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1:55 (토)
총장선거 '직원참여' 갈등 해법 없나
총장선거 '직원참여' 갈등 해법 없나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4.11.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법규정-파업등 실력행사 맞불로 문제해결 안돼"

지난해 안동대 총장선거부터 '직원 참여'가 이뤄지기 시작해 지금은 '직원 참여'가 대세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총장선거가 무기한 연기돼 1년여동안 파행을 겪기도 했고, 파업과 실력저지 등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는 사태도 빚어졌다.

대학민주화의 꽃으로 불리며 학내 구성원간 화합의 장을 마련해 학교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할 '총장선거'가 오히려 구성원간 반목과 대립의 장이 된 것이다.

직원들은 "사회민주화는 확장되고 있으나 대학민주화는 정체돼 있다"면서 "직원도 선거권을 확보해 대학주체로 나서야 한다"라는 주장을 밝혀왔다.

이에 대해 교수들은 "총장직선은 교수들의 교육자치권에 속하며 총장선출의 주체는 교수"라는 원칙을 제시하며 "교수이외의 다른 대학구성원들이 총장선출에 참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직원들의 보조적 지위를 감안해 일정비율을 반영하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고 있다. 정용하 국교협 정책위원장(부산대 정치외교학과)은 "직선제를 유지하면서 직원과 학생의 참여는 민주성과 대표성을 담보해 10%를 넘지 않는 선에서 합의돼야 한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국립대 공무원직장협의회가 속해 있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교육기관본부는 총장임용추천위원회에 교수를 비롯해 직원, 학생뿐 아니라 비정규직 교수, 동문, 학부모도 참여해 총장임용 후보자 3명을 뽑은 다음, 교수, 직원, 학생들의 직접선거로 최종 총장임용후보자를 뽑자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교수와 직원은 1인 1표, 학생은 선출직 간부를 참여시키자는 방안이다. 하지만 교육기관본부는 전체 직원이 참여해 일정비율을 할당받는 형태도 복안으로 삼고 있다.

각 대학의 직원들이 "직원 참여없이는 실력행사를 통해서라도 주장을 관철시키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타협의 여지는 두고 있는 셈이다.

직원단체들은 무엇보다 일상적인 의사소통구조 마련과 신뢰회복을 첫째 갈등해법으로 꼽는다. 한정이 대학노조 정책국장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자리가 없었고, 의사소통구조가 부재했다"면서 "일상적으로 만나 의견을 나눠 서로 신뢰를 쌓는 과정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태기 교육기관본부장도 "교수들은 방어논리를 내세울게 아니라 직원 참여를 인정하고 대학이 안고 있는 총체적인 문제에 대해 함께 대화하자"라고 제안하고 있다.

또, 교수가운데서도 직원 참여를 교수권한을 침범하는 '뺄셈계산'보다는 직원요구를 포용해 서로 상생하는 효과를 얻자는 '덧셈계산'으로 인식을 전환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1년여동안 총장선거 일정이 연기돼 파행을 겪었던 경상대의 김덕현 전 교수회장(사회교육학부)은 "논리를 떠나서 직원들이 학교의 주체로 인정받고 싶은 정서를 이해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직원의 참여요구 방법이 교수들이 보기에는 무리한 점이 많지만 직원을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소속감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삼자"라고 강조했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