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격리’, 만능 아니지만 가장 오래되고 효과적인 대책 ‘SF’는 ‘과학소설(Science Fiction)’을 뜻한다. 이전까지 허구와 상상력은 소설이나 영화뿐 아니라 과학에서도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여기서 쓰려는 ‘SF’는 과학 따라잡기 혹은 과학과 친구맺기라는 의미의 ‘Science Follow’를 뜻한다. 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 모두에게 과학적 사고와 과학적 사실들이 좀 더 확장되길 바란다.40일 동안 정박했던 격리의 시작사람에서 동물과 사물까지 격리사회구조적 문제까지 살펴봐야‘자가 김재호의 Science Follow | 김재호 | 2021-01-14 09:09 ‘코로나 사이언스’가 풀어내는 RNA바이러스와 백신 [김재호의 Science Follow 2회]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이 국내에서 시작됐다. 81일만에 1일 신규확진이 313명이 됐다. 이와 동시에 코로나19 백신 소식이 전 세계에 희망을 주었다. 코로나10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증식 방법을 아는 건 백신과 직결된다. 최근 출간된 『코로나 사이언스』(기초과학연구원 기획, 동아시아, 220쪽)는 현장에서 직접 바이러스의 RNA를 분석한 과학자들이 썼다. 김재호의 Science Follow | 김재호 | 2020-11-26 09:08 문어의 팔과 다리, 반자율적 신경계로 진화하다 [김재호의 Science Follow 첫회] ‘SF’는 공상과학을 뜻하는 ‘Science Fiction’을 뜻한다. 이전까지 허구와 상상력은 소설이나 영화뿐 아니라 과학에서도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여기서 쓰려는 ‘SF’는 과학 따라잡기 혹은 과학과 친구맺기라는 의미의 ‘Science Follow’를 뜻한다. 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 모두에게 과학적 사고와 과학적 사실들 좀 더 확장되길 바란다. 화학촉각 수용체 단백질로진화한 문어의 팔과 다리잘려나가도 독자적으로 판단 문어가 게를 삼키는 모습 김재호의 Science Follow | 김재호 | 2020-11-18 09:08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