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6:25 (금)
[지방대 위기, 그 해법은 11.] ‘강소대학’ 전략 과감히 선택해야 … 공동 해외분교도 대안
[지방대 위기, 그 해법은 11.] ‘강소대학’ 전략 과감히 선택해야 … 공동 해외분교도 대안
  • 류지성 삼성경제연구소 교육혁신센터장
  • 승인 2009.05.25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대 위기의 배경에는 학생 수 감소와 취약한 지역경제가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 채우기가 어렵고 지역경제가 졸업생을 끌어들이지 못하니 재학생들은 수도권으로 빠져나간다. 등록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대학으로서는 재정 부족에 허덕이고, 교육과 연구경쟁력은 더욱 부실해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밖에 없다. 지방대의 생존문제는 대학, 지역경제가 함께 풀어야 한다.

첫째, 대학과 지역이 상호간의 발전을 위해 공동운명체의식을 가져야 한다. 지방인재들이 대학 입학부터 대도시로 가는 것은 거기에 양질의 일자리가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없으면 학생도, 인재도 머무르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인재가 없으면 지역산업은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 대학과 지역경제의 발전은 서로 맞물려 있다는 것이다. 대학과 지역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학 간 컨소시엄을 통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해 본다. 일본 교토지역에 소재하는 리쓰메이칸(立明館)대학, 도시사(同志社)대학 등이 중심이 된 ‘재단법인 대학컨소시엄 교토’가 그 사례다. 개별대학이 풀 수 없는 지역문제를 지역 내 대학들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공동으로 대처한다. 지역에 필요한 인재배출을 위해 대학 간 학점교류도 한다. 지자체, 지역산업은 컨소시엄을 위해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재정지원을 할 수 있다. 이런 재정지원으로 대학은 우수인재를 지역산업에 배출하고,  지역이 발전하면서 우수 지역인재들은 자연스럽게 지역대학을 선택한다. 지역산업을 비롯한 지역 문제와 관련된 전공분야를 대학 간 통합 내지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둘째, 지방대학들이 공동으로 해외분교를 만들어 입학자원을 확보할 수도 있다.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현지인 종업원들에게 실무 및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싶어 한다. 한국기업 중에는 해외현지인을 국내로 데려와 양성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한국의 대학교육시스템을 배우고 싶어 하는 동남아국가들도 있다. 대학들은 공동으로 해외분교를 세워 해외진출기업이나 동남아국가들의 교육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각 대학은 잘하는 전공분야를 책임지면 된다. 대학정원이 줄면서 여유가 생기는 전공분야, 교수, 기자재들을 적극 활용할 수도 있다. 해외분교는 국내대학과 2+2, 3+1 교환수업도 가능할 것이다.

지방대학들이 정원을 채우지 못해 동남아학생들을 유치하는 사례가 많지만 언어, 학생의 학습능력, 대학의 인프라 미비 등으로 교육의 질 관리에 심각한 문제들이 생기고 있다. 대학의 공동 해외분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강소대학으로 가는 전략을 과감히 선택해야 한다. 정원을 감축하면 재정이 줄어 대학을 운영하기가 어렵다고 하지만 2020년에는 18세 인구 모두가 대학 입학을 해도 현재 정원의 24%정도는 채우지 못한다. 정원감축, 전공통폐합 등 구조조정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대학의 퇴출까지도 피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대학이 살 길은 권역별로 대학 간 통합을 하던지, 아니면 작지만 강한 대학으로 가는 길밖에 없다.

권역별 대학 간 통합은 지방 국립대가 중심이 되는 것이 옳다. 미국의 주립대학처럼 지역별 캠퍼스를 가진 대학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도립대학이 될 수 있다. 강소대학 전략을 선택한다면 대학은 향후 10년 계획을 수립해 자신 있는 분야를 육성하고 취약한 분야는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 선진 명문 사립대학의 사례처럼 작지만 강한 대학으로 명성이 나면 우수학생들이 몰리고 산학협력 및 연구자금, 기부금 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 문제는 앞으로 10년을 어떻게 버티면서 구조조정을 해 나갈 것인가 인데, 이를 위해 정부는 출구를 열어주고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류지성 삼성경제연구소 교육혁신센터장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혁신과 경쟁력, 전문대학의 성공조건, 두뇌강국으로 가는 길’ 등의 연구가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전문위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