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4:25 (금)
[원로칼럼] 나에게 정년은 없다
[원로칼럼] 나에게 정년은 없다
  • 교수신문
  • 승인 2001.07.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1-07-24 17:23:46
白面書生이라는 말이 있다. 글만 읽고 세상일에 어두운 선비를 일컫는 말이다. 이 말은 평생을 교단에서 가르치는 일을 업으로 삼은 교직자나 나 같은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인지 모른다. 많든 적든 얼마쯤의 월급을 타다 주면 모든 가계를 내자가 도맡아 꾸려왔기 때문에 지금의 오두막집에 사는 일까지도 나는 관여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 학비며 생활비 그 내역을 사실상 모르고 지내왔다.

그러면 내가 아는 것이 무엇일까. 내가 전공한 국어와 국문학 가르치는 일, 시 창작에 몰두하는 일 그 두 가지였고, 70~80년대 사회정의를 위하여 민주화운동에 깊숙이 관여하였던 것 외에 사회의 구석구석에 빼꼭하니 들어찬 세상사에 대하여 많이 어두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니 ‘백면서생’이라는 그 말이 딱 들어맞는 말이 아니겠는가.

바야흐로 새 세기 들어 세상이 급속도로 변하여 교육 대상인 학생들이 사는 생활환경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우리의 사고도 생활패턴도 따라서 변해야 된다고 야단이다. 국제화니 세계화니 주로 기계문명에 의해 모든 세상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가는 어마어마한 메커니즘의 구조를 보게 된다. 어지럽고 무섭다. 따라서 같이 변하기엔 나의 의식이 너무 경직될 것 같고 나의 사고의 틀이 그에 적응하기엔 벅찬 것 같다. 이러한 변화국면에서 발을 빼게 된 나의 교단 퇴직은 어쩌면 다행이었는지 모른다. 변화, 변화, 변화, 날만 새면 들려오는 이 구호 앞에서 그 변화를 못 따라가는 사람들의 초조함이나 당혹감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부적응증 같은 갈등을 어쩌지 못한다. 그래서 나의 퇴직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졌고 나로선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교육은 누가 하는가. 제도? 기계? 그것이 아닐 것이다. 아무리 세상이 변하고 기계화되고 컴퓨터 시스템으로 재편되어도 결국은 사람이 하는 것이 교육이다. 사람이 사람을 교육하기에 뜻 있고 어렵고 값진 것이다. 이 교육을 대행할 어떤 기계도 제도도 없는 것이다. 기계나 제도는 소도구이거나 수단이지 그 자체가 주체는 아니다. 교육의 주체는 아무리 세상이 우주 시대가 되어도 사람이다. 그 사람만이 세상의 주인이고 교육의 중심이다. 천만 가지가 다 변해도 사람은 역시, 사람. 그 사람은 농산물로 만든 음식을 먹고 똥을 싸고 예의와 도덕을 지키고 사랑을 통해 삶을 영위한다. 이 모든 것을 대신할 어떤 기계도 없으며 그 기계들이 사람을 지배하거나 사람 이상일 수가 없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빵으로 사는가. 사랑으로 사는가. 이 두 가지로 사는가. 빵과 사랑, 이 두 가지보다 소중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이 소중한 두 가지를 도외시한 교육은 반인간적 교육이다. 이 소중한 것을 도외시한 온갖 술수와 기만이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다.

나는 40년 동안 교단 위에서 사람으로서 사랑을 가지고 그 사랑의 참된 의미를 일깨우는 교육에 헌신했다. 그리고 그 사람의 사랑을 소재로 한 많은 글과 시를 써서 이 지구의 끝날에도 우리의 중심은 사람이며 이세상의 주인은 사람임을 강조하는 인간교육운동에 주력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에게 정년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