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22:35 (수)
"산학협력 자금확보가 이슈...수익다변화 기대"
"산학협력 자금확보가 이슈...수익다변화 기대"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4.03.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박종완 한양대 산학협력단장(신소재공학부)

▲박종완 한양대 산학협력단장 ©
△ 어떤 필요성에 의해서 산학협력단을 설립했나.
"국립대는 필요성이 있었지만 사립대는 지적재산권 소유가 가능해 굳이 설립해야 하는지 부정적인 생각이 많았다. 독립적인 회계를 짜야 하는 부담도 컸다.
연구비 관리와 창업보육센터, 기술이전센터를 사이버상으로 연계시켰지만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한계가 있었다. 홈페이지에 실험실 소개, 주요 기자재 정보 등을 알려 외부 산업체에게 홍보를 했지만 별 실효성이 없었다.
이러한 산학협력 기관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학교차원에서 제기됐고, '산학협력단'제도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자는 입장으로 바뀌어 어느 부문보다 공과대학이 특성화돼 있는 만큼 '산학협력'에 무게중심을 뒀다."

△ 산학협력단 설립으로 가장 기대하는 것은.
"해외 유수대학을 보면 지적재산권 수입으로 시설과 설비 경비 등을 충당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 경쟁인 '지적재산권' 획득 노력에 따라 학교재정의 수익다변화를 이룰 수 있다고 본다. 미래형 학교재정 운영방안이 될 수 있다."

△ 산학협력단 자체 재정운영이 가능한가.
"산학협력단이 교수의 인센티브 강화, 연구비 대응자금 마련, 전담인력 인건비 등의 자금마련이 이슈가 됐다. 학교마다 사정과 형편이 달라 해결하는 방법은 다르겠지만 우리대학은 산학협력단 자체 수익이 생기기 전까지 대학차원에서도 인센티브를 일정 비율로 줄 수 있도록 하는 등 대학차원의 지원도 불가피하다. 산학협력단의 재정수입은 연구비를 수주할 경우 간접연구비(오버헤드)도 20%정도는 떼야 한다고 본다. 기술이전료의 경우 교수와 대학이 50 대 50으로 나눌 예정이다. 국내 특허출원은 100%지원하고 외국 특허출원은 60%정도 지원할 계획이다."

△ 산학협력단 설립과 사업추진에서 문제는 없나.
"회계 세부지침이나 부처간 협조 미흡 등 교육부의 지침에 구체성이 결여돼 있어 많은 대학들이 어떻게,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막막해 하고 있다. 교육부에 문의할 내용을 우리대학으로 문의하는 경우도 많다."

△ 산학협력단의 행정지원시스템을 구축중인 것으로 안다.
"예전 연구처 업무가 거의 대부분 산학협력단으로 넘어갔다. 창업보육센터와 기술이전센터, BK21사업단을 포괄시켰다. 연구처는 교내연구비와 학교부설 연구소 관리, 연구관련 업적평가, 각종 수상 관리 등을 맡는다.
기초준비는 거의 완료됐다. 업무분장을 분리하고 전담직원을 새로 뽑을 계획이다. 전담직원 13∼14명, 행정보조원 20여명이 필요한데 현재는 연구처 직원이 겸직하고 있다. 제 모습을 갖추려면 6개월 정도 더 걸릴 예정인데 올해 9월부터 정식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