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9:45 (금)
“‘이제는 지방대 시대’ 일관성 있게 실천하라”
“‘이제는 지방대 시대’ 일관성 있게 실천하라”
  • 김봉억
  • 승인 2022.07.07 1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 연합, ‘반도체 인력양성’ 입장문 7일 발표
“반도체 관련 수도권대학 정원 규제 완화 반대”…8일 교육부장관과 간담회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 연합이 7일 반도체 인력 양성에 대한 지역대학 입장문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1월 국회에서 지역대학 발전을 위한 '5대 정책' 청원문을 발표하는 모습이다.

비수도권 127개 대학 총장들이 반도체 관련 수도권대학 정원 규제 완화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윤석열 정부가 밝힌 ‘이제는 지방대 시대’라는 국정과제를 일관성 있게 실천하라고 문제제기에 나섰다. 총장들은 8일 오후 서울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박순애 교육부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지역대학의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비수도권 대학 총장들은 지난 6일 이 내용으로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가 박순애 교육부장관이 5일 임명됨에 따라 교육부와 먼저 소통하자는 의견을 받아들여 기자회견을 유보하고 8일 간담회를 갖게 됐다. 

비수도권 127개 대학 총장들로 구성된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 연합’은 7일 반도체 인력 양성에 대한 지역대학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총장들은 무엇보다 지역인재 수도권 유출의 심각성을 외면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 당국은 지방소멸의 위기를 직시하고 대응방식을 근본에서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총장들은 제안했다.

이들은 수도권 대학 정원의 증원은 국정과제 ‘이제는 지방대 시대’와 정면으로 어긋난다고 했다. “우리 지역대학 총장들은 지역대학에 직접 타격을 주는 수도권 학생정원 증원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라고 총장들은 밝혔다. 

비수도권 대학 총장은 대안으로 지역대학의 역할 증대, 대학 간 역할 분담, 공유교육 체제 도입을 제안했다. 먼저, 매년 부족이 예상되는 반도체 관련 인력 530여명은 수도권을 제외한 9개 광역지자체에 속한 국·공·사립대 10여개를 선정해 대학별로 평균 60여 명씩 양성하자고 했다. 수도권 대학에는 반도체 관련 설계전공트랙, 연합전공 등 시스템 반도체 특화 전공을 자체적으로 신설해 학부 학생정원을 늘리는 대신 대학 내 정원을 조정하거나 기존 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들이 추가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우수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의 관련학과 대학원 정원을 확충하자고 했다. 이와 함께 2021년 교육부에서 실시한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의 반도체 분야 인력 양성 사업을 확대하고, BK21 사업단(팀)을 확대해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산업 분야의 우수 석·박사 인력을 확대 양성하는 방안도 내놨다. 

지역대학 중심의 초광역권 반도체 공유대학 운영도 제안했다. 몇 개의 지역거점대학과 지역의 국·사립 대학이 협력해 공정별, 분야별로 교수진과 커리큘럼을 구성해 공동학위를 수여하고, 전공뿐 아니라 실험실습과 프로젝트 등의 비교과 과정을 수행하게 해 전문성을 인증해주는 제도를 도입하자는 것이다. 

비수도권 대학 총장들은 이외에도 전국에 있는 반도체 설계교육센터 운영비 지원 강화, 반도체 공정교육센터 설비투자 강화, 지역인재 수도권유출 대응 위한 관련 법률 개정 등을 요청했다. 

총장들은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새 정부의 국정과제는 시의적절하다”며 “이제는 지방대 시대라는 정부의 획기적인 인식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실천방안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 연합’ 지역별 회장은 다음과 같다. △대전·세종·충남지역(청운대 총장 이우종)  △부산·울산·경남·제주지역(창신대 총장 이원근) △광주·전남지역(조선대 총장 민영돈) △대구·경북지역(대구한의대 총장 변창훈) △전북지역(원광대 총장 박맹수) △충북지역(한국교원대 총장 김종우) △강원지역(상지대 총장 홍석우)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는 지난 1월 19일 지역대학 발전을 위한 ‘5대 정책’ 청원문을 발표한 바 있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