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30 00:35 (토)
사변적 실재론 입문
사변적 실재론 입문
  • 최승우
  • 승인 2023.01.31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레이엄 하먼 지음 | 김효진 옮김 | 갈무리 | 448쪽

2007년 4월 27일에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첫 번째 사변적 실재론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각자의 관념이 느슨하게 결합한 네 명의 젊은 철학자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레이엄 하먼, 퀑탱 메이야수가 이 워크숍의 중요한 참가자였다.

그 후 15년여에 걸쳐 사변적 실재론의 아이디어들은 철학을 넘어 미술과 건축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과학문으로 확산하였다. 사변적 실재론은 현재 대륙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새로운 조류임이 분명하다.

이 책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의 최초 구성원 중 한 명이 집필한 일반 개론서다. 그레이엄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에 가장 중요한 미학적·윤리적·존재론적·정치적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하먼은 자신의 객체지향 존재론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며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 동료들인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리고 퀑탱 메이야수에 대한 비판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평가를 제시한다.

다음과 같은 철학적 물음들이 네 개의 장을 함께 엮는다. ‘상관주의’란 정확히 무엇인가? 무엇이 사변적 실재론의 주적인가? 철학적 실재론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실재론에 더 이바지하는 것은 수학과 자연과학인가 아니면 미학을 포함하는 인지 활동에 대한 더 넓은 모형인가?

이 책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개념적 전개 둘 다를 서술하는 친절하고 상세한 입문서다. 각 절의 끝에 제시된 그레이엄 하먼의 연습문제들은 독자가 이해를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보조 수단이 된다. 무엇보다 사변적 실재론이 현대 철학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활발한 분야라는 점을 이 책은 보여준다.

1. 『사변적 실재론 입문』 상세한 소개
21세기 기후재난 시대의 철학, 사변적 실재론
‘인류세’ 시대로 지칭되는 21세기에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는 철학사상적 조류는 신유물론으로 대표되는 ‘물질적 전회’와 더불어 사변적 실재론이 선도하는 ‘사변적 전회’임이 틀림없다. 사변적 실재론은 2007년 4월 런던에서 개최된 한 워크숍에서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레이엄 하먼 그리고 퀑탱 메이야수라는 네 명의 철학자에 의해 탄생하였고, 15여 년간 꾸준히 그 지적 영향력을 넓혀왔다.

최근의 철학에서 사변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을 필두로 인간과 독립적인 사물의 실재성과 물질성, 행위성을 강조하는 사상적 경향이 발흥한 현상, 즉 “실재론의 부상”이 나타난 까닭은 무엇일까? 그 이유는 포스트칸트주의 철학 이론들이 인간중심주의적인 기본 도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인류세 시대의 중대한 문명적 위기인 기후재난을 성찰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존재론적·인식론적·정치적·윤리적 물음들을 제기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기후재난으로 특징지어지는 인류세 시대는 팬데믹, 홍수, 폭염, 멸종 등을 일상의 조건으로 만듦으로써 인간이 자연의 주인도 아니고 세계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게 해주었다. 다시 말해서 일상에서 우리는 비인간의 실재성과 행위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런 현실이 세계는 인간에 대하여 또한 인간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본질적으로 인간중심적인 관점인 상관주의에 반기를 드는 사변적 실재론이나 신유물론 철학이 전 세계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는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사변적’ ‘실재론’의 의미
하먼은 철학에서 사변적 실재론 운동이 시작된 지 한 세대 가까이가 지났기에 이제 그 운동의 성공과 한계를 평가할 적기가 되었다고 진단하면서 책을 시작한다. 최근에 사변적 실재론은 그것이 ‘정규’ 주제로서 수용된 철학계를 넘어서 미술, 건축, 문학, 고고학,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 체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요한 새로운 관점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사변적 실재론 같은 것은 존재하는가?”와 같은 비판자들의 ‘존재’ 시험을 통과한 지 오래다.

『사변적 실재론 입문』의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과 「서론」에서 그레이엄 하먼은 2007년 4월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 워크숍이 개최되기까지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준다. 네 명의 사상가는 지금은 각자 자신의 입장을 좀 더 분명히 하게 되어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우산 아래 묶이기를 거부하는 인물(브라지에)도 있고 서로 간에 개인적 불화가 있기도 하지만, ‘상관주의’(correlationism)에 반대한다는 관점을 저서와 논문에서 확인하며 서로를 발견했던 초창기에는 “대륙철학을 그저 인간의 세계에의 접근보다는 오히려 세계 자체에의 관여로 되돌리려는 공동의 소망”(6쪽)을 갖고 있었다.

각기 다른 네 사람의 생각을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우산 아래 통합하는 공통분모는 ‘상관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상관주의’란 “우리는 세계를 인간 사유의 상관물로서 언급할 수밖에 없고, 인간 사유와 세계는 서로 별개로 고려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반실재론적’이고 ‘인간중심주의적’인 관점이다. 사변적 실재론의 최초 구성원 네 사람은 모두 “인간 사유와 독립적인 세계의 실재가 존재한다”라는 철학적 입장, 즉 ‘실재론’을 신봉한다.

임마누엘 칸트 이래로 200여 년 동안 대륙철학을 장악해온 것은 반실재론적이고 관념론적인 이른바 ‘포스트칸트주의’ 철학(독일 관념론, 현상학,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해체론 등)이었다. 사변적 실재론은 이러한 경향에 정면으로 반기를 드는 새로운 포스트휴머니즘 운동이다. 더욱이 사변적 실재론은 대륙철학에 의해 금기시되어온 것, 즉 ‘사변’에 기꺼이 관여하려는 ‘대담한’ 의지로 하나가 된다.

하먼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의 상식적 실재론들과는 달리”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들은 “모두 직관에 반하거나 혹은 심지어 철저히 기묘한 듯 보이는 결론에 이른다는 의미에서 사변적이다.”(24쪽)

프로메테우스주의, 생기적 관념론, 객체지향 존재론, 사변적 유물론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들 네 명은 여러 가지 점에서 서로 대립하는 상이한 사조들을 주장한다. 하먼은 각 사상가의 입장을 1~4장의 제목으로 삼는데, 그것은 브라지에의 ‘프로메테우스주의’(1장), 그랜트의 ‘생기적 관념론’(2장),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3장), 그리고 메이야수의 ‘사변적 유물론’(4장)이다.

한편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은 사변적 실재론이 탄생 이후 이와 같이 네 가지 사조로 즉시 분할되었다는 점을 이 운동의 한계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그레이엄 하먼은 지젝의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 하먼이 단언하는 대로 “입장의 다양성은 언제나 사변적 실재론의 최대 강점”(419쪽)이었다.

‘사변적 실재론 개론서’를 집필할 사람을 추천해달라는 출판사의 요청을 받은 하먼이 스스로 과업을 맡겠다고 자청했다는 이야기로 서론은 시작된다. 하먼은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 네 명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살피는데 한 사람에 한 장씩을 할애하였다. 네 개의 장은 일관된 체계를 갖고 있는데, 하먼은 먼저 브라지에, 그랜트, 자기 자신 그리고 메이야수가 2007년 골드스미스 워크숍에서 발표한 진술과 주장들을 요약하고, 네 사람의 철학의 핵심 논점들과 주요 저서들을 꼼꼼하게 살핀다.

그러고 나서 각 철학자의 최신 작업(이 책의 원서는 2018년에 출간되었다)을 검토하면서 그들이 현재는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를 설명한 후, 가까운 미래에 어디로 향할 것인지를 추측하며 각 장을 마무리한다. 이런 배치를 통해서 각 장에서는 브라지에, 그랜트, 하먼 그리고 메이야수의 간략한 지적 역사와 그들에 대한 철학적 평가가 제공된다.

이 책의 1~4장에서 하먼이 자세히 고찰하는 각 철학자의 주저는 브라지에의 『풀려난 허무』, 그랜트의 『셸링 이후의 자연철학』, 하먼의 『도구-존재』 그리고 메이야수의 『유한성 이후』이다. 하먼은 이 책들의 내용을 요약하고 자신의 비판적 견해를 덧붙인다. 이 과정에서 하먼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상가들의 차이뿐만 아니라 나머지 세 사람이 서로 합의하고 이견을 드러내는 논점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논점들이 철학사에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능수능란하게 서술한다.

이 책의 결론에서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을 구성한 실재론들의 다양성이야말로 “내가 그 집단이 우호적인 논의를 위한 토론의 장으로서 현존했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주된 이유다”라고 밝힌다. 하먼은 결론에서 이들 네 명의 사변적 실재론 사상가가 하위집단으로 분할될 수 있는 두 가지 축을 제시하며, 사변적 실재론 사조들이 수렴하고 발산하는 지점들을 정리한다.

하먼의 의해 제시된 그 두 개의 축은 (1) 과학과 철학의 관계, 그리고 (2) 사유와 세계의 통약 불가능성과 관련되어 있다. 첫 번째 축을 따라 살펴보면, 브라지에와 메이야수는 인간의 사유와 독립적인 실재에 관한 지식을 과학 혹은 수학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는 과학주의적 입장 혹은 수학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반면에 하먼과 그랜트는 그런 실재에 관한 지식은 직접 획득할 수 없다는 일종의 형이상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두 번째 축을 따라 살펴보면, 그랜트와 메이야수는 실재와 그 이미지 사이에 ‘연속성’이 존재한다고 간주하는 반면에 브라지에와 하먼은 실재와 그 이미지 사이에는 ‘불연속성’이 존재하기에 ‘위험한 도약’을 시도할 수밖에 없다고 여긴다. 끝으로 하먼은 “이 책의 젊은 세대 독자들에게 다양한 사변적 실재론 사조를 중요하게 만든 것을 이해한 다음에 마침내 이들 사조를 대체해보라고 권유”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이 책은 내부자만이 들려줄 수 있는 통찰과 세부사항들로 가득하며,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주제를 처음 접하거나 들어본 사람들이 사변적 실재론에 입문하는 데 적합한 개론서다. 게다가 이 책은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각 장에서 각 절 끝에 하먼이 마련한 연습문제들을 제시하고 있기에 사변적 실재론을 가르치려는 사람들과 배우려는 사람들, 토론하려는 사람들 모두에게 유용하고 믿음직한 교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사변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의 일독을 권한다.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