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6:25 (화)
“자본주의 맹아론·내재적 발전론 허상에 불과하다”
“자본주의 맹아론·내재적 발전론 허상에 불과하다”
  • 이지영 기자
  • 승인 2003.03.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사학계가 다시 한번 서슬퍼런 논쟁의 불꽃을 틔울 것인가. 국정 교과서 서술 및 한국 근현대사 서술의 바탕에 놓여있는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이 허구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본주의 맹아론에 대한 비판이 오래 전부터 있었으나, 이번에는 방대한 양의 통계 자료를 증거로 제시, 학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관련 기사 10면>

지난달 28일 낙성대경제연구소(소장 이영훈 서울대 교수)는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한국의 장기경제통계: 17-20세기’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번 학술대회는 수량경제학의 방법에 따라 임금, 이자율, 재화 가격 등 경제 각 분야의 장기적인 추이를 살폈다. 만약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로 이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실질적인 경제성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접근이다.

결론부터 말해 이들의 연구 분석에 따르면, 19세기 조선의 경제는 정체했으며, 위기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하층민 계층의 실질임금 하락, 성인남자의 사망률 증가, 삼림의 황폐화 등이 경제 상황의 악화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조선의 경제는 개항(1876년) 이전 이미 자신의 체제모순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조선 후기 자본주의의 맹아를 품고 있었으나, 외세에 의해 그 싹이 잘렸다는 ‘자본주의 맹아론’의 주장을 뒤집는 연구 성과이다. 원인으로 지적된 것은 대일본 무역중단과 대중국 무역적자 심화였다.

이미 오래 전부터 자본주의 맹아론의 허구성을 지적해 온 이영훈 교수는 “지금까지의 비판이 단편적인 증거에 근거한 것이라면, 이번 연구는 객관적이고 장기간의 성장 수치를 통한 비판이다”라고 의미를 매겼다. 또한 “농촌경제가 일정 수준에 다다른 후 침체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봤을 때도 당연하다”라며 “기존의 관념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낙성대경제연구소는 내년에는 1905년부터 1945년간의 경제변화 추이를, 내후년에서는 1945년 이후의 변화 추이를 연구해 4세기에 걸친 경제의 변화를 그려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설처럼 굳어있는 학계의 가설에 도전한 이 분석을 두고 내재론을 옹호하는 학자들의 반론이 어떻게 펼쳐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