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1:25 (금)
세월 흘러도 한결같은 젊음…‘가부장제’ 새화두
세월 흘러도 한결같은 젊음…‘가부장제’ 새화두
  • 이지영 기자
  • 승인 2003.02.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여성사회학 일궈낸 이효재 교수

“지금은 학문하는 여성들이 많이 나왔지만, 내 시절에는 귀했지. 남성들은 자기 전문분야에 매진하면서 사회와 역사, 인간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지성을 길렀지만, 여성들은 어디 그럴 수 있었나. 교육의 기회도 없었는데. 나도 문제의식은 치열했는데, 그 생각을 완전하게 이론화 해내는 작업은 못한 것 같아. 이제는 포괄적인 안목을 가진 여성학자들이 많이 나와야 할텐데 아직도 인적 자원이 부족해.

” 이효재 전 이화여대 교수(사회학)에게 ‘우리이론’으로 선정된 소감, 특히 ‘우리이론’으로 선정된 유일한 여성학자로서의 소감을 물었을 때 돌아온 답이었다.

이 교수를 만나기 위해 달려간 곳은 경남 진해. 그는 지금 경신재단 경신사회복지연구소장으로 있다. 연구소라고는 하지만, 번쩍거리는 곳은 아니다. 양친이 운영하던 경신재단에 작은 연구소를 냈기 때문이다. 전쟁고아를 거둬들이기 위해 운영됐던 경신재단은 지금도 고아원을 비롯한 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귀가 어두워져 큰 소리로 대화를 나눠야 하는 점을 제외하면, 일흔 아홉이라는 나이가 실감나지 않았다. 

여성이 학문을 한다는 사실조차도 낯설던 시절, ‘여성’을 학문의 대상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노력을 기울인 이가 이 교수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내가 사회학을 시작하게 된 계기를 곰곰이 생각해 봤는데, 어렸을 때부터 여성들이 식민지 사회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에서 차별 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 국가와 민족의 주인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막연하게 고민했었어. 그게 사회학이니 여성학이니 하는 학문을 알기 전이야.
그러다가 대학에 들어가서는 철학이나 사회사상을 공부하고 싶었어. 역사와 사상을 고르게 보고 싶었거든. 유학을 가서 미국의 여성들이 근대화 과정에서 사회참여를 하고 경제적인 자립을 하는 것을 보고, 또 그 때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분단된 한국사회 속에서 여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 하는 문제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어. 그 이후로 일관되게 한 가지 문제를 가지고 고민했지. 여성의 주체성을 획득하는 것. 가정 내에서 가부장제 사회 내에서 지위를 되찾고, 여성이 민주시민이 되고 역사의 변화 주체가 되는 것 말이야.”

이 교수의 활동 및 사상은 평생을 두고 일관되게 진행됐다.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를 찾는 것이 사회 속에서, 국가와 민족 내에서 지위 획득과 연관돼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가 가족 연구에 몰두한 이유도 같은 맥락에 서 있다.

“1960년대만 해도 여성운동이라는 개념조차도 없었어.
전쟁이 끝난 후라 자기 가족의 안정만을 생각하던 시기였지. 몇몇 여성단체들도 일부 여성지도자들이 주도한 친목·관변 단체였고. 가족 내에서 느끼는 여성의 문제를 공론화 하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지.” 이 교수는 농촌·도시 여성 연구부터 매매춘 여성문제, 가족법 개정, 일본군 위안부 문제, 부모성 함께 쓰기 운동에 이르기까지 국내 여성계가 이끌어 온 굵직굵직한 쟁점 한 가운데 있었다. 봉인된 여성의 목소리를 되찾는데 까지 걸린 그 긴 시간동안 한결 같은 신념으로 행동한 것이다.

예전에서 비하면 여성의 지위가 훨씬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이 교수는 아직 안타까움이 많은 듯했다. 여성학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몇 년 전에 학생들에게 특강을 한 적이 있는데, 그 학생들은 권인숙 성고문 사건도, 인천동일방직의 투쟁도 모르는 거야. 자신들이 누리고 있는 현실이 얼마나 많은 여성들의 노력으로 성취된 것인지,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됐는지 가르치지 않거든. 이런 운동사를 통해 한국적 여성학이 확립될 텐데…. 구체적인 현실을 분석하는 것에는 분명 외국의 여성이론이 도움이 돼. 그런데 요즘은 그쪽으로 너무 치우치는 것이 아닌가 싶어. 총체적인 시각 아래서 실천적인 과제를 잊을까봐 걱정이지.”

유학생활에서 얻은 지식이 국내현실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했기 때문에 나온 우려였다. 여성학이 여성들만 연구하는 전문적인 분야에 머물러, ‘그녀들의 학문’으로 한정될지도 모른다는 염려도 엿보인다.
“퇴임하기 전에는 운동을 하느라 제대로 공부를 못 했어. 서울에 계속 있으면 내 연구는 못할 것 같아서, 젊은 세대들에게 일을 물려주고 진해로 왔지.” 책상 한켠에는 원고지가 수북히 쌓여있었다.

“조선조의 가부장제가 어떻게 노비층과 서민층까지 내면화됐는지 항상 궁금했었어. 가부장제도는 양반 지배층의 정당화 수단으로서 신분 세습의 역할을 했는데 말이야. 그래서 국사학계의 연구를 다시 여성의 입장, 가족사의 입장에서 연구했어. 그래서 내린 결론은 신분제 확립과 가부장제가 직결돼 있었던 거야. 가부장제 사회 내에서는 신분 상승을 위해서는 가부장제를 체화하는 방법밖에 없어. 여성이 인간 대접을 받으려면, 정절을 지키는 방법밖에 없었던 것처럼.”

이 교수는 “지금도 내 가족, 나의 신분 상승만을 생각하잖아. 과도한 교육열도 같은 맥락이야. 새로운 평등 문화를 일궈야 하는데, 근본적인 변화는 지금도 일어나지 않는 셈이지”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올 봄 책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이 교수의 학문과 여성운동에 대한 열정은 세월의 흐름과 무관한 것 같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