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4:00 (토)
특집 : 동아시아에서 조선 성리학의 지위
특집 : 동아시아에서 조선 성리학의 지위
  • 이기동 성균관대
  • 승인 2004.04.17 00: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이 우러러 본 조선의 理 철학

이기동 / 성균관대·동양철학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는 그 특징이 매우 뚜렷하다. 한국의 문화는 형이상학적 성격이 강하고, 일본의 문화는 형이하학적 성격이 강하며, 중국의 문화는 양면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 한국, 일본에 동시에 전개된 불교나 성리학을 비교해보면 확실히 증명이 된다. 중국의 역사가 문관과 무관에 의해, 한국의 역사가 문관에 의해, 일본의 역사가 무관에 의해 주도돼온 것을 보더라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형이상학은 주로 철학이나 종교의 영역에 속하고 형이하학은 주로 물질과학이나 사회과학의 영역에 속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동아시아 삼국 중에서 종교가 가장 발달하는 나라는 한국일 것이고, 과학이나 경제가 가장 발달하는 나라는 일본일 것이며, 둘 다 적당히 섞여 있는 나라는 중국일 것이다. 오늘날 상황에서 보더라도 교회의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한국이고 가장 적은 나라는 일본이며 중국이 그 중간이다.

형이상학 성격 강한 조선의 성리학

이러한 구도에서 볼 때 동아시아 사회에서 차지하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위상이 어떠했으리라는 것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의 성리학은 고려말에 중국에서 수입된 송학에서 비롯된다. 송학은 중국 당나라 때 韓愈 등에 의해 주창된 신유학 운동이 북송을 거치면서 발전하다가 남송의 주자에 이르러 완성된 사상체계다. 송학은 송나라 때 완성된 학문체계라는 뜻에서 일컬어진 말인데, 주자에 의해 완성된 것이라 해서 주자학이라고도 하고, 程子와 주자가 중심이라 해서 정주학이라고도 하며, 性과 理가 중심개념이라 해 성리학이라고도 하고, 理가 중시된다고 해서 理學이라고도 하며, 道의 실천을 목적으로 한다고 해서 도학, 聖人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해서 聖學, 새로운 유학이라 신유학이라고도 한다.
한국의 성리학은 송나라 때 바로 수입되지 않고 송나라가 망한 뒤 송을 이어 일어난 원나라에서 수입된다. 고려말 안향에 의해 원나라로부터 수입된 성리학은 순조로운 발전을 거듭하다가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된다.
중국의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성격과 형이하학적 성격이 조화를 이룬다. 한유에 의해 주창된 형이하학적 특징은 歐陽修와 司馬光을 거치며 발전하고, 이고에 의해 주창된 형이상학적 특징은 주돈이, 張載, 정이 등을 거치며 발전한다. 그리고 이 두 계열은 주자에 의해 하나로 통합된다. 그러므로 주자에 의해 통합된 중국의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성격과 형이하학적 성격이 통합된 종합적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한국에 수입된 성리학은 이고 계열의 형이상학적 성격의 성리학이 주로 수용되고 한유 계열의 형이하학적 성격의 성리학은 그다지 수용되지 않았다. 이는 한국인의 정서로 볼 때 지극히 당연한 귀결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한국의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성격에 치중했기 때문에 그 깊이는 주자의 수준을 능가하는 것이었다.
하버드대 뚜웨이밍 교수는 특히 조선의 퇴계를 주자의 진정한 후계자로 지목한 18세기 일본 지성들의 견해에 동조하면서도 퇴계가 고봉과 벌인 사단칠정론에서 밝혀낸 理 사상은 중국의 유학자들에서 촉발된 것이 아닌 독창적인 것이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평가는 퇴계뿐만 아니라 조선 성리학자들의 수준을 말해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당시 명나라에서도 많은 평가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온 사신이 율곡을 만났을 때 "天道策을 쓴 그 율곡인가?" 하고 물었다는 이야기는 이미 중국에서 조선 성리학자들의 글들을 읽고 있었으며 조선의 성리학자들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고 있었음을 짐작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존중은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명나라가 국력을 기울여가면서까지 조선을 돕게 하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명나라가 멸망하지 않고 계속 발전했더라면 조선 성리학과 성리학자들의 위상은 중국에서 계속 유지됐을 것이다. 그러나 명나라의 멸망과 함께 형이상학적 성격이 강한 성리학이 쇠퇴하고 실학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자 중국에서는 한국 성리학에 대한 관심이 없어질 수밖에 없었다. 우암 송시열을 비롯한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들이 청조를 거부하고 끝까지 명나라의 연호를 고집했던 이유도 이러한 현상들과 맥락이 통한다. 그러나 청나라에서도 조선 성리학자에 대한 존중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청나라 말기의 대표적 지성인인 양계초는 퇴계를 극찬하면서 '삼백년 내려온 그 명성을 세상의 사람들이 모두 흠모하게 됐다'라고 했다.
한편 조선 성리학의 일본에 대한 영향은 지대했다. 일본에 성리학을 정착시킨 최초의 인물은 후지와라 세이까(藤原惺窩)다. 그는 불교의 승려였으나 조선에서 온 사신 허산전과 만난 후 성리학으로 돌아섰다. 세이까는 조선에서 포로로 잡혀간 姜沆에게 배우면서 영향을 받았지만, 허산전이 퇴계학의 학맥을 잇는 사람이었으므로 세이까가 수용한 성리학은 주로 퇴계학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베요시오(阿部吉雄)의 '일본 주자학과 조선'이라는 저서에 상세하게 설명돼 있다.

일본에 미친 퇴계학의 강력한 영향

일본 성리학의 완전한 수용기에 이르면 퇴계학의 존숭은 극에 달한다. 일본 성리학의 대가인 야마자끼안사이(山崎闇齋)는 퇴계를 존숭한 나머지 퇴계의 초상을 그려놓고 매일 아침 경배를 드렸다고 한다. 큐우슈의 오오쯔까타이야(大塚退野)는 자신의 호를 퇴계의 退를 따서 타이야(退野)로 정했을 정도였다. 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본 성리학에서의 퇴계의 위상은 조선 성리학에서의 주자의 존재와도 같은 대단한 것이었다. 퇴계 외에도 율곡이나 양촌이 일본에 소개돼 연구됐으나 퇴계만큼의 영향력을 갖지는 못했다.
퇴계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 성리학의 일본 수용은 한국 성리학 그 자체가 수용된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일본의 정서에 맞게 형이하학적으로 변용된 것이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한국 성리학의 일본에서의 위상은 대단했다. 이러한 위상으로 말미암아 조선시대의 한국인들은 일본인들에게 지극한 환대를 받았다. 일본인들이 조선의 사신을 만나 글씨를 하나 받으면 그것이 그대로 가보가 됐다. 그래서 당시의 일본인들은 조선의 사신을 만나기 위해 조선의 사신이 묵는 여관 앞에 장사진을 쳤다. 이것을 국제적인 망신이라 여긴 일본 정부는 사적으로 조선의 사신을 만나는 것을 금하는 국법을 정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일본인들이 한국인에 대한 열등감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고, 나중에 한국을 식민지로 만드는 한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는 경계할 일이다.

필자는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대한 비교연구를 많이 해왔다. 논문으로 '일본유학에서 중세적 사유의 형성과 극복', '한국유학과 21세기', '퇴계학과 일본의 주자학' 등이 있고, 저서로 '조선조 성리철학의 구조적 탐구', '도올논어 바로보기' 등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그럴가 2015-08-15 22:56:03
내용을 잘 읽었는데, 어디가지 사실에 근거한 것인지 의문이 갑니다. 야마자끼안사이(山崎闇齋)가 일본에서 어떤 비중잇는 사람인지도 모르겠고, "조선의 사신을 만나기 위해 조선의 사신이 묵는 여관 앞에 장사진을 쳤다" 어디에 그런 근거있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당시 자료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