건국대 관계자는 “개인에서 센터중심으로 지원을 늘리고 있다. 개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융합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개인에서 센터중심으로 교내 연구비 지원을 늘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조선대는 올해 교내 연구비 지급 방식을 바꿔 ‘무경쟁 선정제도’를 도입했다. 지난해까지 상·하반기로 나눠 경쟁방식으로 지급해 왔으나, 올해에는 매월 1일부터 10일까지 교수가 원하는 달에 신청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이전 교내 연구비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 등 결격사유가 없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게 했다. 자연히 신청이 늘었고, 연구비 지급도 예년보다 늘어났다. ‘무경쟁 선정제도’의 도입으로 교수들의 자발적인 연구력 증진 효과도 있었다는 평가도 나왔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규모의 한계와 연구과제 관리도 힘들어 내년부터는 분기별로 나눠 1년에 네 번 교내 연구비를 신청하도록 하고, 경쟁원칙으로 다시 선회했다.

조선대 김성준 교무연구처장은 “올해 교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해 ‘무경쟁 선정제도’로 바꿔 논문수는 많아져도 한정된 예산속에서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었다”라고 말했다.

세종대는 일부 교수를 대상으로 지원하던 교내 연구비를 올해부터 전체 전공별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급 방식을 바꿨다. 특히 인문사회계 교수에게 지원을 좀 더 활성화하겠다는 방침도 정했다.

세종대 관계자는 “외부 연구비 수주를 위해 자유 공모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굳이 교내 연구비까지 경쟁방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나. 교내 연구비는 이공계에 치우친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골고루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대는 현재 학진 등재지 이상 논문을 게재토록 하고 3백만원이내에서 교내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같이 교내 연구비를 활용, 교수들의 논문 게재를 늘리기 위한 대학들의 노력은 대학평가 대비는 물론, 외부 연구비 수주 확대를 위한 밑거름이 된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외부 연구비 간접비 재원도 앞으로 대학의 주요 재원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SCI급 논문 게재 후에 격려금을 강화하는 추세도 많은데, 성과급 효과도 있다. 동아대의 경우, 교내 연구비 지원을 받든, 안 받든 SCI급 논문을 게재하면 2백만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동아대 관계자는 “이왕에 SCI급 논문을 쓰면 중복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성과급 효과도 있고, SCI급 논문을 쓰려는 동기부여도 된다”라고 전했다.

반면, ‘선택과 집중’이라는 지급방식이 늘면서, 돈으로 연구를 유도하는 반지성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