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현장감·학생과의 소통…한국 게임의 ‘여명’ 만들다 [전문대학, 교육의 미래를 찾아서② 경기 이천 청강문화산업대 '게임콘텐츠스쿨' ]한쪽 문이 닫히면 다른 문이 열린다. 코로나로 많은 분야가 움츠렸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도 있었다. 게임엔진 제작 기업 유니티 테크놀로지스가 지난해 발표한 ‘코로나 19로 인한 게임산업 변화: 19가지 특징’에 따르면 WHO팬데믹 선언 전과 비교해 PC·콘솔 게임 이용자 수는 46% 증가했다. 특히 모바일 게임앱의 설치 건수는 84% 증가하면서 게임산업의 성장을 증명했다.한편 지난해 12월, 게이머들을 놀라게 한 작품이 국내에서 탄생했다. 「여명」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이 게임(사진)은 뛰어난 퀄리티 전문대학 교육의 미래를 찾아서 | 조준태 | 2021-04-05 08:50 “결과로 증명하는 커리큘럼…작품 완성도 높여 나가는 게 방향” [청강문화산업대 게임콘텐츠스쿨의 경쟁력] 20여 년 전, 국내 최초 게임학과로 시작해 현재 단일 게임학과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청강문화산업대 게임콘텐츠스쿨. 첨단 기술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는 게임 업계를 따라잡는 그들만의 경쟁력은 무엇일까. 지난달 30일 이동후 교수(컴퓨터디자인과·사진)를 인터뷰했다.△ 학생들에게 어필하는 청강문화산업대의 강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결과로 증명하는 커리큘럼이 우리 대학의 가장 큰 장점이다. 국내에서 유저에게 배포할 수 있는 프로젝트 졸업작품을 만드는 곳은 청강대뿐이다. 컨셉이나 영상 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완성품 전문대학 교육의 미래를 찾아서 | 조준태 | 2021-04-05 08:49 [여수 한영대학교] 지역 맞춤·산학 밀착···국가산단특성화계열 집중 [지역 맞춤·산학 밀착···국가산단특성화계열 집중] 학령인구 감소의 여파로 다수의 전문대학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 이러한 입학생 감소 추세는 재정의 대부분을 학생 등록금에 의존하는 전문대학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전문대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 모색이 시급한 시점이다. 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와 함께 현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에 주목하고, 평생직업교육 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혁신사례와 우수 운영사례를 발굴한다. 첫 대학은 한영대다. 한영대(총장 임정섭)는 척박했던 입시 어려움을 뚫고 신입생 충원율 100%를 달성했다. 한영대가 학령인구 감소의 칼바람으로부터 자유로웠던 이유는 크게 전문대학 교육의 미래를 찾아서 | 하혜린 | 2021-03-23 08:52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