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9:00 (목)
수만 개 세포, 이제 하나씩 들여다본다
수만 개 세포, 이제 하나씩 들여다본다
  • 교수신문
  • 승인 2021.01.20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성 신장 질환’의 핵심 세포 발견에 사용될 전망
특정 세포종류에만 특이적으로 효과 있는 약물 개발 가능성 확인

지스트(총장 김기선) 박지환 교수팀(생명과학부·사진)이 미국 펜실베니아대, 스페인 바르셀로나 과학기술대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정상 신장발달 및 만성신장질환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조절인자를 발굴하여 만성신장질환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최신 단일세포 분석 기술을 통해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세포종류로 구성된 장기중의 하나인 신장을 개별 세포수준에서 분석했다. 단일세포 분석 기술은 한 번의 실험으로 수 만개의 개별 세포내에서 발현하고 있는 모든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 생물학 및 의생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차세대 기술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만성신장질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세포종류를 밝혀내고 이 세포의 분화와 대사조절에 중추 역할을 하는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를 발굴했다.

만성신장질환은 당뇨, 고혈압에 흔히 수반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환자수가 약 8억 명이 될 정도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말기 신장질환으로 발전하면 투석과 신장이식 외에는 치료법이 없어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고통이 따르며 사회경제적 질병부담비용도 크다. 일단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되기 시작하면 이를 멈추거나 회복할 수 있는 치료제가 아직 없어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동물모델의 신장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
동물모델의 신장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

연구팀은 사람의 만성신장질환이 유도된 동물모델, 신장 장기유사체 (오가노이드)*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을 통해 만성신장질환에서는 잘못 분화된 신장 내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가 다수 존재하며, 이들의 지질대사 과정에도 문제가 생긴 것을 밝혀냈다. 신장 장기유사체란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만든 신장 특이적 세포집합체로, 실제 신장과 유사한 모델로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근위 세뇨관 상피세포의 분화와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핵심 조절인자가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이며, 이 유전자를 억제하거나 과발현 시킴으로써 만성신장질환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인간신장 장기유사체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
인간신장 장기유사체에 대한 단일세포 분석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일세포 분석기술, 신장 장기유사체 등의 최신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만성신장질환의 핵심 세포종류와 조절인자를 밝혀냈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특정 세포종류에만 특이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과 기초연구실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관련 논문은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에 지난 5일자 인쇄본에 게재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