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8:25 (금)
인사총·사교련, “새 정부에 기초학문 발전 위한 정책 수립 바란다”
인사총·사교련, “새 정부에 기초학문 발전 위한 정책 수립 바란다”
  • 윤정민
  • 승인 2022.04.18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에 바란다:4차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과학의 역할과 학술정책' 학술토론회
지난 15일 서울비즈센터에서 개최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서울비즈센터에서 토론회를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서울비즈센터에서 토론회를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이사장 위행복 한양대 명예교수, 이하 인사총)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이사장 양성렬, 이하 사교련)는 학술토론회 ‘새 정부에 바란다 : 4차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과학의 역할과 학술정책’을 지난 15일 서울비즈센터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김유경 한국교수노동조합연맹 사무국장을 좌장으로 해, 「문제는 사람이다!」(안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4차산업혁명시대 사회과학의 위상과 역할」(김천영 인사총 공동회장), 「인문사회 분야 대학정책에 대한 제언」(유원준 전 전국사립대학교인문대학장협의회 수석부회장) 등 세 개의 발표가 진행됐다.

안재원 부교수는 “인문학은 시대를 초월해 인간을 성찰하는 학문”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그 역할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인문학이 그 정체성과 본령을 지키면서 더욱 사회와 소통하는 학문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정신적으로 성숙한 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이며, 헌법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를 실현하는 것이 인문학의 의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헌법적 가치를 인문사회 분야가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초학술기본법’(가칭)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천영 공동회장은 대전환의 시대를 맞아 새로운 문제 인식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공동회장은 사회과학이 인간과 사회의 문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목전의 가시적 성과에 연연하지 않는 긴 호흡의 연구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문 분야의 위기 담론이 지배적일수록 정직하고 성실한 대응이 요청된다고 말했다.

유원준 전 수석부회장은 현 대학 위기가 사실상 ‘인문사회’의 위기라며, 이에 대해 학계가 일정한 책임이 있지만, 원천적인 책임은 교육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유 전 부회장은 “지금 우리 실정으로는 국내 상위권 대학이 미국 200위권 대학 정도의 연구와 교육 여건 조성을 목표로 삼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는 교육부에 기대하기에 앞서 학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와 국회를 설득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실증적 자료 확보와 논리 수립을 서둘러야 하며, 이를 위해 인사총과 사교련이 주축이 돼 지식인들의 새로운 플랫폼을 구성하고, 실효적인 정책 대안을 개진해가자고 제안했다.

 

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서울비즈센터에서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기초학술법 제정·학술연구 예산 증액·인문사회 학술정책연구 기구 설립 시급

종합토론에는 김용석 대학정책학회장, 이지현 전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장, 윤영순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 윤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단장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종합토론에서는 대학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 기능은 무엇인지 등을 재점검하고 합의해 나가야 하며, 정부는 인문사회과학의 발전을 위한 장기적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김용석 대학정책학회장은 토론에서 인문사회 분야 학자들이 도덕적 용기와 비판적 지성을 회복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 참가자들은 ‘기초학술기본법’ 제정을 위해 인사총과 사교련이 협조해 전국의 관련 분야 교수들의 의견을 조속히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인문사회 분야의 융합연구를 활성화할 국가의 제도적 지원과 견인이 필요하며, 학술연구 예산 증액과 인문사회 학술정책연구를 위한 기구 설립이 시급하다는 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인문사회 분야의 자기 성찰과 사회적 기여도 제고 △학계 현황을 파악하고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 출범 △인문사회 분야의 장기적 발전을 견인할 제도 수립 △민간으로부터의 지원 확보와 연구의 자율성 회복 등을 주장했다.

위행복 인사총 이사장은 인문사회 분야의 위상 제고와 장기적 발전 기반을 수립하는 데 인사총이 기여할 것이며, 사교련과 긴밀히 협조해 대학과 학문의 발전을 추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성렬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고사 위기에 처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현실을 지적하며, 우리 사회 문제 대부분이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역할 부재에서 기인했다고 말했다. 양 이사장은 “특히 교육 현장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못한 채 시행된 「강사법」 등으로 비전임 교원들과 학문후속세대가 더욱 어려워졌다”라며 “학계가 능동적으로 인문사회 분야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새 정부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고등교육 재정의 확대 등 대학 운영을 정상화할 제도적 기반이 수립되고, 나아가 기초학문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인식을 높여서 대학의 학문체계 붕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이사장은 “디지털 세계도 현실 세계의 인간과 사회 문제를 반영할 수밖에 없고 기술 발전과 활용에 대한 가치 판단도 인문사회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라며, 학문의 균형발전은 언제나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정민 기자 lucas@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