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8:00 (목)
‘소비·정치’ 주류로 성장…가짜 뉴스 판별할 기술 시급하다
‘소비·정치’ 주류로 성장…가짜 뉴스 판별할 기술 시급하다
  • 김재호
  • 승인 2023.01.18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Z세대를 위한 미래 기술

디지털 ‘금융 범죄·성범죄’ 막을 탐색기술 필요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치료도 미래 기술

가짜 뉴스와 디지털 금용 범죄에 대한 탐색·판별기술이 MZ세대를 위한 미래 기술로 제시됐다. MZ세대는 향후 소비와 정치사회에서 주류 세력으로 성장하며 세대교체를 이뤄낼 것이다. 이에 따라 IT 기술과 플랫폼을 활용한 적극적 소통으로 정치적 다양성이 증가할 전망이다. 조직보다는 개인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지며 한 회사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일을 동시에 하는 ‘긱 워커’도 늘어난다. 미래를 변화시키는 가장 큰 영향력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은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적 변화에서 나타난다.  

 

MZ세대는 IT 플랫폼을 활용해 정치적 다양성을 늘려갈 전망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가짜 뉴스를 탐색하고 판별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이 소통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최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MZ세대를 위한 미래 기술」를 발간했다. 미래에 발생할 사회변화에 따른 이슈와 대응에 필요한 미래 기술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문헌 조사 △전문가 자문 △MZ세대 워크숍 △설문 조사로 진행됐다. 사회과학자 7인과 MZ세대 7인이 참여해 13개 미래 이슈를 선정했다. 이를 토대로 MZ세대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내외부 연구진이 최종 미래 이슈 9개를 도출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력 MZ도 안다

설문 조사 결과, MZ세대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적 변화가 영향력과 불확실성이 가장 크다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친환경 소비, 개인 행복주의, 디지털 격차 심화, 소득양극화 현상, 근무형태 등 일자리 변화, 소비주의가 중요한 것으로 답했다.  

도출된 9개 이슈는 △정치주류로 MZ세대의 부상 △세대간·계층간·직업간 경제적 양극화 고착 △탄소중립을 위한 규제 영향 및 자발적 친환경 소비 증가 △성숙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경제활동 변화 △공정한 사회에 대한 사회적 요구 강화 △디지털 격차의 심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적 변화 △개인 행복주의의 라이프 스타일 확산 △일상의 디지털화이다.  

 

MZ세대는 기존의 수직적 집단정치 구조에서 탈피해 자발적인 참여 정치를 확대할 전망이다. 특히 구독·공유 경제가 확산하고 조기 은퇴하는 파이어족이 유행한다. 그래서 부업, 투잡, 파트타임이 보편화한다. 아울러, 디지털 격차가 심화하면서 메타버스·가상세계 내 신종 성범죄이 확대될 수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에 대한 의존도는 심해질 것이다. 인구구조의 측면에서는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비혼주의나 아이를 낳지 않는 딩크족이 유행할 전망이다. 

그런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여론 조작이나 가짜 언론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변화에 따른 위협이다. 특히 디지털 기술에 의한 반사회적 또는 윤리적 문제가 대두된다.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 증가로 개인적 외로움이나 병리현상이 증가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 등으로 개인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도 위협이다. 

이에 따라 필요한 미래 기술은 △IT 기술을 활용한 소통 플랫폼 △가짜 뉴스 탐색 및 판별기술 △디지털 자산 대상 금융 범죄 예측 △개인 맞춤형 문해력 향상 학습 솔루션 △가상 세계 성범죄 예방·탐색·판별 기술 △인간과 협업하는 인공지능·로봇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치료 △체험형 교육 콘텐츠 서비스 △오류·오작동 예방 소프트웨어 안전 기술 △차세대 보안 기술이 제시됐다.  

미래의 기술 이슈는 위협이지만 동시에 기회이기도 하다. 디지털 기술 활용으로 참여 민주주의가 확대되고 정치적 다양성이 증가할 것이다. MZ세대를 위한 맞춤형 창업지원이나 주택공급이 늘어 경제적 불평등은 완화될 수 있다. 창업이나 투잡, 조기 은퇴로 고용시장의 유연성은 확대될 것이다. 여가·문화생활에서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며 개인 행복주의의 라이프 스타일이 확산될 전망이다. 사회적 문제해결이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인공지능, 지능형 로봇 활용도 기대된다.  

몇몇 미래 기술은 10년 이내 실현 가능한 기술력을 갖췄다. 하지만 환경윤리나 법적 이슈로 인해 기술 상용화가 지체되고 있다. 따라서 규제, 인프라 등의 역량이 뒷받침돼야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충돌,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지 못하는 제도나 법에 대한 개선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아울러, 정치적·경제적·사회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기술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AI 분야의 인력 수급난, 시스템 구축 고비용 등으로 구축이 어려운 서비스 중 경제적‧사회적 약자에게 필요한 기술 개발에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 IT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연 협력, 해외 고급 인력 유치 등 질적·양적 육성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