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7 06:55 (수)
강의전담교원 늘리고 융합전공·경영학 수요 쏠린다
강의전담교원 늘리고 융합전공·경영학 수요 쏠린다
  • 교수신문
  • 승인 2009.06.15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대학 2009년 하반기 신임교수 임용트렌드

대학들은 2009년 하반기 어떤 전공분야의 신임교수를 많이 뽑을까. 신임교수 임용공고를 발표해 심사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하반기 임용분야를 분석한 결과 융합전공·경영학분야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전담교수 임용 계획을 밝힌 대학도 부쩍 늘었다. 교수신문은 주요 50개 대학의 2009년 하반기 교수임용 규모, 분야를 분석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자율화 조치 후속작업의 일환으로 그동안 비전임교원으로 분류했던 석좌·초빙교수와 교육·산학협력 전담교수를 전임교원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고등교육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대학들은 예전에도 강의전담교원을 임용해 왔지만, 조만간 법 개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비정년트랙 강의전담교원 임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선문대는 하반기에 강의전담교원 29명을 임용할 예정이다. 이들은 교육과 학생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제 전임교원 신분으로, 급여는 전임교원의 60% 정도다. 한양대도 공과대학, 사범대학 등 서울캠퍼스에서 8명의 강의전담교원을 임용할 계획이다. 2년 단위로 임용하되 총 6년을 초과할 수 없다는 규정을 내세웠다. 한림대는 13명의 신임교수 중 인터넷미디어전공, 언어청각학부에 강의전담교원을 충원할 계획이고, 홍익대는 경영대학을 비롯해 디자인전문대학원, 영상대학원 등에서 실무경력자 위주로 비정년트랙 교원을 임용할 예정이다. 서울사이버대는 복지시설경영, 상담심리, 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등에서 5명의 비정년트랙 교원을 임용한다. 교원인사규정에 따라 1년 뒤 재계약하거나 정년트랙으로 전환가능하다고 명시했다. 우석대는 보건의료관리학과, 유통비즈니스 전공, 무역비즈니스 전공, 교양학부 등에서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임용한다. 강의전담교원이나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에 지원하려는 이들은 임용조건과 계약기간, 최장 계약가능 기간 등의 세부조건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임용공고 내용을 보면 경영학분야가 빠지지 않는다. 대부분 경영학전공 교수를 1명 이상 뽑는다는 계획을 세웠다. 고려대는 경영대학에 8명을 임용할 예정이고 홍익대 5명, 중앙대와 서울시립대는 3명을 임용하겠다고 공고를 냈다.

WCU사업과 학제연구 활성화 등의 이유로 올해 상반기 주요 대학의 신임교수 임용키워드는 ‘융합’이었다. 하반기에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서울대는 오는 하반기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 신임교수를 임용한다. 디지털정보융합학과에 1명, 지능형융합시스템학과에 2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포스텍은 분석화학분야에 1명의 교수를 임용하고, 고려대 일반대학원은 WCU 시행에 따라 뇌공학과, 소재화학과 등에서 5명을 초빙할 예정이다. 해양공학, 환경공학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전공자를 임용하는 대학도 많다. 반면 인문학분야 임용은 뜸하다. 인문학분야 중에서도 모집분야는 어문학분야에 쏠려있다.

이제 신임교수들에게 외국어, 특히 영어강의는 기본으로 요구하는 곳이 많다. 영어강의 가능자를 우대한다는 내용에서 한 발 나아가 심사절차에 영어강의 심사를 포함하거나 임용 후 영어강의를 의무조건으로 내세우는 대학이 대부분이다. 경주대는 지원자격에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해 강의할 수 있는 자’라고 명시했다. 2단계 전공심사 중 공개강의 평가에서 외국어능력을 심사한다. 목포대 역시 공개강의를 외국어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주대는 영어강의가 가능한 자를 신임교수로 임용할 방침이고 아주대에서는 임용 후 영어강의가 원칙이다.

논문 편수에 따른 양적평가가 신임교수 평가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상위권 대학은 연구실적물 인정기준이 높아지는 추세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은 연구실적물 인정기준으로 박사학위 논문, 정규학술지에 게재된 국내외 논문, G7국가에서 인정한 국제특허, 국제학술회의 논문, 저서 등을 꼽는다. 대학마다 요구하는 연구실적 목록은 비슷하지만, 기준과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지방대는 수도권 대학에 비해 다소 낮은 기준의 연구실적을 요구한다. 대학의 위치와 처한 상황을 고려한 조치다.

김유정 기자 je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