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3:50 (금)
한중 3000년, 그 애증의 역사
한중 3000년, 그 애증의 역사
  • 이지원
  • 승인 2021.11.11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태영 지음 | 살림 | 576쪽

3000여 년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를 통한

우리 역사 바로 보기

역사적으로 수천 년의 관계를 맺어온 한국과 중국의 왕조 흥망과 문화사, 현대사 등 두 나라의 공존과 교류 이야기를 통해 한국사에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중 관계사 사료는 대부분 중국 자료일 뿐 아니라 현재 중국은 고구려 영토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에 중국은 과거 중국 영토 안에서 일어난 일은 중국 역사가 된다고 주장한다. 한국인으로서 ‘고구려사는 한국 민족사’라고 주장하는 게 도리다. 고구려인 피가 지금 내 혈관 속에 흐르고 있다고 생각하면 가슴이 뜨거워지고, 민족의식이 투철하다는 말을 들을 수 있고, 말과 행동에 일관성도 생긴다. 

역사는 여러 물줄기가 모여 호수를 이루고, 그 호수에서 나온 여러 물줄기가 또 다른 호수를 향해 흘러가는 과정이다. 고구려는 예맥, 돌궐, 선비, 숙신, 말갈, 몽골, 거란, 여진, 흉노 등 여러 종족으로 구성됐고,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며 ‘더불어’ 살았다. 고구려에서 나온 물줄기는 한반도로, 또 다른 물줄기는 중국 대륙으로 흘러갔다. 조선 시대 평양 사람들 몸속에도, 청나라를 건국한 여진인 몸속에도 고구려인 피가 흘렀다. 고구려 역사 흔적은 오늘날 한국에도 있고, 중국에도 있다.

20세기 초 신채호는 중국 근대 사상가 량치차오의 영향을 받아 내셔널리즘(근대 민족주의)을 한국사 서술에 접목했다. 그는 종래 중국 중심 역사관을 비판하고 단군 이래 한국인의 순수 혈통을 주장하며 한국 역사를 ‘민족의 족보’라고 규정했다. 태곳적 단군이 민족 시조로 자리 잡았고, 고구려·백제·신라는 단일민족이었으며, 고구려 역사는 민족 저력을 대륙에 떨친 신화였다. 한때 포스트모더니즘 바람이 불어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자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그뿐이었다. 

해결의 실마리는 한국과 중국의 관계사와 교류사에 있다. 이 책은 한국과 중국 두 나라가 같이한 3000여 년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성했다. 중국사를 외면한 채 한국사를 제대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근대 이후 우리가 서구 문물을 수용해온 것처럼 근대 이전에는 중국 문명의 장점을 수용하고 재창조하며 정체성을 지켜왔다. 역사의 주체성은 단절과 고립이 아닌 공존과 교류에서 나온다. 한국과 중국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한·중 교류는 이제 거역할 수 없는 역사의 흐름이 되었다. 역사가 현재의 우리에게 어떤 말을 들려주는가에 귀 기울이며, 그저 있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지 말고 한 발 뒤로 물러서 숲을 보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