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의원, 2019∼2022 서울대 및 전국 의대 신입생의 출신지역 분석

서울대와 전국 의대 정시전형 합격자 5명 중 1명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안양만안)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9일 국회에서 ‘최근 4개년(2019∼2022) 서울대 및 전국 의대 신입생의 출신지역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대 신입생의 63.4%, 전국 의대 신입생의 45.8%가 수도권 출신이다. 강 의원은 “수도권과 지역 간의 심각한 교육 격차가 수도권 쏠림과 지역 위기를 가중시키는 기제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서울대와 전국 의대의 수도권 출신 신입생은 꾸준히 늘었다. 2019년 61.8%였던 서울대 수도권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22년 64.6%로, 4개년 평균 63.4%의 학생이 수도권 출신이다. 전국 의대도 마찬가지다. 2019년 44.2%였던 전국 의대 수도권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22년 46.3%를 기록했다. 4개년 평균 전국 의대 신입생의 45.8%가 수도권 출신이다.
강 의원은 “서울대의 경우 수도권 출신은 거의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의대의 경우도 그 비율이 44%에서 46%로 증가한 2020년 이후로 계속 높은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시 전형일수록 수도권 출신이 득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 경우 정시 전형 10명 중 8명(78.8%)이 수도권 출신으로, 58~59.5% 사이를 오가던 수시 전형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 격차는 의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수시 전형에서 36.1~38% 사이였던 수도권 출신 비율이 정시 전형에서는 무려 60.5%까지 치솟았다.
수도권 출신 비율의 증가세 역시 정시 전형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서울대 정시 전형의 경우 수도권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20년에 전년대비 4% 상승한 75.9%였고, 2021년에는 2.5% 포인트가 증가한 78.4%를 기록했다. 의대의 경우도 수시 전형에서는 2019년의 36% 대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정시 전형에서는 2020년에 4% 포인트가 늘었고, 2021년에 2% 포인트 가까운 증가세를 보이며 60%에 다다르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교육 격차가 정시 전형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2년의 경우, 정시 전형에서 강남 3구 출신 학생들은 수시 전형보다 3배에 가까운 합격률을 보였다. 이에 강득구 의원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정시 전형이 사교육 특구로의 쏠림을 부추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며 현재 입시 체제가 지역위기를 구조적으로 조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수도권 쏠림-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는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천명해 왔는데, 지금과 같이 명문대, 인기학과, 특별 전형에 수도권 출신과 강남출신들만 대거 진입하는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정부는 교육격차 해결을 위해 과감하고 확실한 방안을 2028 대학개편에 담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다인 기자 shin@kyos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