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9:25 (목)
[진단] 과학고급두뇌 활용책 모색한 포스트닥 발전 방향 심포지엄
[진단] 과학고급두뇌 활용책 모색한 포스트닥 발전 방향 심포지엄
  • 이지영 기자
  • 승인 2002.05.2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2-05-28 13:34:53
인문학 위기라는 말이 한차례 지나고 난 후, 다시 이공학계열 기피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과학학문후속세대 지원문제가 거론되지 않을 수 없다. 한국과학재단(이사장 김정덕, KOSEF)이 지난 22일 과학재단 대덕연구단지에서 개최한 ‘포스트닥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학술대회’의 의미는 바로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 ‘발등의 불’처럼 시급한 현실적 문제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과학계의 고민이 얽혀있다.

국내 포스트닥 제도는 1982년부터 이공계 박사학위자들을 대상으로 선진외국의 유수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의 개념정립 등 과학 걸음마부터 배우게 하겠다는 전제에서 시작됐다. 그러고보니 포스트닥 제도를 운영한지도 어느덧 20년이 지났다. 20년 동안의 성적표는 어떻게 매길수 있을까. 이를 조명·평가하고, 향후 국가발전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젊은 연구 인력 양성 방향을 찾는 것이 이번 학술대회의 목적이었다.

정명세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의 특별강연 ‘젊은 과학도의 역할’이 심포지엄의 서두에 놓였다. 정 이사장은 “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감에도 불구하고, 과학도들의 노력에 비해 보상이 적다는 인식이 강해 과학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심이 줄고있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한국의 총 연구개발투자비 규모는 세계 8위이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미국의 1/25, 일본의 1/13, 독일의 1/5 수준이고, 연구인력 면에서도 세계 9위라는 지표에도 불구하고, 실제 미국의 1/10, 일본의 1/5, 독일의 1/2.4 수준에 그치는 현실이다 보니 젊은 세대들의 이공계 기피를 나무랄 수만은 없다.

그런 까닭일까. 이날 눈길을 끈 것은 포스트닥 인력들의 불균형한 수급현황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한 시도였다. 먼저 고상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박사는 ‘연구개발 인력 수급실태 및 활용방안’에서 선진외국에서 시행하는 포스트닥과 한국의 상황을 세세하게 비교하며 연구개발인력의 수급차 해소를 위한 인력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는 포스트닥의 규모가 박사학위 취득자들의 30%에 육박하며, 대학과 기업을 있는 교두보로써 고급인력의 취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국 노동통계국은 2년 주기로 향후 10년간의 장기직업전망을 밝힘으로써 고급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한다.

대학, 연구교수 임용 방안 적극 모색해야

이에 비해 한국의 포스트닥은 아직 미진한 수준이다. 박사학위 취득 5년 이내, 40세 이하의 신진과학자를 대상으로 핵심기술 및 첨단 과학기술분야에 한해 지원한다는 전제하에서 2001년 현재 2백35명이 도움을 얻고 있다. 포스트닥 총 활용 규모 또한 연 2천명 내지 2천1백명으로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치. 고 박사는 “미국의 경우 자연계 박사학위 소지자의 20%가 연구개발 이외의 분야에 종사하고, 독일의 경우 공대 교수는 산업체 경력을 필수로 요구한다”며, 우리나라도 박사급 고급인력이 연구 개발 이외에도 벤처창업, 기업의 CEO 등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여성기술인력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임대영 배재대 교수(세라믹공학)도 구체적인 연구인력의 수용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실업률이 높은 박사급 인력을 수용할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골자. 그는 박사급 인력양성의 왜곡 현상 해결을 위해 포스트닥 해외연수생의 벤처 및 중소기업 진출 유도, 정부 각 부처에서 필요한 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예산을 확보해 고급과학인력을 흡수할 것도 제안했다. 또 장기적 관점으로는 해외 또는 국내 포스트닥 연수생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도입하는 한편, 동북아시대를 준비하는 지역 전문가 양성, 연구교수 임용 방안 등을 통해 고급과학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자고 주장했다.

고급과학인력의 수급 조정을 위한 논의는 이날의 현재 과학계의 고민을 반영해 주는 듯 했다. 과학 발전이 국가경쟁력의 바탕이라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한국의 미래를 생각할 때 우수연구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법안마련이 무엇보다 우선적인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이지영 기자 jiyou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