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4:50 (금)
안동준 고려대 교수, 광도파 바이오-반도체융합 광센서 개발
안동준 고려대 교수, 광도파 바이오-반도체융합 광센서 개발
  • 장정안
  • 승인 2020.10.08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대(총장 정진택)는 안동준 교수(화공생명공학과·사진), 박동혁 인하대 교수(화학공학과), Chunzhi Cui(최춘식) 중국 연변대 교수(화학과) 연구팀이 생물학적 타겟 물질에 따라 서로 다른 효율의 광도파(optical waveguide) 현상을 보이는 하이브리드 결정소재기반 다중검출 리모트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20년 9월 재료과학분야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IF=27.398)에 온라인 게재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고 있는 초연결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더욱 다양한 센서신호 데이터의 대량 획득이 필요하며, 특히 언택트 시대의 도래로 원거리에서 작동가능한 형태의 리모트(원거리) 센서의 중요성이 더욱 주목된다. 바이오센서의 주요 검출 타겟인 생체구성물질 DNA, 단백질, 세포 등은 고에너지에 노출됐을 때 타겟의 구조가 파괴되거나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직접 에너지를 가해 신호를 검지하는 검출에는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그 동안 여러가지 노력들이 시도됐지만, 입사되는 에너지에 시료 자체가 노출되는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DNA의 상보적 결합 여부가 유기반도체 하이브리드 단결정에서 광도파 효율의 차이를 유발하는 현상을 발견해, 생체물질인 DNA를 모델타겟으로 삼아 시료에 직접 에너지를 조사하지 않고도 검출할 수 있는 리모트 바이오센서 개발에 최초로 성공했다. 고에너지 노출 환경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DNA를 타겟으로 검출할 때 시료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며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OLED소자에도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유기반도체 단분자인 Alq3와 단일가닥의 DNA를 융합해 Alq3 결정에 DNA가 포함되도록 제어된 1차원 광도파 육각기둥 결정을 제조했으며,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타겟 DNA분자 인식에 따라 발광세기와 광도파 효율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해 그 차이를 정량적으로 도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바이오-반도체 융합물질의 광도파 현상을 이용해 다중검출 리모트 바이오센서 개념을 입증한 첫 사례이며, 향후 다양한 생화학 타겟 검출에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센서분야 소재부품 원천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며 관련기술의 국내외 특허도 확보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