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20:05 (목)
새 교육부총리에 김신일 교수 내정
새 교육부총리에 김신일 교수 내정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6.09.01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교육단체 “대체로 무난”

김신일 서울대 명예교수(교육학과·65세)가 1일 새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후보에 최종 내정됐다.

박남춘 청와대 인사수석은 김 부총리 후보자 발탁 배경에 대해  “김 후보는 산업체 수요에 맞는 대학의 인적자원 제공과 지역 교육이 평생학습체제를 통해 가야 하며 이를 맡아줄 기관이 대학어야 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며 “대통령이 생각하는 산학협력관계나 평생학습, 인적자원개발분야에 상당한 전문가라고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박 수석은 또 “교육 전문성과 교육개혁 소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현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사회에서 원하는 인적자원을 개발·육성해 나가는 적임자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 후보자는 청주고와 서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부터 서울여대 교수를 거쳐 1980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사회교육학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장,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 교육부 평생교육정책자문단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교육학회장을 맡고 있다.

일부에서는 행정관리 경험이나 보직 경험이 별로 없어 조직관리에 어려움을 겪지 않겠느냐는 지적도 있으나 그동안 각종 위원회에서 찬·반 입장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능력을 보여 왔다는 점에서 원만히 이끌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야를 비롯 교육단체들은 “무난한 인사”라며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은 “인사청문회에서 교육철학이나 도덕성을 철저하게 검증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자는 김인세 부산대 총장, 조규향 한국방송통신대 총장과 함께 최종 후보에 올랐었다.
청와대는 김병준 전 부총리가 물러난 이후 25일만에 후임 부총리 후보자를 내정하기까지 전·현직 대학총장 6명, 교육관료 출신 5명, 전직 장·차관 11명 등 모두 35명을 놓고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들은 논문기준 강화에 상당한 부담을 느껴 고사한 경우가 있어고, 공직을 맡을 의향이 있는 인사의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만한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박 수석은 밝혔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다음은 박남춘 청와대 인사수석과 김 후보자 발탁이유와 인선과정에 대한 일문 일답.
△ 논문은 어떤 방식으로 검증했나
“인터넷에 나타나 있는 논문 목록 전부를 발굴해 한국학술진흥재단에 의뢰해 대조작업을 하고 학술지도 점검했다. 논문이 한 두편이 아니라 완벽하다고 말할 순 없지만 최대한 심혈을 기울였다.”

△ 김 후보자는 김인세 부산대 총장, 조규향 한국방송통신대 총장과 함께 최종 후보로 올랐다. 다른 두 분에 비해 어떤 점이 두드러졌나.
“김인세 총장은 부산대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보였다. 나머지 두 분 중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김 후보자는 교육학자로서 교육사회학을 했고, 논문을 검증해보니 균형된 시각과 교육정책에 대한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온 것으로 평가됐다”

△김 후보자가 행정기관 경험이 없어 조직관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김 후보자는 문민정부 때도 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이었고 문민정부 교육개혁의 틀을 짜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시민단체 활동도 굉장히 잘하는 등 교육단체의 평가가 좋았다. 이런 점을 봤을 때 조직관리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김 후보자는 교육부총리로서 어떤 분야에 중점을 두게 되나.
“김 후보자는 평생학습에 상당한 조예가 있다. 대학개혁은 산업과 연계돼 있어 수요에 맞는 교육을 발전시키는데 전문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논문을 보니 산업체 수요에 맞는 대학의 인적자원 제공과 지역 교육이 평생학습 체제를 통해 가야 한다며 이를 맡아줄 기관이 대학이어야 한다는 지론이 있었다. 대통령이 생각하는 산학협력관계나 평생학습, 인적자원 개발분야에 상당한 전문가라는 판단이다.”

△이번 인선과정의 흐름을 소개해달라.
“전·현직 대학총장 6명, 교육관료 출신 5명, 전직 장.차관 11명 등 모두 35명을 놓고 후보를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대학 재직한 분들이 논문기준 강화에 대한 상당한 부담을 느껴 고사한 경우가 있었고, 나머지 공직맡을 의향이 있는 분들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만한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렇게 여러 변수를 고려하다 보니 시간이 걸렸고 힘들게 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