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2:25 (목)
교육단상_ 우리 미래의 희망씨앗 뿌리기
교육단상_ 우리 미래의 희망씨앗 뿌리기
  • 채상헌 천안연암대학·친환경원예과
  • 승인 2014.05.07 15: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채상헌 천안연암대학·친환경원예과

2009년 대학에 부임했을 당시 우리 학과는 생각보다 아주 어려운 상황이었다. 수도권보다 꽃이 일찍 피는 ‘지방’에 있는 ‘2년제’ ‘농업계’ 학과. 지금이야 입시 경쟁률이 4대 1을 넘어서고 교육부로부터 3년 연속 대표브랜드 학과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당시는 어찌 보면 망할 수 있는 3박자를 완벽히(?) 갖추고 있었다.

학과의 교수님들과 더불어 강도 높은 혁신에 돌입했다. 서울에서 출퇴근하던 교수님 두 분은 아예 대학 주변에 아파트를 얻어 합숙을 할 정도였다. 대기업에서 근무하다 온 필자로서는 학생들이 직장생활 당시의 직원처럼 보였다. 요컨대 ‘전 학생의 직원화!’ 지금도 당시 졸업생들은 자신들이 당시에 학생인지 직원인지 구분이 안 됐다고 할 정도다. 돌이켜 보니 효율과 효과성의 잣대로 학생들을 직원처럼 대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그러다 우리 집의 첫째 아이가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서 학생들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에 변화가 생겼다. 내 눈앞에 있는 학생들도 우리 집에 있는 그 스무 살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 5년이 걸린 셈이다. 누군가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했던가? 경제가 어려워져 휴학해 등록금을 벌어야 하고, 그렇게 다닌 대학을 졸업하고도 진로가 불투명해서 아픈 것만이 아니다.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았지만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세상병’을 앓고 있다. 2012년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4세 미만의 청소년 3명 중 1명(37.5%)이 2주 이상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슬프고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한다.

어쩌면 어른들이 저질러 놓은 ‘세상병’을 청소년기에 치렀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전문대학에 많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하던 차에 어느 날 한 학생과 상담을 하게 됐다. 그는 고등학교 다닐 때부터 이른바 ‘세상병’을 앓고 있었다. 그 학생은 극단적인 생각까지 여러 차례 했었고, 지금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어깨를 들썩였다. 그때 나는 한동안 천장을 올려다보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슬프기도 했지만, 나 자신부터 ‘세상병’ 제작자 중의 한 사람인 기성세대로서 미안해서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이후로 얼마 동안 아내와 나는 그 학생을 위해 자주 기도했고, 여러 교수님들이 더욱 관심을 갖고 도우면서 학생은 이전보다 훨씬 밝고 튼튼한 모습으로 대학생활을 보냈다. 약간의 관심이 그 학생에게는 엄청나게 큰 힘이 됐던 것 같다. 그때 받은 느낌이란 보람으로 설명되지 않는 뭔가의 다른 느낌이었다.

누군가 선생이라는 직업은 ‘젊은 영혼의 조각가’라고 했다던가? 하여간 그 일까지 있고 나서, 나는 학생들을 바라보는 눈높이가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가기 시작했던 것 같다. 많은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아이들을 통해 비로소 내가 맡은 역할과 임무가‘전문지식으로 학생을 지도하는 직업가인 교수자’가 아닌, ‘선생’이어야 한다는 것을 진실로 깨달아 가고 있었다. 덕분에 지금 나는 푸르지만 그늘도 짙은 세상이라는 가로수 밑에서 그들과 함께 손잡고 걸어갈 수 있는 선생이라는 직업에 무척 감사한다.

교수임용 면접 때 ‘이 학과의 교육목표는 좀 더 나은 사람으로 키워내는 것이 아니라, 최고의 농업전사를 양성하는 것’이라며 당시 학과장과 언쟁했던 것을, 내친김에 5년 이 지나 이 지면을 통해 수정·보고하고자 한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존중하는 우리 미래의 희망씨앗 뿌리기’가 우리의 소명입니다.

채상헌 천안연암대학·친환경원예과
2006년부터 이 대학 귀농지원센터장, MBC귀농아카데미 원장 등으로 귀농, 귀촌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