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8:30 (금)
주간리뷰 : 『미국은 동아시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워렌 코헨, 문화디자인 펴냄)
주간리뷰 : 『미국은 동아시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워렌 코헨, 문화디자인 펴냄)
  • 최용환 서강대
  • 승인 2003.10.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만한 강자의 시각

우리가 바라보는 미국은 다양하다. 그렇다면 미국과 미국인은 동아시아를 어떻게 바라보는 것일까. 여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다뤄져 왔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일독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소극적이었다면 동아시아의 역사는 어떻게 됐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한다. 저자는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저지른 잘못이 있었음에도, 미국의 민주주의는 동아시아 민중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했다고 확신한다. 이러한 시각은 미국이 아니었다면 동아시아를 지배하게 됐을 일본 군국주의 혹은 중국 공산주의보다는 미국적 가치와 제도가 우월하다는 인식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미국식 민주주의와 가치에 대한 청교도적 사명에 충실한 전형적인 아메리칸이다.

이 책의 두 번째 장은 동아시아 문화의 미국화에 대한 것이다. 저자는 동아시아의 미국화는 강요된 것이 아니며, 미국의 문화 요소들 중 아시아인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선택해, 수정하고 토착화시킨 과정이었다고 주장한다. 저자의 세 번째 관심은 미국의 동아시아화에 관한 것이다.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아시아는 미국의 대중문화, 예술, 영화, 식생활, 산업, 종교 및 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급증하는 아시아 이민의 증가는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미국 역시 동아시아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더욱 풍부하게 됐다고 주장한다. 이런 저자의 시각은 ‘문명충돌론’에 보이는 헌팅턴의 편협한 시각에 비해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저자의 시각은 강자의 입장에 선 편의주의적 역사해석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는 없다. 그는 1950년 미국이 가만히 있었다면 한국이 어떻게 됐을까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는 진작 망했을 한국이 미국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다는 것의 완곡한 표현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애초에 미국과 서구가 없었다면 1950년 한국은 미국을 필요했겠는가.

또한 저자는 동아시아가 배우고자 했던 미국 문화는 미국의 부와 강력함을 뒷받침하고 있는 제도와 과학기술이었던데 반해, 미국에 영향을 주고 있는 동아시아 문화는 예술과 생활에 관련된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이는 두 문화의 상호 작용이 대단히 비대칭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대칭적 문화의 상호작용 결과는, 미국식 가치에 기반한 제도, 체제를 공유하는 속에서 동아시아의 역할은 인간의 시청각 감각 및 생활에 있어 다양함을 부여하는 정도로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저자는 相生하는 문화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려 노력했지만, 기본적으로 강자의 시각에 기반해 있음으로해서 자신의 선의를 제한적인 것으로 만든다.

사실, 저자의 주장처럼 미국은 중국이나 일본보다 온건한 지배자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미국을 통해 정말 동아시아 민중의 삶이 나아졌는가에 대한 판단은 동아시아인 스스로에게 남겨두는 것이 보다 온당할 것이다.

최용환 /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국제정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