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0:30 (금)
“한국형 GRE 필요는 한데 효과는 글쎄…”
“한국형 GRE 필요는 한데 효과는 글쎄…”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0.04.26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 시안’에 대한 대학원장 반응

“특히 한국형 대학원 입학자격시험(이하 K-GRE)에 의견을 많이 달라.” 교과부가 지난 22일 전국대학원장협의회 정기총회 및 심포지엄에서 공개한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 시안에서 핵심은 ‘K-GRE’의 도입이다. 그러나 K-GRE가 국내 대학원에 안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학원장들의 현장 반응에서 그런 분위기가 풍겼다.

<교수신문>은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대학원장 41명을 대상으로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 시안에 대해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의견조사에 응한 대학원장 중 72.5%가 K-GRE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55.3%에 불과했다. 한 수도권 사립대 대학원장은 “지역 대학원 가운데는 지금도 미달하는 학과가 많은데 도입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교과부가 내놓은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 시안 가운데 필요성이 가장 높은 방안은 내년부터 추진하겠다고 밝힌 ‘우수 박사과정 학생 지원 사업’이었다. 지난 3월 교육개혁대책회의에서 이미 밝힌 내용으로, 글로벌 수준의 박사 양성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박사과정 우수학생에게 생활비, 연구비 등 학위과정에 필요한 경비(Dissertation Fellowship)와 Post-doc연수를 지원해 신진 핵심인력으로 양성하겠다는 포부다. 대학원장 82.9%가 필요성에 공감했다. 효과성에 대해서도 68.4%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명에 그쳤지만 ‘그저 그렇다’는 응답(10명)도 꽤 많았다. 한 서울지역 사립대 대학원장은 “우수학생의 구분이 어려워 선정이 나눠먹기로 갈 수 있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함께 추진하고 있는 ‘박사과정 중심의 선도대학 육성’에 대해서는 다소 박한 평가를 내렸다. 응답한 대학원장의 60.0%만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효과성에 대해서는 이보다 약간 높은 65.8%의 찬성률을 보였다. 수도권 대학과 대규모 연구중심대학일수록 필요성과 효과에 공감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한 지역 사립대 대학원장은 “특정 대학에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혜택이 가도록 해야 한다”며 “특히 지역 사립대에 많이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1인당 최대 논문지도 학생 수 설정, 일정 수준의 학술지에 박사학위 논문 게재 등의 내용을 담은 ‘박사학위 논문 질 제고 방안’에 대해서도 응답한 대학원장의 81.6%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가 평가했다.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도 77.8%로 높았다.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 시안 중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학과·전공 프로그램의 평가인증 체제 확립에 대해서는 반응이 썩 좋지는 않았다. 필요하다는 응답이 59.0%였다.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평가는 62.2%였다. 특히 공학교육인증원, 건축학교육인증원, 언론사 등 학문분야별로 민간기구 평가를 강화하겠다는 방안에 대해서는 50.0%만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효과에 대한 기대는 더 낮아 민간영역의 평가 활성화가 대학원 교육 질 제고에 효과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41.7%에 그쳤다. ‘전혀 효과 없다’는 응답도 2명 있었다.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