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04:05 (금)
축구열풍이 그저 파시즘이라고?
축구열풍이 그저 파시즘이라고?
  • 김진석 인하대
  • 승인 2006.06.21 00:00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비평

▲김진석 / 인하대·철학 ©
다시 뜨거운 월드컵바람. 2002년과 달리 거리응원이 광장을 독점 계약한 기업과 미디어의 주도와 후원 아래 놓이고, 방송들은 과잉편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불편하게 만드는 것은 열풍만이 아니다. 4년 전에도 그랬지만 벌써 그 열풍을 다시 ‘파시즘’의 이름으로 비판하거나 비난하는 냉풍들도 윙윙거린다. 이 냉풍은 저 열풍과 맞물리면서, 이것이 뜨거워지면 더 차가워진다. 뜨거운 축구상업주의 바람이 드는 것도 짜증스럽지만, 그렇다고 사람들이 축구에 들뜨고 환호하는 풍경 자체를 파시즘의 광기로 낙인찍어야 하는가. 열풍의 지나침을 경계하면서도, 그것을 금방 파시즘의 광기라고 말하지 않는 태도도 가능하다고 나는 믿는다. 뜨거운 바람 속에 서있으며 그 바람을 맞을 각오만 있다면.

뜨거운 바람들이 폭력적 경향을 띠기 쉬운 건 사실이다. 그러나 그 경향성 때문에 축구에 달아오르는 몸과 마음들에 파시즘의 낙인을 찍을 필요는 없다. 이렇게 예민하게 태도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는 한국 사회가 알게 모르게 다수의 폭력적인 바람들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며, 금방 거기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무망하기 때문이다. 월드컵열풍처럼 다소 폭력적인 현상들이 일어나더라도 그것들이 일어나는 구조적 정황을 고려하거나 인정한다면, 그것을 금방 파시즘적 광풍으로 몰고 가지 않아도 될 것이다. 거대담론의 차원에서 월드컵 혹은 축구 바람이 민족주의나 상업주의를 부추기는 것도 사실이다. 국민이 아니라 자본이 응원한다고 비판할 수도 있고, 사람들이 국가적으로 환호하고 열광하는 모습에 병리학적 요인이 도사리고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극단적인 행위들을 빌미로, 그것들과 닿아있는 모든 적극성과 능동성에 파시즘 딱지를 붙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 ‘파시즘’이란 표현이야말로 과도하게 남용되는 것이며, 심지어 그 말의 그런 과도한 사용행태도 자칫하면 ‘거꾸로 파시즘적’일 수 있다.

‘파시즘’이란 말은 오늘날 수사학적 표현으로 널리 쓰인다. 이 경우 그 말은 사회와 정치의 폭력적 불모성에 대한 인간의 불안을 표현하는 역할을 널리 수행한다. 반면 그 말은 과도하게 사용되고 남용될 때도 있다. 우선, 어떤 집단적 행위들이 폭력적으로 보이더라도, 다만 그 이유로 그것들을 모조리 파시즘의 광기라고 부르기는 힘들다. 정치적 차원에서 폭력의 원인과 결과, 배경과 맥락을 따져야 하기 때문이다. 폭력적으로 보이는 행위들이 있더라도 그것을 먼저 유발한 더 폭력적인 원인이나 주체가 있다면, 우선 그것에 비판의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모든 폭력적 현상을 똑같이 파시즘이라고 부르는 일은 공허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우리 사회가 주변의 강한 권력과 폭력의 자장 때문에 시달려왔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내부의 폭력적인 증상들을 다룰 때도 세심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파시즘 개념으로 사람들의 행위를 비난하는 사람들도 나름대로 함정에 빠지기 쉽다. 그들은 마치 자신들은 전혀 폭력에 손을 담그지 않고 있고 우매한 사람들만 스포츠에 사로잡혀 있다고 상정하는데, 이런 지적 계몽성은 편협하거나 공허하다.

 월드컵이 괴물인 것은 사실이지만, 따지고 보면 대학도 지식폭력을 생산·소비하는 괴물 아닌가. 월드컵이 상업주의에 물들어있는 것을 마치 시민들이 모르는 것처럼 훈계하는 비평들도 많다. 환호하거나 감동하는 민중이 그저 바보일까. 함정임을 알면서도 거기에 몸을 싣는 복잡한 행위가 존재한다. 그들은 칸막이된 지적 비평으로 밥을 먹는 사람이 아니라, 직접 폭력적 사회구조 안에 빡빡하게 끼인 채 그것을 살짝 타고 넘어야 하는 실존들이다.

물론 국가와 자본의 이름으로 경기에 열광하는 집단행위에 광적인 도취가 불안하게 어른거리곤 한다. 그러나 거기서 꼭 국가와 자본의 큰바위얼굴만을 보아야 하나. 그것이야말로 그 얼굴들을 근엄하게 만드는 일일 수 있다. 오늘 이 불안한 시대에도, 아니 어쩌면 불안할수록 사람들은 감동하고 몰입하고 때로는 싸우는 경기장을 원하는 듯하다. 국가와 자본, 특히 큰 것이 너무 불안하다고? 그럴수록 그것들의 이름을 빌려 그것들 사이에서 기쁘게 싸우고 대적하는 살풀이 마당이 있을 법하지 않은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소석 2006-06-23 23:24:41
국경일에 태극기 하나 제대로 다는 집을 보기 힘들고
선거 때 투표하기 싫어서 놀러가기나 하는 사람들...
이 사람들이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잠시 축제를 즐기는 것일 뿐인데 그걸 극렬 애국주의나 파시즘으로 갖다붙이기는 좀 어색하지 않나요?

월드컵 끝나면 평소의 무관심으로 돌아갑니다~!

살푸리? 2006-06-22 11:44:43
"국가와 자본, 특히 큰 것이 너무 불안하다고? 그럴수록 그것들의 이름을 빌려 그것들 사이에서 기쁘게 싸우고 대적하는 살풀이 마당이 있을 법하지 않은가?"....
큰 것들 사이에서 무엇을 향해 싸우고. 무엇을 향해 대적하는 살풀이 마당이란 말인가? 국가와 자본이 짓눌러 만들어진 '살'을 말한다면 그것을 풀수 있는 주술이 '월드컵'에 있다는 말인가? 파시즘 등으로 규정하는 것들에 대한 공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수많은 문화비평가들의 "월드컵"현상에 대한 침묵을 질타하라~

니체 2006-06-21 19:42:44
수십만명이 밤에 잠도 안자고 거리에 나가 붉은 유니폼을 입고 같은 제스처를 하고 태극기를 들고 애국가를 부르며 '대한민국~'을 외치는 것...이는 병적인 애국주의이다. 이 정도로 광분하는 나라는 없었고 없고 없을 것이다.한국인임이 수치스럽게 느껴질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