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1:30 (금)
‘삼류’ 대학에서 가르쳐라
‘삼류’ 대학에서 가르쳐라
  • 이광수 부산외국어대
  • 승인 2003.03.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강의사간

어느 자리에서인가 교수법에 관한 특강을 들었다. 평소에 내 강의 시간이 학생들에게 곤혹스럽게 여겨지는 것 같아 무척 고민하던 차였는데, 마치 주제가 그 문제와 관련된 것이라 무척 반가웠다. 특강의 대부분은 매우 흥미로웠고 앞으로의 강의 개선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그런데 막상 현실로 돌아와 생각해 보니 특강 중 들은 내용이 내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을 발견했다. 무엇 때문이었을까.

우리는 일반적으로 토론 수업이 강의 수업에 대해 훨씬 효과적이고 학생들의 이해를 잘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학교 당국이나 많은 전문가들은 토론 수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가르치는 현장에서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학생들이 토론에 앞서 반드시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토론은 전혀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기본 개념 파악에 큰 방해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런 학생들에게는 주입식 교수법이 더 낫다. 그들은 서로 협동해 문제를 풀만한 기초가 돼 있지 못하기도 하고 그렇게 하고자 하는 의지마저도 없어 토론식 수업은 실현 불가능하기도 하겠거니와 막상 해도 거의 효과도 없다. 그들은 자신에게 맞는 공부 방법이 무엇인지도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런 차원에서 그들은 백지 상태가 아니라,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취한 방법이 무비판적으로 심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그들을 가르치는 교수도 공부 잘하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해 얻은 방법으로 강의를 한다. 이것이 문제이다.

한국 사회에서의 대학에 관한 이야기는 대개가 ‘강한 공간’에 관한 담론으로서 뿐이다. 공부를 못하거나 공부에 취미를 전혀 붙이지 못하는 학생들, 실력도 없고, 용기도 없고, 의지도 없는 학생들에 관한 고려는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 너나 할 것 없이 공부 잘하고 똑똑하고 의지가 투철한 아이들만 가르치고자 한다면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누가 가르칠 것인가. 강의와 연구가 일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겠지만, 강의 따로 연구 따로도 바람직한 일로 인정받는 것이 참교육으로 가는 기본 인식이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사회에서의 엘리트 중심 교육 철학은 서울과 지방 사이의 내부 식민주의로 인해 더욱 복잡하고 심각한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서울에서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우수하고 지방에서 대학 다니는 학생들은 못났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눈 딱 감고 그냥 넘어 가기로 하자. 그렇다고 해서 한국 사회가 그 우수한 학생들로만 구성돼 있고, 그들로만 운영될 수 있다고 보는가. 오늘날 한국 사회의 발전이 드러나지 않은 그 ‘못난’ 학생들의 희생과 빼앗김 위에 서 있다고 보지는 않은가. 그들을 버려 두고 한국병이라는 그 썩어 문드러진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고 보는가.

이는 대학에서 교수법의 문제가 아니다. 한 사회의 인본에 관한 문제다. 잘났고, 좋은 대학 다니고, 돈 많고, 예쁘고, 착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길만 길은 아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길도 분명 의미 있는 길이다. 전자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하고, 개선하지 말고, 그 절반만 아니 그 십분의 일만 되도 좋으니 후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을 위한 길 찾기를 위해 같이 고민해야 한다. 그리하여 훌륭한 교수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서울로, 서울로 옮기는 그런 일이 하루 속히 중단돼야 한다.

훌륭한 교수들일수록 지방에 남고, 소위 삼류 대학에 남아 그 학생들을 가르쳐 그들이 그 나름대로 사회의 동량이 되도록 힘써야 하지 않겠는가. 이것이 참다운 교육자이자 스승이 되는 것 아니겠는가.

이광수 부산외국어대·인도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