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7:40 (토)
민교협, "사회 변혁·전환 위한 진보적 담론 재구성 필요"
민교협, "사회 변혁·전환 위한 진보적 담론 재구성 필요"
  • 윤정민
  • 승인 2022.02.10 11: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교협, 2022년 대선·지선 권력재편기에 대응 대토론회
9일 서울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열어
민교협이 지난 9일 '2022년 대선·지선 권력재편기에 대응 대토론회'를 열었다. 왼쪽부터 남기정 민교협 상임의장, 김윤철 경희대 교수, 이승원 서울대 교수, 하상복 목포대 교수. 사진=윤정민

진보교수연구자들이 정치, 노동, 기후정의 등에 필요한 진보적 담론 재구성을 논했다.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이하 민교협)는 지난 9일 서울 서대문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2022년 대선 지선 권력재편기 대응 토론회’를 열었다.

‘20대 대선 이후 한국정치 재설계 구상의 요소’를 주제로 발표한 김윤철 경희대 교수(후마니타스칼리지)는 선거제 변경, 다당제로의 전환 전략 등에 초점이 맞춰진 진보 정치 노선이 보완되거나 병행하는 다른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치 의제 토론자로는 이승원 서울대 교수(아시아도시센터연구소), 하상복 목포대 교수(정치학과)가 참여했다. 이 교수는 새로운 대중과 시민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논했고, 새로운 주권적 자산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과제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 교수는 “유토피아 없는 새로운 세상을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며 현 정치에 대한 아쉬움을 밝혔다.

민교협 토론회 제2세션은 '노동 없는 민주주의와 노동의 위기'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왼쪽부터 김진균 민교협 공동의장, 권영숙 민교협 공동의장, 한상균 민주노총 지도위원, 임운택 계명대 교수. 사진=윤정민

노동 분야에는 권영숙 민교협 공동의장이 ‘노동 없는 민주주의와 노동의 위기’라는 주제로 발제했다. 권 의장은 1987년 체제 전환 이후의 한국 자유주의 한계와 이와 밀접한 노동좌파의 위기를 점검하고 개선점을 밝혔다.

노동 의제 토론에는 한상균 민주노총 지도위원와 임운택 계명대 교수(사회학과)가 참여했다. 한 위원은 87년 체제를 넘기 위한 노동철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87년 체제 논쟁은 이제 무의미하다며 정책역량보다는 정치 역량, 한국 사회의 구체적 현실에서 미래사회에 대한 비전과 이를 추진하는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교협 토론회 제3세션은 기후정의와 관련한 의제로 진행됐다. 왼쪽부터 이호중 민교협 공동의장, 김상현 서강대 교수, 김현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홍덕화 충북대 교수. 사진=윤정민

김상현 서강대 교수(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는 생태사회주의를 키워드로 기후정의 관련해 발제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진보 진영이 기후·생태 이슈를 외면하고 있다며 “노동운동, 사회운동, 진보적 학계 등은 명의를 빌려주거나 외곽에서 지원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기후·생태위기 이슈를 스스로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회·생태적 변혁의 대안적 비전과 담론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선 홍덕화 충북대 교수(사회학과)는 김 교수가 지적한 진보진영의 기후·생태 이슈 무관심한 모습에 대해 “진보 진영과 비판적 지식인 공동체 대응이 뒤쳐졌거나 전환 관리 차원에 머무르는 건 아닌지 반문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김현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은 기후정의와 생태정치학이 접목하는 공통의 깃발 또는 이미지로서 ‘2030년까지 민주적·참여적 생태 계획 경제 제도와 운동 기반 만들기’를 제안했다.

 

윤정민 기자 lucas@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