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1:30 (금)
“신분 보장한다던 총장들 책임졌나?”…방향성 놓고 격론
“신분 보장한다던 총장들 책임졌나?”…방향성 놓고 격론
  • 윤상민 기자
  • 승인 2014.03.06 0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 3단계 7년차 HK사업 놓고 정책포럼 개최

“인문한국 사업 7년 동안 ‘도대체 당신들 뭐냐’란 질문을 끊임없이 듣고 있다. 가장 보수적인 집단인 교수 사회가 그만큼 HK교수들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 아닐까?”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회장 신승운, 성균관대)가 지나달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 인문학의 미래-대학 연구소와 인문한국 사업’을 주제로 개최한 인문한국 정책포럼에서 토론자로 나선 윤용수 부산외대 지중해지역원장(아랍어과)은 인문한국(HK) 사업에 대한 학계의 시각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인문한국 지원사업의 성과와 과제」 발표에서 HK교수 지위의 불안정성을 지적했던 김태승 아주대 교수(사학과)는 윤 원장의 비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갔다. 김 교수는 작심한 듯 강하게 지적했다. “HK 초기 단계에서 사업계획서 낼 때는 HK교수 지위 문제를 적극 보장하겠다고 말한 총장, 연구소장들이 자기 말에 책임지지 않는다. 그들이 잘못했는데 HK 연구인력들이 책임을 지는 구조는 개선돼야 한다.”

이번 인문한국 정책포럼에서는 3단계7년차에 접어든 인문한국 사업의 연구 성과와 HK연구인력의 신분 문제, 연구소 운영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짚었다. 강영안 철학연구회장(서강대), 조운찬 <경향신문> 문화에디터, 김천홍 교육부 학술진흥과장 등의 발표문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대중인문학’으로 인문한국 연구 성과를 사회와 좀 더 공유해달라는 주문이었다.

이같은 ‘대중화’ 요구에 박헌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현대소설)는 “대중화 자체를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인문한국 사업을 고도화해달라는 주문도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43개 연구소 중 대중화할 연구소, 세계적 담론을 발신할 연구소 등 특성화 카테고리를 세분화해 층위를 나눌 수 있도록 평가방식도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소 층위를 나눠야 한다는 의견에는 윤 원장도 말을 보탰다. 그는 현재 대학 연구소의 질적 수준을 ‘노점상’이라고 평가하면서 “기업마다 엄청난 예산을 지원하는 해외지역 연구소가 있다. 인문한국 연구소의 한계가 명확한 상황에서, 사회 문제에 대안을 제시하는 등의 틈새시장을 발견하고 집중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오세희 인제대 교수(행정학과)는 인문한국 사업의 수도권 편중성을 지적했다. 그는 “수도권에 비해 변변한 인문학 대중 강좌가 없는 지방의 문제를 HK연구소가 외면한다면 인문한국 사업의 정당성이 훼손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구조조정이 심화되는 시기가 닥치면 HK연구소의 미래는 더 암울할 것”이라며 “‘평생교육’ 형태로 인문한국 사업의 대중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플로어에서 토론을 경정하던 김기봉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경기대)은 “인문학 위기 선언으로 2007년에 인문한국 사업이 시작했는데, 7년이 지난 2014년에도 그 위기감은 여전히 느껴진다”라며 “이번 정책포럼에서 인문한국 사업의 현재적 고민을 공론화하고 고민했다면, 포스트 인문한국 사업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돼야 한다”라고 논의의 폭 확대를 주문하기도 했다.

윤상민 기자 cinemond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