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00:00 (금)
NGO, '열쇠말'로 떠오르다
NGO, '열쇠말'로 떠오르다
  • 이지영 기자
  • 승인 2004.04.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사회연구의 현황과 출판동향

1990년대 이후 시민운동이 가파르게 성장한 우리의 경우, 시민사회에 대한 관심은 증폭했지만, '시민운동=시민사회'라는 도식화가 남아있는 것은 사실이다. 1990년대에는 '부르주아' 시민사회의 체제내적 변혁 역량을 놓고 논쟁이 이어졌다면, 최근에는 시민사회론의 외연 확대와 내포 분석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논쟁의 지점이 다변화하고 있다.
시민사회 연구의 외연 확대는 비교연구로 구체화된다. '아시아의 시민사회: 개념과 역사'(아르케 刊)는 성공회대 아시아 NGO정보센터가 주관한 '아시아 시민사회의 비교 연구'의 중간 결과물. 이 책은 일본, 중국, 태국 대만 등 아시아권으로 시야를 넓혀 초국적 비교론적 관점으로 각국 시민사회의 역사, 윤곽, 활동의 동학 등을 고찰함으로서 우리 시민사회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주겠다는 시도다. 권용혁 울산대 교수가 중심이 된 연구프로젝트 '한·중·일 3국 사회의 의사소통 구조 비교' 역시 가족, 기업, 시민사회의 소통 구조를 연구하고 있는 것도 비교연구의 방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흐름.

'한국시민사회의 발전과 NGO의 역할'을 주제로 6년간 지원받고 있는 한양대의 제3섹터 연구소 또한 시민사회 연구의 메카로 급성장하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NGO와 시민사회의 관계,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 등에 집중이며, 주성수 교수와 연구소가 주축이 돼 'NGO와 시민사회: 이론, 모델, 정책', '시민사회와 NGO 논쟁',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 '새천년 한국 시민사회의 비전'(이상 한양대출판부 刊) 등이 그 결과물이다. 시민사회와 NGO의 의미·위상에서부터 시장과 거버넌스의 관계, 활동의 쟁점들에 이르는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전문가 중심의 활동이 빚어내는 '시민 없는 시민운동 문제는 결국 정부의 제도와 정책의 모순에서 비롯된다는 입장이 중심이 있다.

한국시민사회을 내부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도 많은데, 정철희 전북대 교수의 '한국 시민사회의 궤적: 1990년대 이후 시민사회의 동학'(아르케 刊)은 한국 시민사회 내에 존재하는 민주화 추진 동력과 시민사회의 전망을 분석한 책이다.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미시동원(저항을 위한 기초적 자원 및 조직을 공급하는 것)과 중위동원(사회운동조직이 중심적 그룹에 의해 연합된 운동세력을 형성하는 것)이라는 자원동원 이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민주화 운동을 그 기원에서 6월 항쟁까지 분석했다. 정 교수의 책이 '동아시아 신좌파론'으로 가닥잡아 나간다면, 김호기 연세대 교수의 '한국의 시민사회, 현실과 유토피아 사이에서'(아르케 刊)는 '비판시민사회론'이라는 개념으로 현재의 쟁점을 분석했다. 

 '한국 시민사회와 지식인'(아르케 刊)은 좀처럼 논의되지 않던 지식인의 역할론을 거론해 내적 성찰의 기획을 마련했다. 6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해 집필한 이 책은, 중앙·지방·복지서비스·통일 관련 NGO와 언론에서의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분석을 통해 NGO 전체와 개별 부문에 대한 분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단시간 안에 크게 성장한 한국 NGO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단체의 성격에 따라 '계몽적 역할'에서 '전문가적 역할'에 이르기까지 지식인의 위상 분화가 진행돼 왔다는 것. 지식인의 역할과 일반시민의 참여 사이의 새로운 균형을 잡는 것과, 지식인과 상근활동가 사이의 역할을 적절히 분담하는 게 중요하다는 이 책의 주장이다.

이밖에도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가 '세계화, 정보화 시대 남북한의 국가와 시민사회'를,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가 '한국전쟁, 안보국가가 한국 시민사회에 미친 영향'을, 정미애 이화여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이 '참여형태를 통해서 본 시민사회의 한일비교'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앞으로도 시민사회 연구는 세차게 이어질 전망이다.
 
이지영 기자 jiyou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