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20:10 (수)
[번역과 한국어]한국어는 ‘감염된 언어’ 근대한국어의 출발은 번역
[번역과 한국어]한국어는 ‘감염된 언어’ 근대한국어의 출발은 번역
  • 이옥진 기자
  • 승인 2001.04.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1-04-02 00:00:00

동서양 구분없이 근대모국어 형성은 번역의 시대와 유관하다. 독어가 루터의 라틴어 성경번역을 계기로 심화 확장되었고, 일본어는 네덜란드어를 통해 서양을 번역해내면서 ‘고쿠고’(國語)의 형성을 맞는다. 대개 서양은 라틴어나 희랍어로부터 근대어를 일궈내는 시간적 확장이, 동양은 서양을 번역하여 지리적 확장이 이뤄지는 패턴을 보인다.

일본과 한국을 비교한다면 그 확장의 시간차는 역사의 승패까지 갈라놓고 있다. 재일 역사학자 강재언 교수는 일본이 근대화에 성공한 반면 조선이 좌절을 겪었던 이유에 대해 서양을 번역하고 받아들인 시간차라고 지적한다. 강 교수에 따르면 개화기 이전 조선은 여러차례 서양을 번역할 기회가 있었으나 이를 놓치고 말았다. 17세기 중반 청에서 아담 샬과 교류한 소현세자가 서양과학을 도입하려 했던 역사와 18세기 정조 재위시 실학파의 서학수용 노력 등이 그것이다. 강 교수는 그러나 조선의 유학자들이 ‘서교’와 ‘서학’을 구분하지 않은 채 모조리 거부했기 때문에, 역사적 패배자의 길을 걸었다고 설명한다. 결국 서학의 번역작업을 철저히 진행시키고 근대국어의 성립을 앞당긴 일본이 역사의 선택을 받게 되었다는 것.

한국어가 과연 번역의 시대를 거쳐 근대국어로 탈바꿈했는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질문은 기실 한글의 역사가 번역에서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동어반복에 불과하다. 한글의 경우 공식문서에서 사용된 역사는 채 1백년을 넘지 못한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단어들은 대개 1백년 안팎의 수명을 가지고 있을 따름이다. 더구나 불과 1백년 전의 한글을 이해하려면 따로 해석이 필요할 만큼 지금과는 다르다. 실상 “한글로 논리적이고 복잡한 사유를 감당한 경험이 없었으므로 1900년대 초기의 한글 문장은 무질서한 횡설수설에 가까운 때가 많았고, 지방과 계층에 따라 다른 용례를 어떻게 수용하느냐의 문제도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고 권보드래 덕성여대 강사(국어국문학과)는 말한다.

한글의 형식만을 본다 해도 전적으로 번역의 영향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표음문자였던 한글이 한문에 비해 선호되었던 것은 서양의 알파벳 문자라는 모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더구나 띄어쓰기와 구두점 등도 영어와 일본어의 사례에서 시사받았다는 것이다.

한국어는 고종석 한국일보 편집위원의 표현처럼 ‘감염된 언어’이다. 문제는 어차피 모든 언어가 ‘혼혈’이라는 당위적인 명제가 아니라 일본을 거쳐 이중번역된 서양이 한국어의 대종을 이룬다는 것. 그의 말처럼 “만약 우리말에서 일본어의 잔재를 뽑는다는 것이 일부 순수주의자들이 주장하듯 일본어에서 수입된 한자어까지를 배척하는 것이라면, 우리들은 외마디 소리 말고는 단 한 문장도 제대로 입밖에 낼 수가 없을 것이다.”
국민, 민족, 사회, 등 서양을 번역한 일본어를 음역해서 쓰고 있는 예는 무수히 많다. 가령 한국어 ‘국민’[궁민]은 영어단어 ‘nation’이 가진 역사성을 휘발시킨 어휘다. 역사적 현실 속에서 생성된 ‘nation’의 흔적이 소멸되고 다만 과거 시점에서 일본어 ‘고쿠민’(國民)의 한자어가 음역되었을 따름이다. 여기서 근대한국어가 가진 기의상실의 문제가 드러난다. 김하수 연세대 교수(국어국문학과)는 “새롭게 만들어진 언어가 우리 사회의 내적 질서를 드러내면서 그 말이 표상할 수 있는 사물의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현대한국어는 그렇지 못하다”며 내적자율성을 상실한 채 단절된 근대한국어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가령 외국어가 한국인의 사고체계 속에서 자율경쟁을 통해 하나의 한국어 단어로 확정되기보다는 성급히 음역되어버리는 것도 내적자율성 상실의 한 징후이다.

근대 이전과 이후의 언어가 소통불가능한 한국어에서 이 ‘단절의 역사화’야말로 화두가 될 것이다. 시간을 거슬러 지금은 소멸된 어휘들을 복원하자는 말이 아니다. 그 중심에 번역이라는 근대한국어 출발의 계기가 버티고 있음을 상기하자는 뜻이다. 힘을 잃은 채 사회변화에 휩쓸려가는 언어를 목도하기보다는 이제부터라도 번역의 다양성 속에서 어휘들이 ‘풍화작용’을 겪는 그 과정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이옥진 기자 zo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