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8:45 (토)
[선거 다룬 두 개의 학술대회] ‘민주주의·선거 그리고 시민운동의 역할’ 등 화제
[선거 다룬 두 개의 학술대회] ‘민주주의·선거 그리고 시민운동의 역할’ 등 화제
  • 최익현 기자
  • 승인 2002.10.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2-10-03 01:48:53
대선을 1백여 일 앞둔 지금, 학계의 관심도 ‘대선’ 지형도에 가 닿아 있는 듯하다. 학계뿐만 아니다. 시민단체도 선거를 벼르고 있다.

참여연대·아시아선거감시네트워크(ANFREL)·아시아인권개발포럼(Forum Asia)이 공동주최한 국제워크숍 ‘민주주의·선거 그리고 시민운동의 역할’ 공동세미나가 지난 2일부터 성공회대에서 사흘동안 열렸다. 언론중재위원회도 발빠르게 ‘선거보도와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주제로 지난 5일부터 사흘간 양양 낙산비치호텔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국제워크숍 ‘민주주의·선거 그리고 시민운동의 역할’은 선거를 민주주의의 일정한 룰로 인식, 이 과정에서 어떻게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감시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자리였다. ‘낙선운동’이 태풍처럼 몰아쳤던 우리 정치 풍토에서 본다면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네팔, 일본 등의 선거 감시 문제는 타산지석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주최측은 “권력집단에 의해 자행되는 부정선거를 감시하는 활동, 기성 정당과는 다른 시민정치조직을 꾸려 직접 후로로 출마하는 운동, 특정 정치인에 대한 낙선운동 등을 포함해 아시아 각국의 선거공간에서의 시민운동의 경험은 다양하다”라고 말하면서 “이번 국제워크숍을 통해 각국의 시민운동이 선거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지,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지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공통의 비전을 만드는 일은 의미가 크다”고 자체 평가했다.

권력의 불법성 감시할 수 있어야

참여연대 등의 워크숍에서도 지적됐지만, 역시 문제는 ‘언론’의 보도였다. 정치권력의 압력 때문에 선거를 치르는 정당과 후보들의 불법성을 제대로 고발하는 어떤 조치도 취하지 못한다는 수지 이마모토씨의 일본 언론에 관한 지적 사항은 남의 나라 일이 아니다. ‘선거보도와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은 이점에서 눈여겨 볼 만하다.

언론중재위원회가 마련한 이 세미나는 학계, 방송, 언론이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고민한 흔적이 역력하다. 권혁남 전남대 교수(신문방송학과)가 ‘선거보도의 관행과 문제점’을 발표했다. 보도 관행이 존재한다는 진단이다. 언론의 선거보도에 대해 유권자들은 불만을 갖고 있다고 권 교수는 지적한다. 보도의 편파성(불공정보도), 후보의 자질, 정책이나 이슈 등 본질적 정보에 미치지 못하는 흥미위주의 보도 즉 선정적 보도다.

권 교수가 짚은 언론의 선거보도 문제점들은 이렇다. 선거 과열 불법 조장, 가십과 스케치 기사 강조, 전략적 대결 보도, 판파보도, 경마식 보도, 인색한 이슈 보도, 정당 수뇌부 중심의 선거 보도, 부정주의 보도, 지역감정 보도, 선거여론조사의 부정확성 등이 우리 언론의 ‘문제있는’ 보도 관행이다. 권 교수는 “우리 나라의 언론사들은 오직 판세 분석을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이다. 다시 말해 언론사들은 정당 또는 후보들의 정책이나 이슈 중심의 여론조사보다는 오직 경마식 저널리즘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현재 어느 후보가 얼마나 앞서 있고, 후보들간의 격차는 어느 정도인가’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편파보도와 심층보도 결여 형태를 극복할 수 있는 패러다임은 가능한가. 권 교수는 “무엇보다도 후보보다는 유권자 중심의 보도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즉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 또는 공중저널리즘(Public Journalism)의 모색이다. 이어 정당과 후보간의 정책 상호비교, 후보들이 제기하는 정책이나 이슈를 강조하기보다 유권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정책이나 이슈를 적극 발굴할 것, 이에 대한 후보들의 반응을 취재 보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권 교수는 주장했다. 또한 지역감정 보도는 철저하게 자제해야 하며, 선거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보도하지 말 것 등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선거, 부정적으로 보도하지 말자”

함께 발표자로 나선 이용식 문화일보 정치부장 역시 권 교수의 논의와 일맥상통하는 해법을 던졌다. 특히, 정책 공약 위주의 보도, 현장중심 유권자 중심 보도, 후보 검증, 부정선거 추적, 소수파 취재 등을 현장기자의 감각으로 제출해 눈길을 끌었다.

최익현 기자 ihchoi@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