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3:50 (토)
[지방대 위기, 그 해법은 12]서울대 흉내내기론 활로 찾지 못해 … 완벽한 지방분권 필요
[지방대 위기, 그 해법은 12]서울대 흉내내기론 활로 찾지 못해 … 완벽한 지방분권 필요
  • 이민원 광주대·글로벌경영학과
  • 승인 2009.06.08 14: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은 과연 무엇을 하는 곳일까. 그리고 지역에서 지방대는 무엇을 하는 곳일까. 지식을 생산하고 그 과정에서 인재를 생산하는 곳 아니던가. 그래서 지식과 인재가 국가와 지역사회에 보탬이 되도록 하자는 것 아니던가. 그러나 대학 수요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대학의 서열과 그에 따른 특권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대학교육의 공급자들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1점이라도 높은 성적의 학생들을 뽑아 입시서열을 높이는 데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대학서열화는 지방대와 지방에는 저승사자다. ‘학원은 OO학원으로, 대학은 서울로’ 날마다 오르내리는 승강기안의 광고물 문구다. ‘서울아 기다려라. 내가 간다’ 지방 학생들의 핸드폰에 새겨진 문구다. 이게 바로 지방대와 지방이 처한 위기의 현주소다.

이렇게 모두에게 외면당하는 지방대는 지역사회 발전의 견인차라는 무거운 짐을 지고 있다. 지방자치 시대가 지방대에게 지운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지역발전에 가장 필요한 두 요소가 대학에서 생산하는 인재와 기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지방대 붕괴를 수수방관하고 지방대를 조롱하며 지방 붕괴를 조장하고 있다.
이렇게 국민들이 지방대를 외면하는 사이에 지방대는 지역발전을 위한 사명보다는 생존을 위한 모색에 몰두해야 하는 신세로 전락했고, 생존 모색을 대학혁신이라고 여기는 촌극이 벌어지고 있는 중이다. 지방대가 이렇다면 과연 인재와 기술을 어디서 구해 온단 말인가. 그러니 지방대 붕괴야 말로 우리 교육의 가장 큰 쟁점이다.

지방대가 어려움에 빠져 인재배출에 소홀하고, 지방의 기업들이 인재구하기가 어렵다면, 기업들도 지방에 가고 싶지 않을 것이다. 인재가 있고 나서 기업이 있는 법이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들은 지방대의 인재수준을 높여 기업을 유인할 생각은 하지도 못하고 그저 공허한 기업유치 전략이나 세우고 있다. 그러니 우리의 지방을 국토가 아니라고 내버릴 요량이 아니거든, 인재 양성과 기술개발에 지방대가 나서게 하자. 이를 위해 정부, 기업,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온 국민이 지방대를 전폭적으로 지원하자. 잘 발전된 지방대는 지역의 특색을 찾고 만들어내 지역의 활로를 개척해낸다.

인재와 기술이 충만하고 특색 있게 발전된 지방은 자신에게 꼭 맞는 기업을 내부에서 창출하고 외부에서 불러온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구상했던 ‘NURI 사업’은 지방대에게 바로 그런 역할을 시작하라고 주문한 지원책이었다.

지방도 특성화 하듯이 지방발전을 선도할 지방대도 특성화를 추구해야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처럼 대부분의 지방대가 서울대 체제를 흉내 내어 종합대학을 지향한다면, 활로를 찾기가 힘들 것이다. 현재 일류대학으로 부상한 신흥대학들은 모두 종합대학이 아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일을 할 때 많은 분들이 세칭 일류대학들의 지방이전을 이야기했다.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의 지역사회에 대한 사명과 대학 자체의 국제경쟁력의 관점에서도 그렇다. 국제경쟁력이 뛰어난 튼튼한 대학이 지방에서 인재와 기술을 키우고 지역발전을 선도해간다면 대학과 지역 모두 국제경쟁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완벽한 지방분권의 실천을 말하고 싶다. 우리의 서울 선호사상은 중앙집권체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앙권력이 지방에 이양돼 지방통치의 구심점이 명실상부하게 지방으로 이양된다면, 지방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지방하대의식이 엷어지며, 지방대 멸시 풍조도 점점 줄어들지 않겠는가.

이민원 광주대·글로벌경영학과

국가균형발전위원장과 한국지역혁신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광주경제살리기 운동본부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