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50 (금)
미노스 · 사랑하는 사람들
미노스 · 사랑하는 사람들
  • 이지원
  • 승인 2021.09.09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라톤 지음 | 강철웅 옮김 | 아카넷 | 224쪽

‘위작’으로 치부되던 ‘특이한 두 작품’

이제 우린 플라톤 작품집의 새로운 면모를 만난다

『미노스』 가 끝나는 곳에서 『법률』 이, 그리고 『법률』 이 끝나는 곳에서 『에피노미스』 가 시작된다고 흔히들 생각해 왔다.

하지만 플라톤의 작품 하나하나는 실로 그 자체로 의미가 있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 『미노스』 에서 동료가 소크라테스의 논의에 계속 저항과 이견을 표명하면서 붙들고자 한 생각들이 가진 의미 가운데 하나도 바로 이런 것 아닐까?

이제까지 우리가 주목해 온 ‘법이란 무엇인가?’라는 첫 질문이나 ‘미노스’라는 제목만이 아니라 후반부에서 계속 강조되고 있는 미노스 찬양까지도 감안하여, 누군가는 자연스럽게 『미노스』 의 주제가, 혹은 『미노스』 에서 저자가 힘주어 드러내려는 바가 미노스로 대변되는 훌륭한 입법자나 훌륭한 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법률』 삼부작 착상도 실은 다분히 그것을 향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에 못지않게 중요한 이 작품의 핵심 주제는 이미 언급한 보편과 개별의 긴장이나 소통과 공감의 문제와 더불어 ‘칭찬’, 특히 ‘칭찬(및 비난)의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후반부의 미노스 논의를 약간 다른 시각에서, 즉 무엇이 주제이고 누가 주인공인가에 주목하는 시각에서 벗어나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칭찬의 적절한 ‘배분’이 ‘법’이고, 칭찬의 달인이 ‘시인’이며, 칭찬을 잘하는 게 좋은 ‘시가’다. 종결부 논의에서 소크라테스는 이렇게 칭찬-비난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하면서 메타적으로 칭찬-비난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칭찬-비난의 모델을 수행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가 평판 권력으로 작용하는 비극에 대해 칭찬과 비난을 동시에 하는 것 자체가, 그러면서 비극이 아니라 서사시를, 자기 논의를 펼치기 위한 분석과 입증의 주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 자체가 칭찬-비난 담론에 대한 균형감 있는 조명이 필요함을 보여 주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마지막의 부끄러움 이야기까지도 실은 일종의 ‘자기 비난’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결국 소크라테스에게서 칭찬과 비난은 시종일관 영혼의 좋음-나쁨 및 그것을 위한 교육과의 긴밀한 연관성 속에서 논의되고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