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9:40 (금)
식민사학 이끈 日교수…외·내부인 된 ‘이중의 타자’
식민사학 이끈 日교수…외·내부인 된 ‘이중의 타자’
  • 심희찬
  • 승인 2022.10.04 09: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 식민사학을 비판한다 ⑥ 경성제국대학

올해로 광복 77주년을 맞이했다.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된 지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식민지 근대화론과 좌우 대립 등 이념 갈등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과연 한국인은 당파 싸움만 하며 전통만 고수하다가 나라를 빼앗겼을까. 이번에 출간된 ‘일제 식민사학 비판 총서’ 시리즈는 그동안 온전히 드러나지 않았던 일제 식민사학의 실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대학·언론·박물관·철도주식회사·조선총독부 등은 과연 어떤 식으로 식민사학을 개발해왔는지 알아본다. 

여섯 번째는 경성제국대학이다. 정준영 서울대 교수는 경성제국대학의 일본인 교수들이 조선을 제대로 아는 게 중요하다는 걸 인식했으며, 추사 김정희, 퇴계 이황 등 조선의 지적 거인들을 부각시켰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본인 교수들은 조선이 이런 거인들을 받아들일 수 없는 폐쇄적인 사회였다는 비판이 배후에 도사리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심희찬 연세대 HK교수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앞선 단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준영 교수의 연구가 경성제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분석 시기 또한 식민지기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심 교수는 일본으로 돌아간 경성제대의 연구자들이 어떤 모순과 역설에 놓였는지 ‘포스트 경성제대’의 문제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식민주의 역사학의 바탕에 일본의 근대역사학이 자리 잡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의 연구는 그 대상을 적어도 제국대학에 사학과(1887년) 및 국사과(1889년)가 설치되는 시기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일제의 조선사 연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는 해방 이래 한국 역사학계의 커다란 화두 중 하나였다. 김용섭(1931∼2020), 이기백(1924∼2004) 등 역사학의 거장들이 ‘식민사학’의 문제를 처음 제기한 1960년대부터 최근의 ‘식민주의 역사학’ 논의까지, 많은 연구자가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가지고 이 문제를 다루어왔다. 부끄러울 따름이지만, 그래도 관련 논문을 얼마간 발표했던 서평자가 보기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와 조선 연구』는 일제의 조선사 연구에 관한 논의를 새로운 인식론적 차원으로 이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의 내부 풍경.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은 당시 조선총독부도서관을 능가하는 장서 규모를 자랑했던 일본 식민지의 최대 도서관이었다. 사진=사회평론아카데미

대단히 거친 정리지만 지금까지의 관련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단계를 거쳐왔다. 첫 번째는 ‘식민사학’ 연구의 단계다.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연구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하는데, 일제의 조선사 연구가 지닌 식민주의적 측면, 그리고 왜곡과 개찬(改竄)을 지적하는 내용이 많았다. 이어서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의 단계가 시작된다. 식민주의 역사학이라는 개념은 기존의 당위적 주장을 벗어나 일제의 조선사 연구가 근대역사학의 일반적 특성을 공유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논의의 초점을 더욱 확장·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중대한 전환을 가져왔다. 

저자는 주로 두 번째 단계의 방법론을 공유하면서도 그 성과를 종합·발전시켜 세 번째 단계의 문제들을 제시한다. 이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일제의 조선사 연구가 내포할 수밖에 없었던 모순이다. 식민사학이건 식민주의 역사학이건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일제의 조선사 연구를 몇 가지 특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했고, 그 결과 거기에는 마치 완결된 자기동일성이 있는 것처럼 생각되었다. 일본 내에서 성립된 역사연구 방법론이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식민지에 적용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상세히 검토하는 것처럼 식민지의 역사를 조사·서술하는 작업은 제도와 사상의 측면에서 수많은 딜레마와 좌충우돌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하나는 ‘조선 연구’ 그 자체의 불/가능성이다. 근대적 학지(學知)로 무장한 제국 일본의 분과학문은 고유성과 보편성의 조화를 그 목적으로 내세웠지만, 식민지 조선에서는 이와 같은 학술적 낭만이 통용될 수 없었다. 외부의 타자이면서 이제는 내부가 된 ‘이중의 타자’ 조선에서 그 고유성이나 보편성을 확인하는 작업은 정치적·사상적으로 위험한 일이었다. ‘식민지의 제국대학’이라는 경성제국대학의 독특한 위상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저자는 식민주의 역사학에 존재하는 이러한 역설을 날카롭게 도려내 도마 위에 올려놓는다. 바로 ‘조선 없는 조선 연구’의 역설이다. 조선의 독자성과 보편성은 동양이라는 더 큰 범주 속에서 해체되고, 이렇게 조선이 희미해진 자리에는 일본의 비대해진 제국주의적 자기의식이 현현한다. 

 

식민주의 역사학 극복의 실마리를 찾아서

이 책은 경성제대 법문학부를 중심으로 제국 일본의 조선 연구에 새겨진 이와 같은 모순과 역설을 꼼꼼하게 분석함으로써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를 세 번째 차원으로 인도하는 가교 역할을 한다. 식민주의 역사학이 고정되고 확정적인 내용을 가지기는커녕 수많은 아포리아 속에서 기능부전에 빠지게 되는 지점에 관한 연구다. 저 강고해 보이는 식민주의 역사학은 실제로는 조선 연구의 불/가능성에 허우적댔으며, 나아가 제국 본국의 학술 제도까지 위험에 빠트릴 수 있는 폭탄 같은 존재였다는 것이다. 식민주의 역사학 극복의 실마리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이러한 실마리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작업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나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앞선 단계에 대한 고찰이다. 이 책은 경성제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분석 시기 또한 식민지기에 집중돼 있다. 그렇지만 식민주의 역사학의 바탕에 일본의 근대역사학이 자리 잡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의 연구는 그 대상을 적어도 제국대학에 사학과(1887년) 및 국사과(1889년)가 설치되는 시기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즉 일본 근대역사학의 특성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의 내재적 특성을 도출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범인 찾기’라는 식민사학 연구의 프레임에 언제든 다시 갇히게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이른바 ‘포스트 식민주의 역사학’, 혹은 ‘포스트 경성제대’의 문제다. 해방 이후 일본으로 돌아간 경성제대의 연구자들은 이번에는 어떤 모순과 역설에 놓이게 되었을까? 보편성과 특수성의 교착 속에서 일본을 비추는 텅 빈 거울이었던 조선은 이제 외부의 타자가 된 것일까? 그들은 조선 연구의 경험과 성과를 패전 이후 일본 사회에서 어떻게 활용했으며, 이는 ‘신생’ 일본의 자기 인식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이에 대한 분석까지 나아가야만 식민주의 역사학의 현대적 의미도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저자가 보여준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의 세 번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그 분석 시기를 앞뒤로 더욱 늘려서 폭넓게 연구하는 긴 호흡의 작업이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심희찬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 HK교수
일본 리쓰메이칸대학(立命館大學)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한일근대사상사이다. 일본 문부과학성 학술진흥재단 외국인 특별연구원,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HK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일본의 근대, 근대의 일본』, 『근대한국학 데이터베이스 자료집 1』 등을 공동 집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