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2:55 (금)
'위기의 이공계를 살리자'-학계 앞장섰다
'위기의 이공계를 살리자'-학계 앞장섰다
  • 이지영 기자
  • 승인 2003.09.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화학회, 서명운동 시작

대학화학회(회장 심상철 경북대 교수)가 이공계 위기 극복을 위해 학회차원에서 대대적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서명운동은 지난 5월, 대한화학회의 운영진들은 소식지 '화학세계' 5월에서 '위기의 이공계를 살리자'는 제목의 호소문을 게재한 것부터 시작했다. 날로 심각해지는 이공계 기피현상과 그로 인한 산업기반의 약화를 두고 보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들은 △이공계 출신이 정책결정자로 참여할 수 있는 개혁적인 인사정책 현실화 △국공립연구소 연구원의 신분 및 정년 보장 △국가 주도의 이공계 고급인력 일자리 창출 △대학의 연구저변 복원 △시장 논리와 무관한 기초과학지원을 요구사항으로 내걸었다. 국가 주도의 정책적인 변화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 결과 학회원을 중심으로 한 서명운동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1천8백여명이 참여했으며, 앞으로도 참여인원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고재중 고려대 교수는 "대한화학회는 오는 10월 16일까지 추가로 서명을 받아 청와대, 교육부, 과기부, 국회에 청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이공계 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계의 시도는 꾸준히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물리학회는 지난해 한국물리학회 창립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물리교육'을 중요한 화두로 내걸었다. 과학교육 개선을 통해 기초과학 기피 현상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였다. 같은 맥락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초청해 대중과학 강좌를 개설하는가 하면,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캠프를 열기도 했다. 또한 올해 초에는 제주대 자연과학대학 교수 27명이 '과사모(과학을 사랑하는 교수 모임)'을 만들어 제주지역 고등학교를 돌며 무료 순회 강연을 한 바 있다. 서울대는 지난 2000년에 프랑스 테치엔 에콜데민 그랑제꼴과 공동박사학위제를 위한 협정을 맺었다. 우수인력의 해외유출을 방지하면서도 국제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같은 학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위기설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과학계의 정부에 대해 적극적인 의사표명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어떻게 위기극복의 해답을 찾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지영 기자 jiyou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