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0:00 (목)
“편찬 사업 지속하려면 리모델링 수준의 전면적 손질 필요”
“편찬 사업 지속하려면 리모델링 수준의 전면적 손질 필요”
  • 최익현 기자
  • 승인 2017.06.26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월 사업종료 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어디로?

1980년부터 편찬, 3천여 명의 학자가 집필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하 민족문화사전)이 오는 11월 수탁 연구사업 종료를 앞두고 편찬 사업 자체가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민족문화사전’은 1980년 국가가 주도한 장기 연구 프로젝트로 3천여 명의 학자가 참여해, 10년 6개월만인 1991년 12월, 총28책으로 발간했다. 비록 권위주의적 군사정권에서 추진된 사업이긴 하지만, 그간 민족문화사전은 한국학 연구 성과를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후 이 사업은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2007.11.1.~2017.11.9.)로 이어졌다. 신익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지식정보센터 소장은 “민족문화사전은 국가가 주도한 연구 사업으로 상업 출판에서 다루기 힘든 한국학 관련 연구 콘텐츠까지 담아낼 수 있었으며, 이는 한국 민족문화에 대한 지식 체계화에 보다 폭넓은 기여를 할 수 있었다”고 의미를 매겼다.

편찬 사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안정적 지속성’이다. 초판본 발간 이후 지속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기업이나 교육부의 수탁 과제로 개정 증보가 진행됨으로써, 취약점을 노출했지만 이 문제는 보완, 개선되지 못했다. 현재 이 사업에 투입된 인원 21명중 5명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이 모두 계약직이거나 기업에서 콘텐츠 제공의 명목으로 받은 돈으로 임시 채용한 연구 인력이다. 이마저 오는 11월 초에 종료될 예정이어서 2018년 이후 편찬 사업은 ‘빨간불’이 켜졌다. 

그러나 학계에선 조금 다른 시선이다. 국학 분야의 한 중진 교수는 “민족문화사전은 공과가 분명히 있다. 안정적인 편찬 사업으로 ‘개정 증보 작업’을 추진할 필요도 있지만, 사전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와 진단을 내리는 게 먼저다. 국민 세금으로 진행하는 사업이기도 하지만, 그간 학계에서 이 사전에 내장된 정보의 오류에 대해 많은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런 우려와 제안은 22일(목)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이기동)이 개최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사업의 회고와 전망' 학술대회에서도 이어졌다. 초창기 편찬에 참여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조동일 서울대 명예교수(국문학)가 기조강연에서 ‘전면적 손질’을 요청하면서 뼈아픈 조언을 했다. 

“이 사전의 수정증보는 통상적인 작업일 수 없다. 재건축까지는 가지 않아도 리모델링 정도는 되는 거의 전면적인 손질이어야 한다. 뼈대부터 진단해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설계를 해야 한다. 뼈대가 허물어질 지경인 것은 알지 못하고 지엽말단만 손대는 것을 수정증보라고 하면 또 한 번 큰 죄를 짓는다. 개념용어 대항목은 제대로 된 것이 없다고 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