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5:55 (토)
1년 지원체계, 장기연구 곤란
1년 지원체계, 장기연구 곤란
  • 최철규 기자
  • 승인 2004.09.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정보_협동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이공계 분야

현재 학진이 협동연구 지원기간을 원칙적으로 1년으로 정한 이유는 소규모 공동연구를 권장하기 위해서다. 계속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차년도 연구계획서를 매해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전년도 연구결과보고서 제출 기간과 차년도 연구계획서 제출 기간이 거의 중복되기 때문에 다년과제를 희망하는 연구자들은 시간상으로나 심리적으로 많은 부담을 느낀다.

연구 준비와 진행 그리고 결과관리에 드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기존의 우수 협동연구 사례를 참고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례를 매뉴얼 삼아 연구정보 수집, 계획, 운영, 결과 보고 작성 및 활용 방식 등을 참고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연구 성과물의 학진 홈페이지 게재가 현재는 ‘권장 사항’에 불과하기 때문에 참고할만한 우수사례를 접하기가 매우 힘들다. 학진 관계자에 의하면 현재 연구 성과 게재를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중이라 한다.

올해부터 학진은 연구결과의 확산을 위해 ‘퓨처 코리아 프로그램’(Future Korea Program)도 활용하고 있지만, 1년 과제만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장기적 연구 없이 활용 가능한 결과를 내는 것은 이공계 분야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

2002년과 2003년에 ‘지능형 반도체 물류 제어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서정대 경원대 교수(생산관리)는 실질적인 지원 심사가 11월에 이루어지므로 연구계획서 평가기간을 현재의 4개월에서 2개월 정도로 줄일 것을 제안한다. 그럴 경우, 현재 7월로 돼 있는 연구계획서 제출이 9월로 미뤄질 수 있다. 그만큼 1차년 연구에 집중할 시간이 확보될 수 있지만, 대신에 학진의 심사 체계를 재정비해야 할 과제가 생겨 당장 실행되기는 어려울 듯 하다.

현재 학진은 ‘협동연구 지원사업 신청요강’을 통해 인문사회분야와 이공계 분야에 대한 지원을 단일화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들은 각 분야의 특성을 감안한 다원화된 지원 체제 구축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러한 목소리가 반영됨과 동시에, 이공계 분야의 연구 특성에 민감한 전문 관리자가 확충돼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