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1:45 (금)
평균 10대 1 …부산·충남 경쟁 치열
평균 10대 1 …부산·충남 경쟁 치열
  • 허영수 기자
  • 승인 2004.04.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URI를 점검한다 - 끝 : 윤곽 드러낸 누리사업

<편집자주> 주사위는 던져졌다. 교육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까지 10여일 남았지만, 각 대학들이 추진하는 사업의 얼개는 다 짜여져 있는 상태다. 사업계획서를 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으로 최종 손질할 수 있는 시간만 있을 뿐이다. 남겨진 과제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심사. 교육부는 무엇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평가단을 구성하는 데에 온 신경을 쏟고 있다. 대학들은 울며겨자먹기식 구조조정에 우는 소리를 내고 있기는 하지만,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이 대학의 사활을 좌지우지할 것이란 데에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현재 NURI 사업이 과연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이번 사업이 '대학 빈익빈, 부익부'를 가속화시키는 등 지방대학의 지형도를 180도 바꾸리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방대학 생존 프로젝트, NURI를 점검한다 ⑥ 끝 : 윤곽 드러낸 누리사업

사업계획서 제출 기한이 임박함에 따라, 지역별로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이하 '지방대혁신사업')의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대학별로 극도의 보안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된 대형사업의 경우 지역내에 입소문이 파다하게 퍼진 상태다. 대학들은 적어도 10대의 1의 경쟁률을 뚫어야 한다는 생각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막판 신경전도 치열하다. 학부별로 의견조율을 못해 대형사업을 확정짓지 못한 대학들이 있는가 하면, 사업단을 꾸리자마자 일찌감치 사업구상안을 대외적으로 홍보하는 대학들도 있었다.

충남 = 충남지역은 대형사업이 7개, 중형이 24개, 소형이 36∼70개가 진행되고 있었다. 특히 농축산(동물)바이오 부분에 있어 대학간의 경쟁이 첨예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농축산(동물)바이오 산업 분야와 관련, 한양대는 '동물자원중견인력양성사업', 단국대는 '농축산생물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 순천향대는 '동물자원산업화인프라양성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국립대는 공주대는 대형사업으로 '자동차부품인력양성사업'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홍익대가 '영상애니메이션인력양사업', 호서대가 '문화컨텐츠인력양성사업', '디스플레이중견전문인력양성사업' 등을 대형사업으로 거론되고 있다.

전북 = 전북은 기계·자동차 분야의 대형사업을 놓고, 전북대와 군산대 간의 경쟁이 불꽃 튈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대가 기계·자동차 분야의 경쟁력을 자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군산대도 역시 GM 대우자동차와의 친근성을 근거로 자신감을 갖고 있기 때문. 한방과 관련해서는 원광대와 우석대가 대형사업을 준비한 데에 더해, 우석대, 예원예술대 등이 중형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대학 간 경쟁이 눈에 띌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북대는 기계·자동차 분야 외에도 생명 분야에서 대형사업을 신청할 예정이다.

광주·전남 = 일찌감치 권역통합을 이룬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전남대가 3개의 대형과제를 추진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전남대가 내놓고 있는 대형과제는 '정보가전전문인력양성사업', '광전자부품전문인력양성사업', '바이오선도인력양성사업' 등이었다. 부품·소재와 관련해서는, 조선대의 '첨단부품소재전문인력양성사업', 순천대의 '동북아허브신소재특화대학육성인력양성사업' 등이 전남대와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또 문화와 관련, 조선대의 '문화콘텐츠전문인력양성사업'과 동신대의 '문화관광디지털컨텐츠전문인력양성사업' 중 비교우위에 놓인 대학이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목포대의 '전남권고용창출과조선산업의혁신을위한전문인력양성사업', 여수대의 '전남권역물류산업경쟁력강화를위한전문인력양성사업'이 대형사업으로 신청될 예정이다.

제주 = 제주대는 대형사업으로 제주아열대생물 및 친환경산업연구인력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중형 2개, 소형 2개 등 5개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주대는 정원을 1백13명을 감축하는 등 의욕을 보이고 있다. 도내에 위치한 탐라대는 사업참여 요건이 엄격함에 따라 구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 충남대, 한밭대, 한남대, 목원대, 배재대, 대전대 등이 자리한 대전광역시는 디지털콘텐츠·영화·영상 분야에서의 경쟁이 두드러졌다. 한남대는 배재대, 대덕대학, 혜천대학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디지털콘텐츠산업멀티형 인재양성 교육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며 대대적으로 홍보에 나선 상태다. 이와 유사하게 목원대는 우송대, 우송정보대학, 혜천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영상게임산업 분야의 자립형 지역혁신전문인력양성시스템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밖에 한밭대가 IT, NT 분야에서 2개의 대형사업을, 배재대가 관광 및 토목 연계 분야에 1개의 대형사업을 준비중이다. 한편, 권역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충남대는 단과대학별 사업계획에 대한 심사가 끝나지 않아, 구체적인 추진 과정을 아직 공개하지 않고 있다.

경남 = 경상대, 창원대, 경남대, 인제대 등이 자리하고 있는 경남지역도 경쟁이 치열한 지역 중의 하나다. 특히 이들 대학들은 대형사업을 놓고 사전 조정 과정을 거치다가, 갈등을 겪는 바람에 사업단 구성을 둘러싼 신경전이 벌써부터 대단하다. 이들 대학에서 진행되는 사업은 대형 사업 10개, 중형사업 17개, 소형사업 20여개였다. 대형사업에 한해서 본다면, 경상대가 기계와 생물분야, 창원대가 메카트로닉스 분야, 경남대가 스마트 홈 분야, 인제대가 의생명과 스마트 홈 분야에서 각각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획처장단협의회 등 협의과정 등을 거쳐 유사한 사업단들끼리 연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 = 강원대는 생명바이오 분야에 대형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 사업에는 한림대, 상지대, 관동대, 강릉대, 삼척대 등이 협력대학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세대 원주캠퍼스는 의료기기 분야에, 강릉대는 신소재 분야에서 대형·중형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었다. 삼척대가 추진하고 있는 대형사업은 방재산업분야였으며, 강원대가 협력대학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문화관광 분야는 관동대와 경동대가 각기 준비하고 있었다.

충북 = 충북지역에서 충북대가 BT와 IT 분야에서 대형과제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대학으로는 청주대, 건국대, 충주대, 주성대학 등이었다. 한편, 충주대와 청주대는 대형과제없이 중형과 소형과제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 대구·경북지역은 최근 권역을 통합함에 따라 대학들간의 사업계획 조정이 한창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들은 권역 통합으로 인해 5%의 인센티브를 받게된 데에 기대감을 갖고 있지만, '대학별로 1개의 대형사업만을 추진한다'는 통합의 조건에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그간 3∼4개의 대형과제를 준비하고 있었던 경북대는 1개의 대형과제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남대, 대구대, 포항공대, 안동대 등이 대형과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울산 = 4년제 대학이 울산대밖에 없는 울산광역시는 울산대를 중심으로 대형 1개, 중형 2개, 소형 4개가 추진되고 있다. 자동차·조선 분야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형사업에는 협력대학으로 울산과학대학이 참여했다. 현재 울산대는 권역별 배분액이 얼마인지 가늠할 수 없어, 대형사업의 규모 등을 아직 결정짓지 못하고 있었다.

부산 = 부산지역은 알려진 대형사업만해도 10여개에 달했다. 부산대, 한국해양대, 동아대, 부경대 등이 유사한 대형사업을 추진하는 등 이미 대학가는 곧 불어닥칠 대학간 생존 경쟁에 벌써부터 긴장감이 나돌고 있다. 가령 부산광역시의 지역전략산업 항만·물류 부문과 관련, 부산대가 동아대·부경대·경성대 등 6개대학과 연계해 '지능형 종합 물류시스템 전문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한국해양대는 동의대·부경대·동아대 등과 연계해 '지식기반항만물류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부품·소재산업과 관련, 부산대 '첨단기계부품소재혁신역량강화사업', 동아대 '전통부품소재산업고도화인력양성사업', 부경대 '차세대기반소재산업이공융합인력양성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어 이들 사업단간의 첨예한 각축전도 예상된다. 이밖에 동아대의 '관광 컴벤션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 경성대의 '영상 디지털콘텐츠인력양성사업', 동서대의 '영화영상디지털콘텐츠전문인력양성사업' 등이 대형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었다.
허영수 기자 ysheo@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