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2:35 (금)
[인터뷰] 이상천 영남대 총장
[인터뷰] 이상천 영남대 총장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4.07.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화로 지방대 약점 극복"

최근 안병영 교육부 장관이 2006년부터 교수1인당 학생수 40명을 넘는 대학은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이상천 영남대 총장은 "이런 발상 자체가 지독한 관료주의"라면서 "정부는 조건을 제시하고 대학이 이행하면 지원해 주겠다는 식의 발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 총장은 누리사업에 대해서도 "전체 지방대 예산의 2%에 불과한 돈으로 교육을 혁신시키겠다는 계획도 너무 안이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이상천 영남대 총장 © 김봉억 기자
△ 사립대에서는 드물게 교수회가 학칙기구다.
"교수회 학칙기구화는 사립대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 일을 하는데 2년이 걸렸다. 제일 힘들었던 점은 총장이 의지만 있으면 쉽게 이룰 수 있다는 교수들의 인식이었다. 학칙을 개정하는 것은 상당한 절차가 필요하고 여러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데도 시간이 꽤 걸렸다. 영남대는 임시이사체제여서 학교의 결정을 대부분 존중한다. 이러한 구조적 환경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사실 대부분 사립대학의 문제는 이사회와 교수의 충돌, 이사회와 총장의 일치로 인한 문제가 많지 않나."

△ 누리사업 등 교육부 정책을 평가한다면.
"교육부가 5년 동안 지원하는 1조 4천2백억 원은 전체 지방대 예산의 2%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지방대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액수가 부족하다. 이 돈으로 교육을 혁신시키겠다는 정부의 발상자체가 너무 안이하다. 외환위기 이후에 회사를 정상화 시키는데도 1백 50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자했는데 그 돈이 전부 어디로 갔나. 교육부 장관은 2006년부터 교수1인당 학생수 40명 이상의 대학은 지원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학생을 줄이든가 교수를 늘려 구조조정을 하라고 강조했다. 이런 발상자체가 지독한 관료주의다. 정부는 조건을 제시하고 대학이 이행하면 지원해 주겠다는 식의 발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대부분의 사립대학은 정말 건전한 대학이다. '지원해 주면 엉뚱하게 쓴다'라는 취급을 당하는 것은 부당하다. 덧붙이자면 누리사업은 지역의 산업클러스트를 만들어 인재를 육성하라는 얘기다. 단시간내에 될 문제가 아니다. 과연 좋은 직장은 서울에 있는데 제대로 교육받은 사람이 지방에 남을려고 하겠나. 대학은 원칙적으로 좋은 인재만 키우면 된다."

△ 구체적인 지방대 발전전략은 무엇인가.
"여러 대학총장에게 물어봐도 국제화가 최대의 화두이고 국제화를 통해 대학을 바꾸겠다는 것이 요지다. 그동안 부지런히 외국대학과 교류하면서 학생교환 프로그램을 가장 중점적으로 체결했다. 서울지역 대학생에게 주눅들지 않고 외국 나가서 똑같이 국제화 감각을 익혀 자기 역할을 다 할 수 있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학은 어쨌든 교육기관이다. 대학은 교육에 대해서는 누구에게도 부끄럽지 않은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수도권 대학이라고 지방 대학보다 낫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는 서로 노력해서 풀어가야 한다."

△ 40대 총장으로서 장점과 힘든점은.
"의사결정할 때 총장이 알고 있는 만큼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도입하고 불필요한 논쟁을 피할 수 있다. 젊으니까 가능하다. 젊어서 힘든점은 나이 든 교수들을 이해 시키는게 가장 힘들었다. 어떤 교수는 똑같은 얘기를 해도 자기가 나중에 알면 섭섭해 한다. 미리 알면 괜찮은 데도 말이다."

△ 총장임기를 마무리하는 시점이다. 시행착오에 대한 교훈은.
"직원문제가 참 크더라. 직원들은 자기 나름대로 행정의 노하우와 자기특기가 있다. 그런데 이런 부분에 대해 파악을 못한다. 모든 대학이 비슷할 것이다. 직원 이력카드에는 2∼3년마다 순환근무 경력만 기록돼 있는데 별 의미가 없다. 직원을 적재적소에 쓸 수 있는 실질적인 기록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공개·바른 행정을 하는데 필수다. 총장이 되면 이런 것은 기본적으로 보좌해 줄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더라. 오랫동안 관행대로만 운영해 온 탓이다. 행정은 굉장히 중요하다. 교수와 직원들이 서로 불만을 갖는것도 대부분 행정 때문이다."
 
△ 학생정원 감축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정원 감축은 재정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관건이다. 교육부에서 손실분을 보전해 준다고 하지만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교수를 늘려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최근에 교수를 늘리는 방안과 전임·겸임·객원·초빙교원 등의 비율을 어떻게 할 것인지, 재정분석과 함께 학생정원 줄이는 방법을 찾고 있다.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면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견뎌낼 수 있다고 본다. 다만 등록금을 올리지 않고 학교재정을 늘리는 방법은 수입의 다원화 밖에 없다. 기여입학제를 어떻게 도입·적용할 것인지, 학교기업의 효과적인 운영, 문제만 되지 않는다면 교비의 일부를 기금화시켜 펀드매니저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약력소개]1952년 生. 서울대 기계공학과 졸업, 한국과학기술원 석사,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사. 동양정밀공업(주) 개발실 연구원, 영남대 기계공학과 교수, 영남대 공과대학 국책지원사업단장·학장, 전국테크노파크협의회장. 현 (재)경북테크노파크 이사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미래전략분과 과학환경 위원을 맡고 있음. 대통령 표창(단체, 2001)과 한국공학기술학회 제3회 공학교육상(2001)을 수상한 바 있음.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