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0:30 (목)
‘모던 보이’ 탄생 100년, 그의 진짜 얼굴을 찾다
‘모던 보이’ 탄생 100년, 그의 진짜 얼굴을 찾다
  • 우주영 기자
  • 승인 2010.04.05 16: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주현 경북대 교수(국문학), 천재작가 이상 둘러싼 신비 파헤쳐

난해한 작품만큼 무수한 신화 속에 가려졌던 이상.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10여 년간 이상 연구에 매달려온 한 젊은 학자가 이상을 둘러싼 부정확한 사실관계를 정리해 화제다. 김주현 경북대 교수(국문학)는 「이상 문학에 관한 몇 가지 주석」(<문학선>, 통권 23호, 2010.3)에서 여전히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은 이상의 궤적을 추적했다. 이는 김 교수의 『정본 이상문학전집』(소명출판, 2005-이 책은 2010년 증보 개정판 『정본 이상문학전집』으로 출간됐다. 아래기사 참조)의 주석이다. 탄생 100년을 맞는 지금, 이상에 관한 온갖 추측을 바로잡는 분기점이 될지 주목된다. 모던 보이, 이상. 그의 진짜 얼굴은 무엇일까.

◆異常인가, 李箱인가= 이상이 본명 김해경에서 ‘이상’으로 이름을 바꾼 것은 ‘공사장 유래설’이 일반적이다. 김기림의 증언에 따라 이상이 스무살 즈음 건축 공사장에서 어느 인부가 ‘긴상’을 ‘이상’으로 잘못 부른 것을 필명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경성고공 졸업앨범에도 이상이란 필명이 등장한다. 그 이전부터 필명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내 변동림 역시 공사장 유래설은 만들어진 것이란 이상의 말을 기억한다. 그런데 2002년 이상의 친구였던 구본웅의 조카, 구광모에 의해 새로운 주장이 제기된다. 구본웅이 이상의 고공입학 기념으로 寫生箱을 선물했는데 이상이 그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자신의 아호에 箱자를 넣었다는 것이다. 보성고보 시절 이상과 절친했던 문종혁의 진술도 스케치박스 설을 뒷받침한다. 구본웅이 선물한 시기와 이상이 새 스케치박스를 들고 다녔다는 문종혁의 진술이 일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의 필명은 고공 재학시절 이미 존재했으며, 그것은 1926년 寫生箱에서 유래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 이상의 일본 하숙집은 어디= 이상은 1936년 10월 중순 동경으로 건너가 하숙집을 정했다. 지금까지 그 주소는 임종국의 주장에 따라 “東京市 神田區 神保町 三丁目 一0一의 四 石川方에 寄宿”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권영민 교수는 2008년 101-4번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것은 10-1번지 4호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밝혀낸다. 이상의 엽서를 해석한 임종국이 ‘10-4’에서 중간 줄표를 ‘1’로 오식한데서 빚어진 실수다.

◆ 데드마스크는 어디에= 이상이 죽은 후 그의 데드마스크가 만들어졌다. 이상의 임종을 지켰던 김소운에 따르면 길진섭이 이상의 데드마스크를 떴다. 그런데 그의 누이 김옥희나 변동림 모두 데드마스크의 행방을 모르며, 현재까지도 이상의 데드마스크는 행방이 묘연하다.
데드마스크는 이상이 평소 자화상에 열중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는 1931년 <자상>을 출품해 입선한 바 있으며, 시 「자상」을 쓰기도 했다. 이상은 이미 여러 ‘자화상 ’속에 자신의 데드마스크를 남기고 있었다. 이는 이상의 자기분열, 또는 증식에의 욕망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죽음 직전 병원에 입원한 시기= 고은은 『이상평전』(청하, 1992)에서 이상의 동경제대 병원 입원 시기를 3월 16일로 적는다. 김연수는 3월 24일로 추정한다. 그러나 이상은 3월 13일경에 보석돼 3월 20일, 21일 양일간 김기림을 만났다는 점에서 고은의 추정은 어긋난다. 김연수의 주장 역시 이상의 위급 소식을 듣고 동경으로 달려온 변동림의 행적을 고려해 보면 부정확하다. 이상이 입원하기 전 3월 22~23일 쯤 김기림은 동경을 떠나 서울로 돌아오는 데 이미 변동림은 이상의 위독 소식을 듣고 동경으로 출발한 후였다. 그런데 이상의 임종을 지켰던 이진순은 이상이 입원 후 점점 위독해져 고국에 알렸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변동림이 24일 경 동경으로 떠났다는 건 이르다. 김기림이 동경에서 이상과 헤어진 후 바로 서울로 오지 않고 동경에 좀 더 머문 것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이상은 일러도 3월 말이나 4월 초순경에 입원했을 것으로 보인다.

◆ 죽음의 향기, 레몬이냐 멜론이냐= 이어령은 이상이 임종 직전 레몬 향기가 맡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나 변동림에 따르면 이상이 갈망한 것은 ‘셈비끼야의 메롱’, 멜론이었다. 그녀는 그의 임종을 지켜보았고, 실제 그 과일을 사러갔던 사람이었다. 레몬은 멜론의 음가적 혼동, 또는 와전으로 보는 것이 옳다.

◆ 이상의 사인, 폐환인가 뇌매독인가= 이상의 죽음을 두고도 많은 의혹이 있었다. 박태원은 이상이 『종생기』에서 자신의 죽음을 거의 정확히 예견한 것을 두고 자살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소운은 이상의 사인을 ‘결핵성뇌매독’이라 내세웠고, 이는 이상 연구자인 김윤식과 이경훈의 동의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김소운의 기록이 일관되지 않고, 이는 변동림의 증언처럼 이상에 대한 김소운의 시기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이상이 폐질환으로 사망한 것은 확실하다.

◆ 『종생기』는 유서인가= 고은 등에 의해 이상의 사망이 새벽 4시라는 주장이 있지만 이상은 아내와 동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1937년 4월 17일 오후 3시 25분에 임종했다. 당시 곁을 지켰던 변동림의 증언과 가장 먼저 이상의 사망 전보를 받고 기록한 정인택의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런데 이상의 사망 소식은 국내 어느 신문에도 기사화되지 않았다. 언론에 처음 알려진 것은 사망 4일 후 1937년 4월 21일 <매일신보>를 통해서였다. 그런데 이상의 사망 19여일 후 <조광>(1937.5.1.)에 그가 직접 쓴 유서 『종생기』가 실린다. 이상이 사망 5개월 전(1936.11.20) 완료해 보낸 것이다. 때문에 ‘故 이상’이 아닌 ‘이상’이 쓴 유서 『종생기』는 그의 유해 도착 보다 조금 앞서 세상에 얼굴을 드러냈다.

우주영 기자 realcosmos@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