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1:10 (금)
"번역불가능한 것은 새로운 실천을 낳는 '씨앗' 제공"
"번역불가능한 것은 새로운 실천을 낳는 '씨앗' 제공"
  • 이경란
  • 승인 2011.06.17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담_ 이화여대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한 로버트 J.C.영 뉴욕대 석좌교수

 

  로버트 J.C. 영(61) 교수는 Colonial Desire : Hybridity, Culture and Race (1995), Postcolonialism: An Historical Introduction (2001), White Mythologies (2004) 등의 저서로 포스트식민주의 이론 연구에 있어서 세계적 이론가로서 명성이 높은 석학이다. 특히 식민주의의 영향력 아래 있던 지역을 제3세계라는 모호한 용어대신 트리컨티넨탈(tricontinental :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로 명확하게 지칭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식민주의를 트리컨티넨탈리즘으로 명명하고 있다. 국내에 번역 소개된『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트리컨티넨탈리즘』와『백색신화』두 권은 포스트식민 시대에 재편된 세계질서에서 여전히 남아있는 식민주의적 가치를 비판하는 데 있어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로버트 영 교수의 저서들은 영문학자들 뿐 아니라 문화연구자, 여성학자, 사회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이론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화 혼종성과 유동적 정체성'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한 그를 이경란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가 기조강연 후 1차 대화를 나눈 뒤, e메일로 추가 대담을 진행했다.

 

이경란: 로버트 영 교수님, 이화인문과학원 연구단을 대표해서 저희 국제학술대회에 함께 해주시고 인터뷰에 응해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먼저, 저희 학술대회의 주제와 관련된 “혼종성”과 “문화번역”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영 교수님은 혼종성과 문화번역이 현재의 다문화 시대를 위해 가치있는 개념 혹은 이론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한국은 초국가적 결혼과 노동 이주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다문화적 사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소위 “다문화주의”는 실패라고 말해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혼종성”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새로운 대안적 가치가 될 수 있는지요? 또한 “문화번역”이 모든 다양한 문화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하는 가치인지, 아니면 “이국성”이나 “타자성”을 대면하는 과정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문화적/언어적 개념들을 “목표 문화”에 설명하는 이론적 혹은 실용적 도구로 보시는지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Young: “혼종성”과 “문화번역” 개념들이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어진 것은 사실 다문화 시대를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이해해야할 것은 그것이 “다문화주의” 개념 그 자체를 비판하면서 발전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만약 독일, 영국 등의 정치지도자들이 다문화주의가 어떤 면에서 실패다,라고 말하고 있다면, 그것은 그들이 마침내 수십 년 동안 인문학자들, 특히 영국 인문학 비평가들이 말해온 것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문화주의”가 캐나다에서 발명되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캐나다의 상황은 영국이나 한국에서의 상황과는 아주 달랐습니다. 다문화주의는 초국가적 결혼이나 노동 이민이 만들어낸 상황을 다루기 위해 창안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캐나다 퀘벡에서는 강력한 분리주의 운동이 있었습니다. 퀘벡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이었고, 그 지역의 유일한 공식 언어는 프랑스어였습니다. 그들은 16세기부터 그곳에 있었으며, 적어도 1960년대부터 많은 퀘벡 사람들이 캐나다로부터 독립한 독립국가로서의 통치권을 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프랑스계 캐나다 인들이 캐나다의 영어권 문화 안으로 동화되기를 확고부동하게 거절하는 상황에서 다문화주의는 발명되었습니다. 캐나다 안에 두개의 분리된 문화들이 있는 현실을 수용하려는 캐나다 정부에 하나의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두 문화가 캐나다의 한 일부로서 상호 평등한 존중과 관용으로 함께 살 수 있는 길을 제공해줄 수 있는 모델을 찾아 발명된 것입니다.

   그 후 다문화주의 개념은 토착 원주민들뿐 아니라 이뉴잇(Innuit: 캐나다 에스키모인)들에게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80여개의 다른 언어를 사용하였고, 그들 자신의 토착 문화들을 보존하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다문화주의는 캐나다 국가를 위한 정치적, 문화적 틀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안의 서로 다른 문화들의 평화로운 공존을 고무할 수 있었고, 각각의 문화가 자체의 자율성을 유지하도록 허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이 상소 관용의 모델은 비교적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듯했고, 그래서 유럽 국가들이 이민, 특히 비유럽 국가들에서 오는 이민의 정치적, 문화적 결과들을 고려하기 시작할 때 그들은 흔히 다문화주의 개념에 눈을 돌렸습니다. 그들 국가 안의 서로 다른 공동체들 사이에 가능한 관계들을 생각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말입니다. 하지만 일련의 여러 다른 토착적 문화들이나 여러 세기 동안의 정착민 문화들이 있는 상황과 동시대 이민에 만들어낸 상황은 아주 다릅니다. 다문화주의가 가장 호소력을 가졌던 곳은 독일이었습니다. 독일 정부는 이민자 집단들, 특히 터키인들을 결국은 독일을 떠날 일시적인 ‘손님 일꾼들’일 뿐이라는 가정을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다문화주의는 독일 정부의 관점에 잘 맞았습니다. 독일 정부는 이민자 집단들을 일반인들로부터 분리 유지하고자했습니다. 그들을 분리된 집단으로 인정함으로써 그들의 독특한 정체성을 고무하고자했습니다. 그들이 전반적인 독일 문화 안으로 통합해 들어오는 것, 혹은 터키계 독일인들이 독일인이 될 수 있다는 독일인이나 이민자들의 인식을 억제했습니다. 이러한 태도, 즉 이민자들은, 그들이 2세대라해도, 독일인이 아니다,라는 태도는 널리 퍼져 유지되었습니다.

   다른 한편, 영국에서는 이민자들을 일시적인 집단, 즉 영국인이 될 수 없는 집단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어떤 공식적 정책도 없었습니다. 가술적인 면에서, 어떤 경우는, 1940년대와 50년대에 영국 제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이미 영국인이었습니다. 영국은 다문화주의 개념을 어느 정도 공식적 개념으로 사용했는데, 다문화주의가 서로 다른 소수민족 공동체들에게 그들 자신의 삶의 형식들, 예를 들면 종교 같은 형식들에 일종의 문화적 존중과 자율성을 제공한다고 가정되었습니다. 이것은 모든 이민자들이 가능한 빨리 지배 문화 안으로 문화적으로 변용되어 들어와야 한다고 가정되었던, 전통적인 미국식 ‘용광로’보다 진전된 대안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이 모델은 1960년대에 미국의 소수민족들에 의해 이미 도전되고 있던 모델입니다. 그러나 비판가들은 재빨리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자비로운 다문화주의 형식조차도 여전히 개별 집단들이 자신들을 분리된 것으로 생각하도록 고무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 집단들이 모든 사람이 단지 그들의 민족성 때문에 속해야하는 “공동체”다,라는 가정을 만드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입니다. 그러면 정부나 지방 의회들은 그 공동체가 처음부터 공동체로 존재했다고 가정하고, 반드시 그 공동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닌, 흔히 스스로 임명한 “공동체 지도자들”과 대화를 하곤 했습니다.

   혼종성과 문화번역은 바로 다문화주의 개념에 특유한 화석화에 대항하기 위해 호미 바바, 폴 길로이, 스튜어트 홀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동화라는 오래된 개념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한 대안으로서였지요. 단순한 동화 안에서 이주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는 가치 없는 것으로 흔적도 없이 지워질 수 있었습니다. 바바의 개념인 “제3의 공간”은 문화들 사이의 상호작용 안에서, 전적으로 주인문화의 것도 아니며, 전적으로 이민자 문화의 것도 아닌, 새로운 문화적 형식들과 삶의 양식들이 발전될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해 전개되었습니다. “새로운 것이 세상에 들어오는 방법”에서요. 혼종성과 문화 번역은 그러므로 한 사회가 어떻게 자신을 변모시킬 수 있는가하는 이론들입니다. 다른 민족들의 존재를 수용하기 위해,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풍요롭게하는 문화적 환경과 긍정적이고 능력을 주는 새로운 삶의 형식들을 생산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이경란: 한국 독자들은 주로 교수님의 White Mythologies와 Postcolonialism: An Historical Introduction의 한국어 번역본인 『백색신화』와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트리컨티넨탈리즘』를 통해 만납니다. 특히 두 번째 책은 포스트식민주의를 “트리컨티넨탈리즘”과 동일시한 책의 제목으로 독자들의 눈을 끌곤 합니다. 한국어로 번역된 제목이 마음에 드시는지요? 한국어판 제목이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성공적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Young: 우선, 불행하게도 나는 한국어 제목을 읽을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한국 번역본의 표지가 보여주듯, 영어 제목은 White Mythologies입니다. 이 제목은 자끄 데리다(Jacque Derrida)의 에세이 “백색 신화”(La mythologie blanche)를 암시하면서 복수로 부드럽게 번역한 것입니다. 두 번째 책으로 말하자면, 한국어 제목 '포스트식민주의 혹은 트리컨티넨탈리즘'은 참으로 만족스럽습니다. 사실, 내가 그 책을 마무리했을 때, 나는 발행자가 부제의 “Introduction” 부분을 없애게 하려 했습니다. 왜냐하면 그 책은 사실 그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그 “Introduction”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Introduction”들은 보통 아주 짧지요! 하지만, 그 책은 이미 그 이름으로 시장에 알려졌기 때문에 그는 그 말을 없애는 것을 꺼렸습니다. 우리는 결국 “An Historical Introduction”이라는 제목으로 타협을 했지요. 사실 한국어 제목이 그 책의 정신과 주장에 훨씬 더 충실합니다. ’트리컨티넨탈‘이라는 개념의 발전과 포스트식민주의 개념 사이에는 긴밀한 역사적 관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국어 제목은 성공적인 문화 번역입니다. 실제로 원본 자체보다 더 원본의 정신에 진실한 제목입니다!

이경란: 교수님은 포스트식민주의를 대신해서 “트리컨티넨탈리즘”을 제안하셨습니다. 나름 설득력이 있는 주장이지만, 세 대륙을 “트리컨티넨탈리즘”으로 묶고 자본주의, 신식민주의, 신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연대를 상상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아니 가능은 한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도 있습니다. 세 대륙의 역사와 현재의 경험이 아주 다르고, 같은 대륙 내에서의 경험도 다양하니까요. 한국의 경우 비서구 국가인 일본에 의한 식민지 경험도 있습니다. 세 대륙 안에서 국가들이나 집단들 사이에 그들의 모순된 이해관계와 가치들에 기반한 어떤 ‘번역불가능성’이 있겠는지요?

Young: “트리컨티넨탈”(The Tricontinental)은 “북”(the North)의 대륙, 즉 유럽과 북아메리카와 대립되는 “남”(the South)의 세 대륙,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를 나타냅니다. “북”은 자본주의와 많은 식민주의의 역사적 기원이었습니다. 물론 이 구분은, 당신이 지적한 것처럼 불완전합니다. 특히 일본 같은 나라는 어떤 의미에서는 남(비-서구)의 일부였지만 스스로를 제국적 강국으로 만들고 남동아시아의 많은 부분을 식민지화함으로써 식민지가 되는 것을 모면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경제 대국 중 하나가 되었지요. 이러한 것은 이러한 분류가 결코 견고한 것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오늘날에는 일본뿐 아니라 한국, 싱가포르 같은 나라들이 경제적 조건에서 “북”의 일부가 되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일인당 GDP가 전 세계 180여 국 중 30번대 중반에 놓여있습니다. 더 부유한 국가들과 더불어 상위 사분의 일 안에 들어있지요. 그러한 의미에서 “북”에 속해 있습니다.

   하지만 북과 남을 나누는 다른 방식들이 있습니다. 하나는 개별 국가의 국민이 그들의 국가와 문화가 더 지배적이라고 느끼는지, 아니면 더 강력한 나라들에 의해 지배된다고 느끼는지 입니다. 다른 하나는 그들의 나라가 비교적 번성하다해도 전지구화의 전 과정에서 종속국가가 되고 있다고 느끼는지, 글로벌 경제의 상대적으로 분리된 그리고 제한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자본의 흐름의 일부라고 느끼는지 혹은 그것에서 베제되어 있다고 느끼는지 등입니다. 그러므로 비록 “트리컨티넨탈리즘‘이 넓게는 지리적 참조틀을 사용하지만, 그것은 결코 단순히 지리적인 것이 아닙니다. 결코 그런 적이 없습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개념입니다. 그들의 나라가 충분히 독립적이고 자율적이기보다는 국경 밖의 힘들에 의해 의존적이고 착취되는 상태에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제휴입니다. 그것은 또한 글로번 문화 시스템을 지배하지 못하는 그러한 문화들,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가치들, 언어들, 그리고 문화적 규범들에 자신들을 맞추라고 요구받고 있다고 느끼는 나라들을 나타내는 표식이기도 합니다.

이경란: 현재 새롭게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으신지요? 혼종성과 문화번역, 그리고 트리컨티넨탈리즘에 관한 이론들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혹 새로운 개념 혹은 변화된 개념은 없으신지요?

Young: 나는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Colonial Desire: Hybridity in Theory, Culture and Race (1995) 개정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정한 양을 새로 쓰고 새로운 장이 더해질 것입니다. 새로운 판에서 나는 그 책 이후 발생한 변화와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혼종성에 대한 나의 개념들을 정교하게 할 것이다. 나는 또한 번역에 대한 새 책을 쓰고 있습니다. 번역과 문화 번역의 개념들을 함께 다루고, 그것들을 개념적으로 비교하면서 두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론들을 전개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번역불가능성의 개념이 이 시도의 중심입니다. 언어적 번역에서, 특히 철학의 영역에서, 번역불가능성은 어떤 의미에서는 번역의 가능성들을 결정합니다.

    반면, 문화 번역은 역설적으로 실제로 번역할 수 없는 바로 그 특정한 문화적 실체나 실천을 말합니다. 하지만, 두 경우에서, 내가 이화여자대학교에서의 강연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것처럼, 번역불가능한 것은 단순히 막다른 골목, 장애가 아니라, 새로운 의미와 새로운 실천들을 발생시키는 “씨앗”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더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차원에서, 나는 폭력과 관용에 대한 책을 쓰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 시대의 특징인 폭력에의 파괴적인 충동에서 나아갈 길을 마련할 수 있는, 관용에 관한 역사적 사례들과 이론적 모델들을 다시 생각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이경란: 좀 사적인 질문인 듯 합니다만, 많은 한국 독자들은 교수님이 식민주의와 포스트식민주의에 대한 관심이 어떤 계기에서 촉발되었는지 궁금해 합니다. 아마도 그 호기심은 교수님께서 “백인 앵글로-색슨 남성”이라는 문화적, 민족적 배경에서 오는 듯합니다.

Young: 그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는 것은 긴 답을 필요로 할 것이며, 아무리 많이 답을 한다해도 아마도 결국에는 대답할 수 없음을 증명할 것 같습니다. 나는 이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그 질문에 간단히 대답하기는 어렵습니다. 즉, 내게, 어떤 의미에서는, 번역불가능한 질문입니다. 나는 여러 번 그것에 대해 글을 쓰려고 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White Mythologies의 두 번째 판 서문에 약간의 논의가 있습니다. 한국 번역본에 포함 되어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나는 내가 쓴 것이 그 질문을 더 이상 하지 않게 할 정도인가의 점에서는 진정으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나는 영국의 허트포드셔(Hertfordshire)에서 태어났습니다. 나의 가족사에 식민지나 비서구와 연결된 고리는 없습니다. 나의 아버지는 런던에서 성장하였고, 그의 가족 배경은 영국 북부와 스코틀랜드입니다. 두 곳의 문화는 내가 성장한 남부와는 아주 다릅니다. 그리고 두 문화는 내게는 여전히, 아마도 세계의 먼 곳의 다른 문화들보다 더, 이질적으로 느껴집니다. 나의 어머니의 배경은 아일랜드입니다. 그녀의 가족은 1860년대 대기근 때 서부 아일랜드에서 이민을 시작했습니다. 최근에 나 자신의 연구 조사로 발견한 사실입니다. 그들은 뉴캐슬(Newcastle) 바로 바깥에 있는 항구, 노스 쉴즈(North Shields)에 정착 했고, 1930년대의 경제적 불황 동안 남부로 이주했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당신이 사용한 언어의 용어 “앵글로-색슨”(Anglo-Saxon)으로 보자면, 더 적절하게는 오스르테일리아에서 그들이 부르는 “앵글로-켈틱”(Anglo-Celtic)인 셈입니다. 비록 이 두 개념들 모두 내가 나의 책 The Idea of English Ethnicity에서 보여주고자 한 것처럼 19세기의 창조물이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나는 처음 그곳에 갔을 때, 나는 늘 아일랜드를 좋아했습니다. 아일랜드의 삶의 방식에 즉각적이고 깊은 공감을 느꼈습니다.

    이런 것들 어느 것도 적절한 방식으로 식민주의와 포스트식민주의에 대한 나의 관심을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또한 나의 지속적인 경향, 즉 나 자신을 내가 성장한 것들과 아주 다른 관점들 속으로 반직감적으로 투사하는 경향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또한 내가 많은 다른 문화적 배경들에서 온 사람들과 교우 관계를 쉽게 발전시키는(그렇게 생각하고 싶습니다)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한국에 온지 아주 짧은 그 몇일 동안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으로는 이 정도로 만족해야할 듯합니다. 나는 단지 어떤 의미에서는 언제나 나 자신의 문화적 조건화의 결실을 거슬려 가는 사람입니다. 언제나 힘을 가진 사람보다 힘이 약한 사람들에게 더 손쉽게 공감하는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말을 하기보다는 그들에게 귀를 기울여 그들의 개인적인 관점을 발견하는 것, 다시 말해, 사물이 그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 무엇이 그들의 인간됨의 지반인지 발견하는 것이 더 흥미롭다고 느끼는 사람입니다.

이경란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

대담자는 이화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젠더와 문학:19세기 여성문학연구』, 『영미문학의 길잡이2: 미국문학과 비평이론』(공저)등이 있다.

 

Interview with Robert JC Young

by Kyung-Ran Lee

"The untranslatable provides the ‘seed’ that generates new meaning and new practices."

Lee: Professor Young, I would like to thank you again on behalf of our research team members, for your joining our conference and sparing your precious time for an interview. I would like to start from something related to our conference.

Lee: Do you think hybridity or cultural translation has any real value as a concept or theory for the current multicultural era? We Koreans are facing a society which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ransnational marriages and labor immigration. And so-called "multiculturalism" has been said to be proved to be a failure. Do you think "hybridity" has any potentiality to be a new value theoretically and/or practically? And also, regarding the concept of "cultural translation," I would like to ask you whether the concept is either substantial value at which all diverse cultures are ultimately reaching, or the process itself of encountering "foreignness" or "otherness", or a theoretical/practical tool to explain own cultural/linguistic concepts to the "target culture."

Young: The concepts of hybridity and cultural translation were indeed invented in their current forms for the multicultural era?but wha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s that they were developed as critiques of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itself. So if certain political leaders in Germany, the UK, and elsewhere are saying that multiculturalism has been in some respects a failure, it means that they have finally begun to heed what critics in the humanities in Britain in particular have been saying for some decades. Let's remember that 'multiculturalism' was a Canadian invention, and that the Canadian situation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which obtains in the UK or in Korea. Multiculturalism was not created to deal with situations produced by transnational marriages or labour immigration. Canada has a strong separatist movement in Quebec, a province which is predominantly French-speaking and whose sole official language is French. They have been there since the sixteenth century. Since the 1960s at least, many Qu?b?cois have been seeking national sovereignty as an independent state from Canada. Given that the French Canadians had steadfastly refused to be assimilated into the Anglophone culture of Canada, multiculturalism was invented in order to provide a model for the Canadian state which would accommodate the reality of there being two separate cultures within Canada, and which could provide a pathway for them to live together with equal mutual respect and tolerance as a part of Canada. Subsequently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was extended to include the Inuit populations, as well as the aboriginal 'first nations', who together speak over eighty different languages, and also wish to preserve their own indigenous cultures. So essentially multiculturalism was invented in order to provide a political and cultural framework for the Canadian state which could encourage the peaceful co-existence of the different cultures within Canada, and allow each to retain its own autonomy. Now this model of mutual tolerance seemed to work relatively successfully and therefore when European countries began to consider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sequences of immigration, particularly from non-European countries, they often turned to the idea of multiculturalism as a way of thinking through the possible relations between different communities in their own countries. However,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a series of different of distinct indigenous (or centuries-old settler) cultures, and that produced by contemporary immigration are very different. The greatest appeal of multiculturalism was in Germany, where it was the long-standing assumption of the German government that immigrant groups, particularly the Turks, were only temporary 'Guest workers' who would eventually leave Germany. Therefore multiculturalism suited the viewpoint of the German government which wished to keep its immigrant groups apart from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deed by recognising them as separate, encouraged their distinctive identity and discouraged their integration into German culture in general or the perception (whether by the Germans or the immigrants) that Turkish-Germans could become German. This attitude―that immigrants even of the second generation are not German―remains widespread. In Britain, on the other hand, where there was never any official policy whereby immigrants were seen as temporary or incapable of becoming British (technically, in any case, immigrants from the British Empire in the 1940s and 1950s were already British), there was a certain official use of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which was supposed to offer different ethnic communities a degree of cultural respect and autonomy in their own forms of life, such as religion―this was regarded by some as a progressiv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merican 'melting-pot' model whereby all immigrants, so it was assumed, should become acculturated into the dominant culture as quickly as possible (a model that was already being challenged in the 1960s by ethnic minorities in the US). Critics, however, quickly pointed out that even this benign form of multiculturalism was still having the effect of encouraging individual groups to think of themselves as separate, and also of making the assumption that these were 'communities' to which everyone belonged merely by virtue of their ethnicity. The state, or local councils, would then engage in dialogue with often self-appointed 'community leaders' who were not necessarily at all representative of the community, assuming that the community in fact existed as a community in the first place. Hybridity and cultural translation were proposed by commentators such as Homi Bhabha, Paul Gilroy, and Stuart Hall, precisely to counter the ossification endemic to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but as an alternative to going back to the older idea of simple assimilation, in which the migrant's cultural identity and history would be erased without trace as valueless. Bhabha's concept of the 'third space' was developed in order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in the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new cultural forms and modes of living might be developed that would be neither wholly that of the host culture, nor that of the immigrant culture ('how newness enters the world'). Hybridity and cultural translation are therefore theories of how a society can transform itself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resence of different peoples, so as to produce positive and enabling new forms of living and a cultural environment which enriches all the parties concerned.

Lee: Korean readers usually meet you through your books White Mythology and Postcolonialism:An Historical Introduction which are translated into Korean. The second book has caught our attention because the title of the book has been translated into a very attractive title Postcolonialism or Tricontinentalism. Do you like the translated title? Do you think the translated title is successful in terms of "cultural translation" of your book?

Young: First of all, I am unfortunately unable to read the title in Korean, but in English, as it indicates on the cover of the Korean translation, the title of the book is White Mythologies. This was an allusion, but mild translation into the plural, of an essay by Jacques Derrida called 'La mythologie blanche' ('White Mythology').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ok, I am very happy that the title in Korean is Postcolonialism or Tricontinentalism. In fact, when I finished the book, I tried to get the publisher to drop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subtitle, since the book was not really an introduction, in the way that the term is normally used (introductions are usually quite short!). However, it had already been marketed with this name, so he was reluctant to drop it; eventually we compromised with 'An Historical Introduction'. In fact, the Korean title is much more faithful to the spirit and argument of the book, which is that there is an intrinsic histo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the 'tricontinental' and that of postcolonialism. So the Korean title was a successful cultural translation which was in fact more true to the spirit of the original than the original itself!

Lee: You have suggested "Tricontinentalism" for Postcolonialism. I think your arguments for the term have been very convincing. Yet some people doubt if it is desirable, or even possible, to bind three Contents as "Tricontinentalism" and have a vision of their solidarity against Capitalism, Neocolonialism, or New Imperialism. Their historical and current experiences are so diverse. And we Koreans have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being colonized by Japan. Is there any "untranslatability" among the nations and groups of people in the Tri-continents based on their contradictory interests and values?

Young: The tricontinental refers to the three continents of 'the South'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as opposed to those of 'the North' (Europe and North America). The latter have been the historical origins of capitalism and much colonialism, though of course as you point out, this is an imperfect division. In particular, a country like Japan, which was in some sense part of the South (non-Western), and yet which avoided being colonised by itself becoming an imperial power and colonising much of South-East Asia, before then becoming one of the largest economies in the world in more recent times, shows that these divisions are never hard and fast. Today, arguably, countries like Korea and Singapore, as well as Japan, are, in economic terms, part of 'the North'. Korea, whose GDP per capita puts it in the mid-30s out of the 180-odd countries of the world, is clearly in the top quartile with the richer nations, and perhaps in that sense belongs to 'the North'. There are other ways of measuring this, however. One is whether people in an individual country feel as if their country and its culture is more dominant or more dominated by more powerful countries. Another is whether their country, even if or perhaps especially if relatively prosperous, has become in some sense a client-state of the whole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whether it is part of, or excluded from, the capital flows which make up the relatively discrete and restricted network of the global economy. We could say, therefore, that although 'tricontinentalism' uses a broadly geographic framework, it is (and never has been) simply geographical. It is fundamentally a political and cultural concept, an alliance of those who feel that their countries have existed in a state of dependency or exploitation by powers beyond their borders rather than being fully independent and autonomous. It is also a marker of those cultures which do not dominate the global cultural system, countries where there is a sense of being required to accommodate themselves to values, languages, and cultural norms other than their own, in a world in which their own cultures remain relatively invisible.

Lee: What are your current interests? Do you have any specific project for future? Do you have any new or changed idea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your theories of hybridity, cultural translation, and Tricontinentalism?

Young: I'm involved in a number of projects. One is the preparation of a new edition of my book, Colonial Desire: Hybridity in Theory, Culture and Race (1995), which involves a certain amount of rewriting as well as additional chapters. In that new edition, I will be refining my ideas of hybridity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have occurred since the original edition. I am also writing a new book on translation. The ambition of this book is to put together the ideas of translation and cultural translation, to compare them conceptually, and to develop new theories of both. The concept of untranslatability is central to this?because in linguistic translation,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philosophy, the untranslatable in some sense determines the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while for its part cultural translation paradoxically names the very specific cultural entity or practice that is in fact untranslatable. In both instances, however, as I tried to show in my lecture at Ewha, the untranslatable is not simply an impasse, a barrier, but rather provides the 'seed' that generates new meaning and new practices. Finally, on a more historical and political level, I am writing a book on violence and tolerance: I am interested in rethinking historical examples, or theoretical models, of tolerance that can provide a way forward from the particular destructive compulsion to violence that marks our own era.

Lee: It may seem so personal a question. Yet many Korean readers are curious about the momentum for your interests in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The curiosity perhaps comes from your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 of "white Anglo-Saxon, male" origination.

Young: To answer that question properly would require a long answer, and however much I wrote perhaps it would prove to be finally unanswerable in the end in any case. I am often asked this question, and there is no simple way to respond. It is, for me, in some sense the untranslatable question. I have tried to write about it at various times (for example there is some discussion in the Introduction to the second edition of White Mythologies, which is included in the Korean translation), but without real success in the sense that I could feel that what I have written has laid that question to rest. I was born in Hertfordshire in England, and have no colonial or non-western links in my family history. My father grew up in London; his family background was from Northern England and Scotland, cultures which are both very different from the South where I grew up, and which to me still feel perhaps more alien than many other far away cultures around the world. My mother's background is Irish: her family began to emigrate from Western Ireland at the time of the Famine (1860s)―something I discovered only fairly recently as a result of my own research. They settled in North Shields, a port just outside Newcastle, and then, during the economic depression of the 1930s, the family moved South. So I am, in terms of the language which you use ('Anglo-Saxon'), more properly what in Australia they would call 'Anglo-Celtic' (though both these concepts are really more creations of the nineteenth century than anything deeper, as I try to show in my book The Idea of English Ethnicity). Since I first went there, I have always loved Ireland and felt an immediate and deep sympathy with the Irish way of life. None of that explains in any adequate fashion my interest in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nor my constant tendency to project myself counter-intuitively into points of view that are very far from those with which I was brought up, nor the ease with which I (would like to think) I find myself able to develop friendships with people who come from man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even, for example, in the very few days in which I was in Korea. But it will have to do for now. I am simply someone who in a certain sense has always gone against the grain of his own cultural conditioning, always sympathised more readily with the disempowered than those in power, someone who has always found it more interesting to listen to others and to discover their individual points of view, how things look to them so to speak, what grounds their humanity, than to preach to the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