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8 20:45 (목)
비정규교수 71.3% 연구 환경에 불만
비정규교수 71.3% 연구 환경에 불만
  • 문광호 기자
  • 승인 2018.06.25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교협 등 5개 단체, ‘비정규교수·연구자 위기 실태와 극복’ 토론회 개최
▲지난 21일 '비정규교수 연구자의 위기 실태와 극복' 토론회에 참석한 김한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축사를 건네고 있다.

교수학술단체들이 비정규교수·연구자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공동의장 김귀옥, 이하 민교협)를 비롯한 5개 교수학술단체는 지난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학문 절벽 시대 비정규교수·연구자의 위기 실태와 극복’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김한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도 참석해 축사를 건넸다. 김 의원은 “대학 위기의 핵심이 연구자와 교수들의 불안과 소외”라며 ”토론을 통해 좋은 의제를 제출해주시면 국회에서 정책적으로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토론의 첫 발언에 나선 김누리 중앙대 교수(독문학)는 김 의원을 환영하면서도 다소 날선 말로 토론회를 시작했다. 김 교수는 “대학문제가 심각하고 위기상황에 있다고 진단하지만 정작 집권 여당인 민주당에서 내놓는 대학정책은 부실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대학은 이상적 사회를 그려내고 실험해볼 수 있는 기관이라는 훔볼트의 교육 이념을 소개하며 대학이 비정규교수들에게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사회학)의 발표는 김누리 교수의 현실 진단을 그대로 이어받으면서도 보다 실천적인 대안 제시로 나아갔다. 김 교수는 미래에 대한 고민이 없는 환경에서는 제대로 된 교육 정책이 나오기 힘들다고 입을 뗐다. 이어 김 교수는 “기존 학문 분과로는 기존의 고착화된 사회구조를 넘어서는 대안을 만들기 어렵다”며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학제 간 벽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연구단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책 연구 중심의 고등사회과학연구원이 답이 될 수 있다고 대안을 제시하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민교협은 지난 2월 실시한 비정규교수 현황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김귀옥 민교협 상임공동의장(한성대·사회학)은 설문 결과 비정규교수의 교육환경에 대한 불만족 비율은 79.5%, 연구환경은 71.3%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김 의장은 “설문 결과 중 한국연구재단 등의 사업에 참여한 동기로 84.7%가 경제적인 이유라고 답했다”며 “연구주제에 대한 관심 등 학문적인 이유는 후순위로 밀리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비정규 교수의 열악한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배성인 한신대 교수(정치학)는 인문사회계열 비정규교수의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위해서는 한국연구재단의 사업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배 교수는 “2016년 기준 연구개발 예산 규모는 16조에 달하지만 이 중 인문사회 분야 예산은 7천800억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인문사회계열 비정규교수의 안정적 연구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예산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국가교수제도나 대학원통합네트워크 등을 통해 대학원생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에서는 비정규교수 이외에도 대학원생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문제 제기도 나왔다. 최윤 고려대 과학기술연구소 교수(과학기술학)은 “과거와는 다르게 성과주의에 대한 압박이 크다”며 “계속해서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이공계 대학원생들은 자기 연구를 수행하고 창의적인 연구 주제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은 사라진다”고 말했다.

글·사진 문광호 기자 moonlit@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