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1:15 (금)
그래핀 대체 나노소재, 대량 생산 가능해진다
그래핀 대체 나노소재, 대량 생산 가능해진다
  • 교수신문
  • 승인 2021.01.20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균관대 김태성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김형우 박사, 아주대 이재현 교수 공동연구팀
백금의 대체 촉매로도 사용가능

 

나노 결정립의 팔면체 이황화몰리브데넘

성균관대(총장 신동렬)는 김태성 교수(기계공학부)가 황동목 교수(신소재공학부), 김만수 박사(공동 1저자), 이재현 아주대 교수(공동교신저자), 한국기계연구원 김형우 박사와 함께 4인치 웨이퍼 크기의 금속성을 가지는 이황화몰리브데넘(1T-MoS2) 박막 성장 및 효율적인 수소 발생 반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은 전이금속과 16족 칼코겐 원소 중 산소를 제외한 황(S), 셀레늄(Se), 텔레늄(Te)의 화합물로 그래핀과 비슷하지만 밴드갭과 복수의 구조상에 따라 도체, 반도체, 절연체로 존재할 수 있어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나노소재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진은 2020년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이황화텅스텐을 팔면체 구조로 성공적으로 합성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황화몰리브데넘 또한 대면적 팔면체 구조 합성에 성공했다. 

김태성 교수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의 대표 물질 두 가지의 팔면체 구조 합성법을 모두 확보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라며 “저온 플라즈마 합성방법 또한 여러 분야에 적용가능하고 높은 재현성과 균일도를 가지고 있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중견연구기본연구, 기초연구실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향후 다양한 종류의 이차원 물질의 형상별 대면적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성과는 지난 8일 국제학술지 『켐서스켐』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김태성 성균관대 교수
김태성 성균관대 교수
이재현 아주대 교수
이재현 아주대 교수
김형우 박사
김형우 박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