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3:55 (토)
[열린총장실] 지역발전 성패의 기로
[열린총장실] 지역발전 성패의 기로
  • 이광진 충남대 총장
  • 승인 2003.06.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라 일컬어진다. 지식기반사회에서는 토지, 자본, 노동이라는 전통적인 생산요소의 중요성이 지배하던 과거의 산업화 시기와는 크게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모든 경제활동 분야에서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원천으로 인식되고 그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세계화, 정보화 사회라는 것도 결국은 지식이라는 원천에 의한 사회변동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정보화의 물결에 의해 자리 잡아가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국가발전은 과거와 같이 중앙정부가 주도하고 지역이 쫓아가는 상의하달식(Top-down approach)의 수동적인 전략에서 하의상달식(Bottom-up approach)으로 바뀌어야 한다. 발전의 주체가 지역단위로 조직화되고 그들의 역동성을 통해서 지역혁신과 경제성장, 산업발전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들이 모여서 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지방의 경쟁력은 매우 낙후되어 있다. 성장위주의 각종 시책으로 인하여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과 지역격차는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지역이 중심이 되어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 확보에 기여함에도 불구하고 발전의 기본단위인 지역자체가 제대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역불균형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면서도 지금까지 '수도권의 집중화 및 지역불균형발전'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 핵심을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계 구축'과 인재양성, 지역산업구조 변화, 지방의 자생력 강화 등과 같은 주요 전략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이번만큼 지방대학 중심의 지역혁신과 이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의 큰 흐름을 연결시켜 고민한 적은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지방대학이 혁신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발전의 구심체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체제변화와 발전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지방대학육성 및 인적자원의 개발을 위해 지방대학의 여건을 진단하고 혁신주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교육 및 연구능력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지역의 우수인재를 육성하고 지역에 착근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시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적극적인 지방대학 육성책은 이러한 관점에서 시의 적절한 시책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산·학·연·관의 혁신네트워크 형성을 촉진시켜야 하며 혁신인프라의 체계적인 정비와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혁신의 결과는 산업발전을 통해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산학협력체계 강구에 따라 산업발전, 지역경제성장, 삶의 질 개선 등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과 인프라의 정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은 혁신네트워크 형성의 중심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좀더 적극적인 지역 내 기관과의 협조체제의 강구가 필요하며 지자체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는 유사한 지역발전협의체들이 정부 및 지자체 중심으로 구성되고 정부시책에 대한 홍보나 들러리 성격에 지나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는 지방대학이 중심이 되고 실제적인 지역혁신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협의체가 중심이 되고 지역산업체 등이 참여함으로써 산학협동을 위한 지역인사들의 활동무대를 만들고 각종 사업추진의 중심이 되어 혁신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것이다. 21세기가 시작하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의 성패가 달려있는 현 시점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