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8 11:05 (목)
해외사례: 日本, 하이데거 전담번역자만 10명 넘어
해외사례: 日本, 하이데거 전담번역자만 10명 넘어
  • 이은혜 기자
  • 승인 2004.11.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와 달리, 해외학계에선 한 학자에 대한 ‘전담번역자’가 넘쳐날 정도로 많다. 하이데거의 주저 ‘존재와 시간’이 일본에는 무려 14종이 나와 있다. 미국에서는 2종에 그치고 있는데 이는 독일철학에 대한 양국의 ‘대접차이’ 때문이다. 미국에서 주로 활동해 명성을 얻은 프랑스 철학자인 데리다의 저서가 영미권에서 무려 70~80권이나 넘게 번역돼 있다는 점을 보면 그렇다. 데리다에 달려들어서 꾸준히 번역업적을 내놓는 학자들도 10여명이 넘어간다. 번역은 반역이고, 역자들 사이에서는 해석학적인 경쟁이다. 이런 문화 위에서 학문적 개념에 대한 토론이 일어날 수 있고 방향성도 생길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우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많지 않다. 프랑스철학이든, 독일실존주의 철학이든 국내에 그 분야 권위자들은 몇 손가락 안에 꼽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전공자들 대부분이 근대 이전에 꽁꽁 묶여 있어서, 근대 이후의 철학자들은 번역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독특한 문화’도 한 몫 한다. 구연상 한국외대 강사(현상학)는 “선배교수가 번역한 것에 대해 후배교수들은 재번역하는 것을 꺼린다”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좀 오역이 있다 해도 그걸 굳이 지적하지 않는다는 게 한국의 관행이라는 것이다. 저작권 문제도 있다. 국내의 몇몇 특정 출판사들이 외국 유명출판사에서 나온 유명저자의 책을 수십권씩 독점계약을 해버리기 때문에 번역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동문선’이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데, 동문선 출판사의 출판예정도서목록을 한번 살펴본 사람이라면 로열티 선점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출판사 사장들은 민음사, 한길사 등 대형출판사들이 로열티 선점을 해놓고 몇 년이 지나도록 책을 안낸다면서 불만의 목소리를 높인다. 학자들은 기껏 혼자서 번역했다가 인쇄불가의 판정을 받으니, 안 그래도 번역에 돈 한푼 못받는 마당에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번역의 질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독점계약 자체가 심각한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번역지원 시스템이 동종번역 문화를 가로막는다는 지적들이 많다. 진태원 서울대 강사(철학)는 “일본과 미국은 연구소나 국가기관을 통한 번역지원활동이 활발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학술진흥재단과 대우학술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것이 전부”라며, 지원제도의 대폭 확충이 절실함을 지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